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여기 있어요, 동물원 ㅣ 반달 그림책
허정윤 지음, 고정순 그림 / 반달(킨더랜드) / 2019년 5월
평점 :

아이에게 이 책을 읽어주기 위해 먼저 읽다가 눈물이 핑 돌았다.
사람의 잔인함은 대체 어디까지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끝이 없는 것 같아서.
그 후 아이에게 이 책을 읽어줘도 될지 안될지 고민했으나,
일부 단어를 제외하고는 책을 읽어줌이 아이에게 필요할 것 같았다.
사실 우리아이는 아직 동물원에 한번도 가지 않았다.
이 또래 아이들이 몇번이나 갔을 법한 곳인데, 난 한번도 제대로 된 곳에 데려가지 않았다.
이유는 단 하나였다. 내가 내 아이가 귀하다고, 남의 귀한 자손을 구경하러 가는 것 같아서.
물론 아이는 동네의 작은 동물체험장이나 동물우리를 본적은 있지만
한번도 갇힌 호랑이나 코끼리 등을 만나지 못했다.
그래서 아직도 아이는 그들이 정글에서, 사막에서 사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사람들의 관심 속에 살고 있지만,
내가 원했던 삶은 아니었지요.
나는 동물원에 살고 있는 사자입니다.
이 한문장이 못내 사무쳐서, 한참이나 가만히 들여다보았다.
아이가 겨우 말귀를 알아들을 때부터
쓰레기를 왜 버리면 안되는지, 왜 분리수거를 해야하는지 가르쳤다.
이제 아이는 꽤 분리수거를 잘하며,
우리가 쓰레기를 버리면 동물들이 고통받는 다는 것을 다소 이해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동물원에 갇힌 동물들 시범에서 이어진다.
그런데 그 한마디 한마디가 너무 아파서,
아이에게 읽어주면서 다소 축소시키며 읽어주었다.
그냥 그림만 보고 넘어간 페이지도 많았고.
각각의 페이지를 아이가 모두 파악할 수는 없었지만 나눌 이야기가 참 많았다.
동물원이 동물의 집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보았고
동물이 각각의 자연에 사는 게 좋은지, 동물원에 사는 게 좋은지도 이야기나누었다.
또 동물들의 느낌을 읽고 그 각각의 느낌을 이야기했는데
아이는 이 그림에서 너무 속상해했다.
왜 이 친구는 물고기를 주지 않냐고, 왜 이 친구는 혼자 있냐고.
요즘 사회성이 급격히 늘며, 친구들과 노는 재미를 알아서 그런지는 몰라도
아이는 격력하게 반응하고, 내용을 이야기해주자 너무 속상해했다.
나 역시 이런 내용들을 알고 있었음에도
한문장 한문장이 쉽게 읽혀지지않았다. 가슴에 콕콕 박히더라.
인간의 존엄성이, 인간의 위대함이 누구의 위에, 어떤 생명의 위에 있는지 모르지만
적어도 우리에게는 그들의 존엄성을 해칠 자격이 없다.
그렇게 생각하며 이 책을 읽고, 또 읽고.. 그림을 바라보고 바라보느라 하루가 다 갔다.
책의 단점 : 그림이나 분위기가 다소 무겁다.
어떤 아이들은 보기전에 회피할지도.
책의 장점 : 아이와 나눌 수 있는 이야기를 다수 포함한다.
책의 활용 : 둥물들의 집은 어디인지 누구랑 사는지, 누가 나오는데
각종 다른 도감들과 비교하면 좋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