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골을 찾아서 ㅣ 샘터어린이문고 83
김송순 지음, 클로이 그림 / 샘터사 / 2025년 4월
평점 :

김송순 작가의 신간, 『바람골을 찾아서』는 사실 아이보다 내가 읽고싶은 마음이 커서 만낙 되었다. 어린이들을 위한 판타지 동화이기도 하지만, 전쟁 피해자의 상흔과 전쟁이 남기는 것들에 대해 잘 조명하고 있고, 회복 방향성을 고민하기 때문에 전쟁을 직접 겪은 우리나라에는 꼭 필요한 동화라고 생각했기 때문.
『바람골을 찾아서』에서 현준이는 할아버지의 보물을 찾아 바람골로 향한다. 그저 할아버지의 보물을 찾기만 하면 할아버지가 더 이상 아프지 않으리라는 기대로 시작한 모험이었으나 우연히 현준은 과거를 경험하게 된다. 어딘가 낯익은 새 형과 자꾸만 싸우게 되는 더벅머리 아이를 비롯한 이상한 사람들이 가득하고 총성이 오가는 바람골. 설상가상으로 졸지에 함께 도망자가 된 현준은 그동안 이해할 수 없었던 전쟁의 슬픔과 할아버지의 아픔을 이해하게 된다. 물론 우리 아이들에게는 그저 상상 속의 일이고, 우리 세대에게도 ‘과거’로만 느껴지는 오랜 일이지만, 『바람골을 찾아서』을 통해서 만나는 전쟁의 상흔은 전쟁이 남기는 아픔과 현실적인 해결방안에 대해 생각하게 했다.
사실 아이는 『바람골을 찾아서』를 읽기 전까지, 전쟁에 대해 어떤 감정을 가지지는 못했던 것 같긴 하다. 하긴 아이가 만나는 전쟁은 독립기념관, 호국기념관 등에서 만날 뿐이니 특정 감정을 느끼기는 어려웠을 듯. 그러나 두려움에 떠는 아이들, 오래도록 슬픔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할아버지의 모습 등에서 전쟁이 우리에게 남기는 상흔이 얼마나 큰지를 느끼고 많이 슬퍼했다. “누구에게” 좋은 거라서 전쟁을 한 건지 묻는 아이에게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내 마음도 복잡해졌고.
『바람골을 찾아서』는 어쩌면 우리의 그 모든 땅 이야기고, 그 시절을 겪은 모두의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또 다른 나라에서는 바로 “오늘”의 이야기다. 그래서 『바람골을 찾아서』는 모두에게 읽혀졌으면 좋겠다. 전쟁이 남기는 것들에 대해 적어도 우리는 기억하고, 해결할 마음을 먹어야하니까.
멀게만 느껴지던 전쟁은 『바람골을 찾아서』 덕분에 여전히 “현재진행형”임을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