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90
게다가, 라고 아버지는 말을 이었다.
"이 여자가 그 때의 상담자냐 아니냐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니야. 중요한 것은 그 때의 내 답장이 정말로 옳은 답이었느냐는 것이지, 아니, 그 때뿐만이 아니야. 지금까지 보낸 무수한 답장이 각 상담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그게 중요해. 나로서는 매번 열심히 머리를 짜서 답장을 써 왔다고 생각한다. 대충 써 보낸 적은 한번도 없다고 단언할 수 있어. 하지만, 과연 그 답장이 상담자들에게 도움이 되었는지는 전혀 모르고 있어. 어쩌면 내 충고대로 했다가 어처구니 없이 불행해진 경우가 있을게야. 그것을 깨달은 순간, 나는 참말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더라. 더 이상 마음 편히 답장을 쓸 마음이 나지 않았어. 그래서 가게를 걷어치웠다."

→ 나는 대충 일한적은 없는지, 아이에게 대충 대하지는 않는지? 아이에게 하는 충고와 마음가짐에 대해 돌아보게 된다

P196
벌써 사 십여 년전의 일이군요. 저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보냈었습니다. 공부하지 않고도 시험에서 백점을 맞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초등학생 때의 일이지만 참으로 어리석은 질문이었어요. 그래도 이 질문에 대해 나미야 씨는 훌륭한 답을 주셨습니다.
"선생님께 부탁해서 당신에 대한 시험을 치게 해달라고 하세요. 당신에 관한 문제니까 당신이 쓴 답이 반드시 정답입니다. 그러면 백점 만점을 받을 수 있어요."

→ 나에 관한 문제는 내가 답을 적는다. 내가 적은 답이 내가 된다.

P199
"나도 놀랐어, 게다가 감사 인사까지 해주다니, 반쯤 장난삼아 보내온 질문이라서 나도그저 순간적인 기지를 발휘해서 다답해 주었을 뿐인데."
"그걸 이 사람은 지금껏 잊지 않은 거군요"
"그런 모양이야, 잊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자기 나름대로 새겨서 인생에 되살렸어. 이 사람은 나한테 감사하다는데 그럴 필요가 없는 일이야. 일이 잘 풀린 것 전적으로 이사람의 힘이야"

P204
중요한 것은 태어나는 아이가 행복해질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반드시 부모가 다 있어야만 행복해진다고 할 수는 없다. 아이를 행복하게 해주기 위해서라면 어떤 어려움도 견뎌내겠다는 각오가 있어야 한다. 그런 각오가 없다면 설령 남편이 있다고 해도 아이는 낳지 않는게 좋다가 말했다.

→ 어떤 것이 아이를 행복하게 해주는 걸까? 잔소리 않기? 어른처럼 대해주기? 기다리기? 이유없이 간섭하지 않기?

P224
"예술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는게 우리 아버지의 지론이야. 기왕 음악을 즐길거면 좋은 음향으로 듣지 않고서는 의미가 없다는 거야"

→ 나의 지론은? 분수에 맞게? 목적의식을 갖고 시간을 만들자..
기왕 할꺼면 전폭적인 지지를? 두 말하지 않아야지…

P258
가족에 대한 나의 기본적인 생각은 좋은 일로 잠시 헤어져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함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싫어져서, 그만 지겨워져서 라는 이유로 서로 뿔뿔이 헤어진다는 것은 가족의 참모습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공간이 시간을 지배한다?

P259
가장 큰 불행은 야반도주로 인해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는 것이지요. 그래서는 모든게 끝입니다. 야반도주는 결코 올바른 선택은 아니지만, 온가족이 같은 배에 타고 있기만 하면 언제가 함께 올바른 길로 돌아오는 것도 가능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142
당신이 음악 외길을 걸어간 것은 절대로 쓸모없는 일이 되지는 않습니다. 당신의 노래에 구원을 받는 사람이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28
"너한테 하라는 게 아니라, 여기 이 토끼 씨한테 하라는 거지"
"아니, 난 내가 못하는 걸 남한테 하라고는 못해. 쇼타, 너라면 어떨 것 같아? 할 수 있겠어?"
고헤이의 질문에 쇼타는 선뜻 대답하지 못하는 눈치였다

P31 (쇼타의 대사)
"아니, 몇 마디만 써 보내도 그 쪽은 느낌이 크게 다를 거야. 내 얘기를 누가 들어주기만 해도 고마웠던 일, 자주 있었잖아? 이 사람도 자기 얘기를 어디에도 털어놓지 못해서 힘들어하는 것야. 별로 대단한 충고를 못해주더라도, 당신이 힘들어 한다는 걸 충분히 잘 알겠다. 어떻든 열심히 살아달라, 그런 대답만 해줘도 틀림없이 조금쯤 마음이 편해질 거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322
10대는 학습의 시기다. 그 점을 십분 활용해야 한다. 아무런 설명도 없이 화를 내며 잔소리를 하면 10대는 더욱 멀어질 뿐이다. 행동에 대한 비판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이 뒤따를 때 효과적이다.

P324
당신이 해야할 일은 자녀를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 자신의 에너지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쏟아부을 수 있게 돕는 것이다.

-중략-

결국 당신은 자녀의 첫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역할 모델이다.

그들은 언제나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물론 자녀들도 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당신이 삶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삶의 도전적 과제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등이 모두 자녀에게는 학습의 경험을 제공해준다. 따라서 자녀들이 그런 경험에 압도당하지 않게 주의하면서 그것을 자녀들과 함께 나누자.

결국 당신과 자녀는 한 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185
스트레스는 학습에 치명적이다. -중략- 기억력이 말 그대로 얼어붙어버린다. 해마가 정상적인 기능을 멈추는 것이다. 왜 그럴까? 스트레스에 반응해 코르티솔이 쏟아져 나오면 기억이 방해를 받는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미로를 아주 잘 학습하는 쥐도 고양이 같은 스트레스 요인을 주면 완전히 얼어붙어서 학습이 불가능해진다. -중략- 우리는 10대가 무엇에 스트레스를 받는지 신경써야 한다. 그리고 학교는 이 쥐실험에서 쥐를 가둬둔 우리와 유사하며, 부모와 교사는 고양이와 비슷한 존재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P191
학대를 받았던 아동과 10대의 뇌를 스캔할 때 화난 얼굴 사진을 보여주었더니 편도체, 그리고 위협의 감지 뿐만 아니라 통증의 예상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앞섬엽에서 전투병과 비슷한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전투 경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자살충동이 7배 가량 높다고 함. 예를 들면 전투경험이 있는 사람 100명 46~47명 정도가 자살충동을 경험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 100 명 중 7명 정도가 자살충동을 경험)

P193 ~ 194
청소년들은 외상에 직면했을 때 무척 취약하지만, 그 이면에는 회복탄력성(resilience) 이라는 측면이 존재한다. -중략- 회복탄력성은 선천적인 부분이 아니라 학습을 통해 배우는 것이다.
성인인 당신은 그런 정보를 10대 자녀에게 전달하고, 아이들에게 스스로를 잘 돌보고, 삶을 주도하고, 시간적 여유를 가지라고 말해주어야 할 위치에 있다. 자신의 몸을 스스로 돌보는 방법은 잘 먹고 잘 자는 것이다. 삶을 주도하는 방법은 작은 것이라도 목표를 정해서 한번에 한 걸음씩 나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적 여유를 갖는 방법은 인터넷, 문자메시지, 페이스북 등과 거리를 두고 그 대신 자신의 문제에 귀 기울여주는 사람을 찾아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