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얼터너티브는 이렇게 인터랙티브 해야한다는!
개인적으로 올 해 최고의 영화로 꼽는 <가족의 탄생>에서 가장 마음에 들고 흥미로웠던 장면은 봉태규가 그 여자들의 집에서 능멸 당하는 장면이었다. 고두심의 눈빛 유혹과 문소리의 콧소리 매혹이 겹쳐진 그 장면은 정말이지 매혹적이었다. 그녀들은 그들만의 집으로 낯선 이를 또 그렇게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었고 가족의 탄생은 비단 출산의 고통을 인내한 세월의 장맛에서만 비롯되는 게 아니라는 통크고 화끈한 모계 사회의 살가운 똘레랑스가 터지는 꽃망울처럼 섹시하던 장면이었다.
이 소설, 박현욱의 <아내가 결혼했다>는 아주 섹시하다.
아내가 결혼했다! 도 아니고 아내가 결혼하다....도 아닌 그저 담담한 아내가 결혼했다. 는 마침표 문장의 상황 체념,인식 종결형의 제목은 분명하고 당당하다. 수녀가 임신했다. 오빠가 언니됐다. 처럼 난감한 뉘앙스의 이 제목은 다수에게 순간 도발적으로 들릴 문장임에 틀림없다. 난데없이 제시한 두 가지 문장 속의 수녀의 임신이나 오빠의 성전환처럼 아내의 결혼 역시 일상적으로 '쓰이는'표현이 아닌 것에는 틀림이 없다.(이런 말을 일상적으로 쓰는 곳이 한 군데 있는데 한국방송의 금요일 11시 오분 프로그램 "러브 앤 워")사회적인인 제도(다수의 규약에 의한,법적인 것이 아닌 그리고 대부분이 성적인 의미의)에서 조금 다르면 다 도발적이 되는 건 아니지 않은가. 작가는 아내의 결혼을 도발이 아닌 전위로 보는 듯 하다. 마치 중이 제 머리 깎았다! 하고 유레카 하는 것처럼.
물론 남성 작가의 시점에서 그런 논지를 성공적으로 스스로를 이해시키고 설득시키기에는 불가능 해서 결혼한 아내의 요목조목한 이해과정을 거치는 평범남의 성장 소설로 그려내고 있기는 하지만.
이 소설이 섹시한 이유는 사람이 아닌 관계에 집중하는 사람들의 긴장과 노력 때문이다. 일처다부제가 가능할 수 있다는 그녀와 그녀와의 떡정이 어느덧 찰진 인절미처럼 애욕이 되어버린 사내의 연애와 결혼담까지는 조금 특이한 커플의 연애담,(이를테면 유하의 "결혼은 미친 짓이다. 같은)으로 읽혔지만 초장부터 축구에 빗대어서 골,인과 딕,인을 비슷한 흥분도의 도가니로 만들던 작가는 연애담이 지나가 결혼으로 이르는 본격 제도화의 길에는 범상치 않은 패스와 태클에 보도 못한 공격적이지만 유쾌한 '필'살기를 보여 주며 지면을 그라운드처럼 갈 지 자로 질주한다. 해박하다기 보다는 잡스러운 각종 지식을 썰처럼 풀어놓으며, 오늘 펜을 들었으니 골은 못 넣어도 팔짱끼고 젠체하는 골키퍼의 머리라도 날릴 듯한 기세인 이 이야기는 잡으면 손에서 놓을 수 없는 그런 부류의 책이다.
유하의 <결혼은 미친 짓이다>에서 그녀의 파격은 들키지 않을 수 있다는 자신.정도였지만 이 소설 속의 마치 신라시대 여왕 같은 인아씨의 자신감과 매력,노력과 정성은 넌 어느별에서 왔니. 수준이다. 그녀는 일과 사랑을 다 잘해내는 원더우먼이 아니라 두 집 살림을 요령있게 해내는 엑스맨의 변신괴물에 가깝다.
이렇게 사랑스럽게 포스가 느껴지는 캐릭터를 굳이 찾는다면 김별아의 <미실>정도가 그 예라 하겠다. 꽃미남 화랑들을 속곳에 파묻고 정사를 논하는 여왕같은 인아씨는 이 책의 남자들과는 다른 종의 인간처럼 보인다. 그녀는 진심으로 보노보의 후손일지도 모른다.
선입견이 만들어낸 도발적 거슬림은, 특히 남성 독자들에게,축구와 관련된 백과사전 더하기 인간극장스러운 에피소드로 상쇄되는 부분이 있다. 낯간지러운 비유나 대책없는 짜집기 대신 축구와 관련된 팩트로 러브 월드컵의 대미를 장식하는 작가의 솜씨는 세련되지는 않았지만 정말이지 박진감있다. 이 궤를 꿰는 솜씨를 어디에서 가져왔을까 할 정도로 감탄이 나오는 매치들도 한두개가 아니다.
사랑은 게임이고 룰은 언제나 가변적이고 승자는 한 명이 아닐 수 있으며 반칙승도 승리이고, 우승뒤에는 허탈함이 따른다는 스포츠의 진리는 깔깔하기만 한 사랑의 욕망과 까칠한 지점들을 시원스럽게 밟아버린다.
마치 두 개의 리그에서 동시에 똑같은 포지션으로 활약하는 스타 플레이어의 매끄럽운 플레이를 관전하는 듯한 이 러브 게임은 행복하게도 단순한 러브 게임이 아니다.
인아씨의 사고 방식은 소설속에서나 가능한 것이라고 치부해버리기엔 현실적이고 사려 깊은 고민의 결과물이다.
그녀는 사랑을 위해서 무엇도 포기하지 않는 이기적 인간인 동시에 욕망을 위해서 많은 것을 포기하는 개인적으로 도덕적인 인물이다. 남편 둘을 얻었지만 스스로의 생활 일정 부분을 포기했고 자식을 위해서 남편 하나를 억지로 버리는 우를 범하지도 않으며 남편들을 위해서 부모님과의 관계를 끊지도 않는다. 둘러둘러 타이밍이 좋았다고 말할 수도 있겠으나 오로지 스스로가 정한 룰에 따라서 살아가면 자심의 주변인들에게 그 룰에 대해 이해시키고 설특시키며 함께 생활해가는 이런 캐릭터는 정말이지 어디서도 본 적이 없다.
그녀가 간과한 사랑의 가장 큰 죄목, 질투는 안타깝게도 두 남편들에게서 자주 발생하는데 사실 그들은 사랑 때문에 괴로운 것이 아니라 비교우위를 쉽게 판단해주지 않는 가족의 수장에 대한 질투(수컷으로서의) 그리고 다른 경쟁 수컷에 대한 동성으로서의 질투 때문이다. 이렇게 이 소설은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하는 로맨티시즘의 유령을 생매장 시키고 난 다음의 사랑의 형태변환에 대해 꼼꼼히 파고 들어간다. 사실 사랑의 제도화 되어서 존재할 경우 가장 큰 문제는 사회적인 제도 안에서의 형태적 변이와 관점이 차이 때문인데 이 소설에서는 그것을 사랑과는 별개의 것으로 보고 있다. 사랑은 마음안의 영역이고 제도안에서 파생된 가족이라는 형태의 집단은 구성원들의 영역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가족에 대한 학자들의 주석들도 나열되어 있지만 아내가 결혼한 이 사건이 말하는 가족은 애정과 의지에 종속되고 싶어하는 이들을 위한 공동체이다. 물론 한국적 상황을 인아씨가 잔다르크처럼 버럭해서 주홍글씨를 박고 살아가게 할 수는 없어서 남편 둘과 저 먼 섬으로 떠나는 결말이 유력시되지만 어쨌든 이 아내 하나, 남편 둘, 딸 하나의 가족은 모두의 수긍 아래 이러한 구성원의 가족으로서 가정을 꾸리고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뭐 72만부이상 팔린 책의 독자들의 의견 분분하겠지만 나는, 브라보다. 얼씨구나 좋아하는 사람들끼리 잘 살면 그만이지 뭐니! 굿 럭!
축구에 대해서 무지하기로 소문난 본인이지만 이 소설을 읽고 나서는 지단의 경기를 한 번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내도 결혼 할 수 있고 나도 지단 경기를 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렇게도 가족이 탄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