-
-
직지 2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직지 : 아모르 마네트 1>을 읽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2권을 펼쳐들었다. 반전을 거듭하며 범인이 잡힐 듯 말 듯 긴장감이 맴돌았던 1권에 이어 2권은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궁금했다. 누가 왜 잔인한 방법으로 서울대 전 라틴어 교수를 살해한 걸까. 그 의문이 풀릴 시간이었다.
기대했던 것처럼 첫 시작은 숨겨진 실마리가 드러나는 것부터 전개된다. 진실에 근접해있는 누군가의 이메일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1권에서 거의 홀로 갖은 애를 쓰며 진실을 쫓던 김기연 기자는 그 실낱같은 실마리를 붙잡고 진실에 한 발자국씩 다가선다. 전권에서는 끝내 밝혀지지 않았던 한 인물에 대한 정보들이 수면 위로 올라오면서 진실의 코앞에 서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 반전 아닌 반전이 하나 등장하면서 전개가 살짝 애매해진다. 역사 속 인물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김기연 기자가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데, 이게 사실인지 아닌지, 상상인지 현실인지, 어디까지 믿어도 되고 어디까지 믿으면 안 되는지 분간을 하기가 어렵다. 짧게 끝나리라 생각했던 것이 점점 더 길어질수록 진실은 또 지금까지의 이야기는 어디로 갔는지 혼란스러워진다. 솔직히 말하건대 나는 책이 잘못 만들어진 줄 알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야기가 제법 재미있어서 긴가민가한 기분으로 읽다 보니 푹 빠져들게 된다. 새롭게 등장한 인물들에게, 어쩌면 진실이고 또 어쩌면 누군가의 상상 속에서 만들어진 허구일지도 모르는 이야기에 빠져 새로운 기분으로 그 속에 빠져들다 보면 점점 더 책 <직지> 속 진실에 가까워진다. 역사적 사실을 구분하려고 애쓰다가도 어느 순간 이야기 자체에 홀리고, 이야기 속에서 현실과 허구를 구분하려고 애쓰다가도 어느 순간 각각 다른 이야기의 매력에 빠져 숨 가쁘게 읽어나가다 보면 다시 역사와 소설 그 사이에서 헤매게 된다. 역사소설이 가지고 있는 묘한 매력이 십분 발휘된 것으로, 이것 역시 작가의 의도와 솜씨가 아닐까 하는 생각에 감탄했던 부분이었다.
2권에서는 많은 것이 밝혀지기 때문에 이야기를 하면 할수록 스포일러가 되는 바, 최대한 뭉뚱그려서 얘기하자면 이렇다. 1권이 범인을 뒤쫓는 추리에 힘을 실었다면 2권은 역사에 더 치중한 느낌으로, 두 권이 각각 다른 작품인 듯하다. 추리에 흥미를 느꼈던 사람에게는 살짝 아쉬운 부분이 될 수 있고, 김진명 작가표 역사소설을 기대했던 사람들에게는 기다림 끝의 즐거움 일 수 있다.
나는 전자에 속한 사람이었지만 추리보다 더 추리 같은, 여러 가지 의미로 의심에 의심을 더하게 만드는 2권만의 매력도 제법 좋았다. 1권보다 2권을 더 집중해서 빠르게 읽었을 정도랄까. 사실 아직까지도 '진실'에 대해 모호함을 느끼고 있으니, 이야기꾼의 이야기는 사람을 홀린다는 것을 새삼 깨달은 시간이었다.
의심에 의심을 거듭해도 결국 진실은 저 너머에 있다는 것. 그러니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역사를 공부해야겠다고 마음먹게 만드는 것 역시 역사소설, 특히 김진명 표 역사소설인 이 <직지>의 매력이 아닐까 싶다.
간만에 읽은 역사소설이었는데, 재미있게 술술 잘 읽히고 또 여러 가지 매력을 느낄 수 있어 마음에 들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726/pimg_718948116225462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