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타강의 시간 2
요시다 아키미 지음, 김진희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개월만에 나온 우타강의 시간 2권.
바닷마을 다이어리 때보다 대사량이 많이 늘었다.
의미없는 대사가 아니라 놓치면 않되는 대사들이 많다.
온천마을 이야기, 옛날이야기, 우정과 사랑이야기 등 많은 이야기와 등장인물들의 감정들이 대사를 통해 쏟아져 나오니 대사들을 곱씹으며 읽게 된다.
겉보기에 조용하고 한적한 작은 온천마을 안에서도 사람들이 모여사는곳이라 사람 사이의 감정들이 이리저리 얽혀있다.
어른스러운 어른, 어른답지 않은 어른, 어른이 되가는 젊은이...
전작 바닷마을 다이어리와 비교하면 좀더 진중하고 깊이가 있어진것 같다.

(예전에 다녀왔던 일본 온천마을 사진을 덧붙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기 투자라 함은 곧 당신에게 돈을 주는 사람이 기뻐할수 있도록 자신에게 투자하는 걸 뜻합니다.

인간관계를 좋게 유지하려면, 상대방을 바꾸려하지 말고 자신을 바꾸는수밖에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냥, 당신이 잘되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들이 하는 대로 휩쓸리다 보면 부정적인 에너지에 쉽게 틈을 내주게 된다. 자꾸만 다른 사람의 불평만 들어주면 자신도 어느새 불평이 늘 것이다. 남의 기분을 맞춰주거나 대화 분위기에 휩쓸리기보다는 내가 되고 싶은 나의 모습에 집중하자. 자기만의 뚜렷한 입장과 주관을 중심으로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다면 누군가 당신에게 불평을 늘어놓을 때 선택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
에너지 도둑이 나도 같은 불평을 해주기를, 자신의 의견에 동조해주기를 기대할 때 과감하게 무시하라. 나 때문에 대화의 흐름이 살짝 어그러져도 괜찮다. 습관적으로 남욕하기, 문제있으면 남 탓하기등 안 좋은 이야기들이 그득한 대화의 장에서 나를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

감정에는 좋고 나쁨의 구분이 없다는 것을 말해주고 싶다. 그 대신, 감정에서 야기되는 행동에는 좋고 나쁨의 구분이 명백히 존재한다. 감정을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서 좋은 감정이 될 수도 있고, 나쁜 감정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너무 걱정하지 마라. 불안함을 느끼는 건 당신만이 아니다. 불안함은 대개 너무 많은 생각에서 비롯된다. 벌어지지 않은 미래의 일들을 머릿속으로 그리는 버릇을 버리고 당장 눈앞에 닥친 일을 하자. 할수 있는 일은 잘 해내고 할 수 없는 일은 시간에 맡겨도 된다. 이를 위해서는 해야 할 일을 작게 세분화하여 하나하나 천천히 진행하는 것이 좋다.
어떤 일에 도전하고 있다면 너무 많이 생각하지 말고 ‘그냥 하자‘. 그러면 생각보다 불안하지 않다는걸 금세 깨달을 것이다. 당신이 생각해야 하는 것은 당신이 해내야 하는 일이지, 아직 일어나지 않은 불확실한 상황이 아니다. 우리는 내일에 대한 불안함에 빠져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귀중한 시간을 쏟아야 한다. 우리는 내일이 아닌 오늘을 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로 비롯되는 부정적인 감정에도 출구가 필요하다. 그래야만 자주 찾아오는 마음의 아픔을 오래 담아두지 않고 잘 버리는 사람이 될 수 있다. 마음의 짐이 가벼울수록 삶은 행복해진다. 사회 속의 나는언제나 전체를 위한 삶을 강요받는다. 그곳에서 내 마음, 내 기분은 무시되어도 좋은 먼지 같은 취급을받기도 한다.
은둔은 이런 식의 처우에서 벗어나 나를 위한 두 번째 무대의 시간을 갖게 해준다. 그 시간에 무엇을하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무엇을 하든, 타인의 처지에서 생각하느라 미처 돌보지 못한 나 자신을 내 처지에서 바라보며 수고했다 쓰다듬고 따듯하게 안아줄 수 있으면 된다.

익숙한 곳을 떠나 낯선 곳으로 간다는 것은 생각보다큰 용기와 결심이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그리고 무조건 낯선 영역으로 들어간다고 해서 갑자기 시야가트이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더 많은 사람이 낯선 곳을 고독하게 느끼며, 그곳에서 빠져나와 다시 익숙한 곳으로 돌아가려 한다. 낯선 것을 시도해야 하는 필요성을 알더라도 우리의 본능은 언제나 불편한곳보다는 편한 곳을, 낯선 것보다는 익숙한 것과 함께하기를 원한다.
그럼에도 우리는 노력해야 한다. 용기를 내어 낯선 것에서 도망치지 않고 그것에 적응하며, 익숙한것을 새롭게 볼 수 있는 힘을 키워야 한다. 그렇게 키운 힘은 내가 머무는 영역에서 남다른 실력을 갖게해줄 강력한 원동력이 되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