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49 캉파뉴는 "동료"라는 뜻을 가진 빵이다. 함께 빵을 나누어 먹는 동료, 이제 그(이기호)에겐 함께 빵을 나누어 먹을 동료가 없다. 영훈은 그의 유일한 친구였으니까. 조금전 그 남학생 (‘태환’)도 함께 빵을 나누어 먹던 친구를 잃은 것이다.

P58 진아는 어디선가 읽은, 어쩌면 누군가에서 들었을지 모를 문장이 떠올랐다.
 "사람에게는 고통스러운 일은 기억에서 차단하고 행복한 일은 매 순간을 또렷하게 기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한다."

P71 "그 나무 이름이 행운목이라고요. 나무에 꽃이 피면 행운이 온대요. 그 말은 꽃을 피우는게 몹시 어렵다는 거죠. 거기 카운터 한쪽에 놓으면 좋을 것 같네요."
<영훈의 약혼녀 소연이 이기호에게 >

P80 하경은 오빠에게 친구가 많지 않다는 걸 알고 있었다. 그런데 그 당시 오빠가 찍은 사진 속에는 오빠와 같은 반 친구들이 거의 다 들어 있었다. 그들과 몸을 부딪치고 이야기 나누지는 않았을 테지만 다정한 시선으로 카메라에 담아 놓았다. 카메라 하나로 많은 사람들을 자신의 세계 속으로 끌어들였던 거다. 오빠는 그런 식으로 세상과 관계를 맺고 있었다.

P94 발효종을 만들면서 깨달은 게 또 있다. 빵 뿐 아니라 사람과의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데에도 효모 같은 것이 필요하다는 것. 번거로운 과정과 오랜 시간을 거쳐 만들어진 관계는 좋은 발효식품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공기 중의 미생물이 다 좋은 것만은 아니듯 관계가 숙성되는 과정에서도 좋은 것, 즐거운 것만 취할수는 없다. 
빵을 만들때도 사람과의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데에도 인내가 필요하다. 그 사람의 모든 것을 함께 받아들여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P105 그 장면때문에 ‘프루스트 현상’이라는 심리학 용어까지 생겨났어요. 프루스트 현상이 뭔고하니, 특정한 냄새나 맛, 소리로 인해 잊고 있던 기억이 다시 살아나는 걸 말합니다.

P109 진아는 빵샘의 이런 면이 좋았다.
진아가 무슨 얘길 해도 어린애 취급하지 않고 늘 진지하게 응대해 주었다. 어른들 대부분은 뭔가를 물어보면 제대로 대답해주지 않는다. 애들은 몰라도 돼, 공부나 해. 그런다. 그러면서 자기네들은 아이들에게 꼬치꼬치 묻는다.

P148 그로부터 칠년이 지나 이 이름 없는 빵집에서 영훈을 다시 만난 것이다. 영훈이 칠년만에 이기호를 찾아낸 것도 "이름 없음" 때문이었다. 그리고 영훈은 더 이상 태양계에 속하지 않는 명왕성(fluto)처럼, 지구별에 속하지 않는 존재가 되었다.

P150 사장님 (이기호)은 늘 칭찬부터 해 놓고 충고를 하든 야단을 치든 했다. 그래서 야단 맞아도 기분 상하지 않았다. 칭찬에 인색하지 않는 사람과 함게 일하는 건 어쨌든 기분 좋은 일이다. (빵집 직원 하경)

P152 똑같은 바지에 알록달록 색이 제각각인 운동화들, 그 사진들을 보고 있으면 한 번도 좋다고 생각한 적 없는 학창시절이, 십대의 나날들이, 인생에서 가장 멋지고 행복한 때라고 착각할 정도였다.
(하경이 군입대후 의문사로 죽은 오빠가 찍었던 사진을 보면서)

P156 얼굴 한번 본적 없고, 말 한 마디 나눠본적 없는 누군가로 인해 뭔가를 시작하고, 궁금해하고, 기다렸다. 
그리고 얼마 뒤엔 낯선 동네를 찾아가게 되었다. 무작정 왔다가 한 번도 와 본 적 없는 곳에서 낯익은 가게를 발견했다.
(하경이 세월호 사건으로 죽은 윤지의 블로그에서 자주 보았던 빵집에서 일하기까지)


P206 빵을 만들면서 여러분이 들려주는 이야기가 반죽에 들어가면, 효모와 함께 발효되어 아주 특별한 빵이 만들어질 거예요. (하경이 태환에게 보내는 초대장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242 ‘fascio파쇼’는 로마 귀족이 행차할 때 도끼와 막대기를 묶은 것인 ‘파스케스 fasces’를 어깨에 걸친 사람이 맨 앞에 섰는데 여기서 유래한 말입니다. 
이것은 권위의 상징으로 지배자, 국가주권, 가장권을 가리킵니다. 
이 단어에서 ‘파시즘 fascism’ 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를 읽는 순간 - 2022 어린이도서연구회 추천도서 푸른도서관 83
진희 지음 / 푸른책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142 "왜 거기서 사는데?" (*거기: 모텔)  "엄마를 기다리고 있어."
 "다른 데서 기다리면 안돼?" 좀 더 안전한 곳, 좀 더 환한 곳, 좀 더 따뜻한 곳에서
 "내가 거기 있어야만 엄마가 돌아올 것 같아서. 아파서, 마음이 너무 아파서 더는 못 견디고 돌아오게 될 것 같아서. 엄마가 가르쳐 준 고모네 집에 가 있으면… 그럼 엄마 마음이 덜 아플테고, 그러면 엄마 얼굴을 다시는 못 보게 될 것 같아서."

P146 "소란아" "아, 왜" "이름을 부를 수 있는 친구가 생겨서 좋아." "……"
 "조금 더 일렀더라면, 여름쯤이었더라면 좋았겠지만, 지금이라도 괜찮아. 언젠가 중학교 때를 떠 올리면 따듯하게 추억할 이름이 하나 생긴 거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강 르네상스 인문주의, 비코의 ‘새로운 학문’

P237 고대 중국의 갑골문은 점을 치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점을 친다는 것은 시간을 의식한다는 것이고, 갑골문을 보존한다는 것은 기록을 남긴다는 것입니다. 고대에는 무당(巫)과 역사가(史)가 같은 사람을 가리켰습니다. ‘巫’ 와 ‘史’ 는 모두 점치는 그릇을 들고 서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둘다 예언자였습니다.

P238 <새로운 학문 (12)> 
인간 문명의 두번째는 매장이다. 때문에 라틴어로 ‘인간성 humanitas’ 은 ‘매장하는 것 humando’ 에서 유래한 것이다. 매장은 조금 떨어진 숲속의 뼈항아리를 통해 나타나고 있으며, 인류가 아직 여름에는 과일을, 겨울에는 떡갈나무 열매를 먹고 살던 시대부터 행해졌음을 말해주고 있다. 항아리에는 "D.M." 이라고 쓰여 있다. 이는 ‘사자死者의 선량한 영을 위하여’ 라는 뜻으로 "D.M."은 ‘디스 마니부스 Dis Manibus’ 의 약자입니다.

제단 (인간 문명) 위에 점지팡이(역사의 시작), 물과 불(액막이), 횃불(혼인), 그리고 D.M. (매장)이 있습니다. 인간의 문명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무엇인지를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인의 취향, 2000>
P275 선호하는 영화로 상대의 취향을 판단하고 문화 수준을 논하는 일이 과히 그릇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프랑스의 사회학자인 피에르 브르디외는 <구별짓기>에서 말하고 있습니다. 그는 그의 저서에서 "사람이 취향을 선택하는 게 아니라 취향이 사람을 계급적으로 분류한다." 라며 취향을 문화계급으로 논하고 있습니다.

"문화는 구별하고 차별한다." 혹은 "문화는  섬세한 상징폭력이다." 라는 책표지의 카피처럼 취향은 단순히 개인이 취득한 성향이 아닌 학력자본(학벌) 이나 상징자본 (집안), 그리고 사회관계 (각종 연줄) 등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내재된 삶의 한 형태라고 보는 것이지요. 한 개인의 취향에는 그의 삶의 이력이 모두 녹아있다고 보면 되는 셈입니다.

P280 사실 앙젤리크(카스텔라의 아내)는 우리 주변에서 보기 쉬운 캐릭터입니다. 자신의 시선과 취향에 대한 확신이 지나친 나머지 타인에게 그것을 강요하는 경우는 인간관계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류이기도 하지요.

어떤 취향이 옳거나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는 일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취향도 키가 자라듯 자랄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P283 집으로 돌아온 카스텔라는 자기가 처음으로 선택한 그림이 세련된 아내의 손에 의해 치워진 것을 발견하고 분노합니다. 그는 헨리크 입센의 소설 <인형의 집>의 여주인공인 노라처럼 존재감을 인정받지 못한 절망감에 집을 뛰쳐나가버립니다.

P284 타인의 가치나 취향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리 뛰어난 감각의 소유자라 하더라도 편협한 외로움을 안고 살 수 밖에 없으며 결국 한쪽 벽만을 바로보는 우를 범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비티, 2013>
P311 강사는 마지막으로 항아리에 마시던 차를 부으며 인생이라는 항아리에 큰 돌멩이를 먼저 넣지 않고 자갈이나 모래부터 채운다면 영원히 큰 돌멩이를 넣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그 강의의 말미에는 우선 가족이라는 튼튼한 돌멩이를 넣고 그 다음에 명예, 성공, 부 등을 상징하는 모래와 자갈 등을 넣으라는 것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항아리를 완전하게 채울 수 있는 것은 물이라는 것도 잊지 않아야 겠지요. 그 물은 내 삶을 촉촉하게 적셔줄 독서나 공부 혹은 취미 등과 같은 것일테고요.

"청소년 감상문 중에서"
P324 우주 관련 분야를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 비해 자살률이 높다고 한다. 우주에 대해 연구하면 할수록 자신의 존재가 한없이 작고 쓸모없게 느껴지기 때문인 것이다.

P325 영화에 나온 라이언 박사에게도, 나에게도 중력은 가족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