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백성이 주문할바가 있어도
누군지를 몰라 제뜻을 펴지 못하니
이를 어여삐 여겨 새로 13자의 주민번호를 창제하니 
사람마다 제 번호를 잘 익혀 날로 편안히 물건을 살지어다." 박정희


박통께서 주민번호를 만든지가 어언 30여년이 지난 이즈음, 원래의 취지와는 전혀 동떨어진 인터넷에서 그 유용성이 만개하였다.
초거대재벌싸이트에서도 주민번호, 언제 망할지 알 수 없는 구멍가게에서도 주민번호.
당신의 소중한 주민번호는 이제 사이버 구천을 떠돌고 있다.

이에 분개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간단한 방책을 소개한다.

단순히 회원가입정도면

1. 아이디
2. 패스워드
3. 이메일주소  정도로 족하다.

물건 배달이 필요하면

4. 이름
5. 주소
6. 전화번호  정도가 더 필요하겠다.

그러나 전혀 쓸데 없는 주민번호를 덤으로 요구한다.


이제 무작정 따라하기만 잘 보시면 주민번호를 주고 받아 서로간에 불필요한 불신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사실은 이 계산법을 전혀 몰라도 된다.
어짜피 0 에서 9 까지중 하나니까 10번만 해 보면 된다.


시험삼아 6개 정도 싸이트에 가입을 시도해 보았다.
결과는?

주민번호가 전혀 불필요하다는 사실만 입증.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nalei 2009-07-06 2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신:
1. 실명 조회하는 싸이트에서는 안 먹힙니다. (큰 싸이트)
2. 주민번호제조법을 공개하는 행위는 실정법 위반입니다.

조선인 2009-07-06 2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실명인증 서비스 받고 있어요. 며칠전엔 국민일보에 누가 제 주민번호로 가입했다는 문자가 왔길래 화들짝 놀라 팩스 보내고 어쩌고 급하게 회원 탈퇴를 했지요. 참 젠장할 나라입니다.

Forgettable. 2009-07-07 1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완전 외계어 ㅠㅠ

chika 2009-07-07 1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실제로, 몇년전에 우체국갔다가 목격한건데, 동네 애기들이 우체국에서 마련한 민원용 컴퓨터로 게임하며 노는데 사이트 가입을 너무 쉽게 하더군요. 이건 누구 주민번호야? 하고 물었더니, 그냥 아무 숫자나 마구 넣으면 가입이 된다더라는 얘기가 큰 충격도 아니더라는. 아이구...

마늘빵 2009-07-07 1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이런...

무스탕 2009-07-07 1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은근 그런거 있어요. 공기관 사이트도 주민번호 틀려도 회원가입이 가능한 곳이 있다지요.
실명인증을 하는 사이트인데도 이러하니 문제에요.
그리고는 나중에 열터지게 싸우고... -_-++

치니 2009-07-07 1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본에서는 수차례 주민번호 만들자는 법안이 상정되었지만, 일본 국민들의 반대로 매번 실패해서 주민번호라는게 없다고 들었어요.
아주 큰 금액이 아니면 카드도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다고 하구요.
일본의 국민성이 워낙 개인의 비밀에 대해 민감하니 그렇다는게 일본인의 설명이었는데,
저는 국민성은 관두고 그저 부럽더랍니다. 그렇게 국민의 반대로 법안이 통과되지 않는 분위기가.

BRINY 2009-07-07 1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많은 청소년들은 부모님 주민번호쯤 외우고 다닙니다. 부모님 카드도 들고 다니구요. 주민번호 이용한 성인인증같은 거 무용지물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