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밤이나 낮이나 가족들이 보여주는 사랑의 암시 속에서, 그들의 희망과 원망 사이에서 비난을 받거나 칭찬을 듣거나 하는 공유물이 되어 있었다_말테의 수기 283, 민음사, 문현미 옮김.

 

공유물되기를 거부하는 이 집 장손은 제사만은 무시하지 못한다. 엄마 할매 누나가 두부를 만들고 전을 부치는 등 제사 지낼 중노동을 마쳤을 때에야 나타난다. 버선발로 마중 나온 할매에게 큼직한 로코코풍 분홍 플라스틱 마이크를 선물한다(경성은 할매의 욕망을 허하라).

 

집안의 위계질서는 장손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있어도 무시한다. 그런 그를 제외하면 자아실현을 추구하면서 사는 구성원은 없다. 부양의 짐, 과한 노동, 원망, 폭언, 주정, 희생, 강요, 억압, 병간호, 암담한 현재, 그것에 이어질 당연한 미래, 서로를 굴레에 가두거나 갇혀 산다.

 

가족은 미친 짓이다를 시연하는 것이다. 얼매나 인정시럽고 잔정 많고 희생적인가, 그러면서도 시니컬하거나 퉁명스런 말투 때문에 마음속 깊은 정, 말하고자 하는 바가 곡해되고야 마는 사람들, 말투와 내지르는 문장에서 상냥함과 자상함이 결여된 사람들, 아아, 과거를 묻지 마세요. 저 안에 있네요.

 

그럼에도, 모오든 고향들의 말이여, 오오 성이여 계절이여, 상처 없는 억양이 어디 있으랴, 모오두 근사하게 들려뿌래라를 염원하는 랭보 같은 입장으로서 보아하니 대구식한국어로만 나온다. 사투리, 듣기도 읽기도 싫어하는 사람들. 혐오를 없애려면 많이 봐서 익숙해지면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달려라 억양들아!

 

할배는 재산을 미리 물려주는 바람에 리어왕인 듯 아들에게 무시당한다. 할매는 괄약근 조절이 안 되고 노망까지 난 할배를 두고 갑자기 죽는다. 가족들의 반목이 시작된다. 큰 딸이 달마다 백만 원씩 맡긴 돈과 동네 곗돈은 할매가 죽음으로써 미궁에 빠진다. 증발 한 듯한 그 돈은 할배가 택시 타고 떠나는 장손에게 비밀리에 쥐여 준다.

 

장손 이름으로 예금된 달성군 농협 통장. 장손에게만 몰아준 뭉칫돈을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받는다. 할배는 눈을 맞으며 산 쪽으로 하염없이 걸어간다. 여기서 영화는 끝난다. 할배는 산에 누워 죽어간다. 상마이, 우리 할마이는 어디가고 자네가 날 데리러 왔는가. 튀김, 두부, 제사, 거대한 나무, 절은 중국에도 있지. 자네 밭 콩 값을 후려쳐서 미안했네. 보랏빛 콩 꽃이 피는 자네 밭, 푸른 들녘은 우리의 것이지.


다 떠나거나 개발되거나 푸른 들녘이 사라졌어. 이젠 어쩔 수없이 수입으로 만드네, 우리 할마이는 상마이 자네 마누라 곗돈을 꿀꺽했어, 어쩌겠나, 나를 지옥으로 데려가게. 우리 장손은 결국 돌아올게야. 두부 공장이 더 번성하고 들녘은 다시 푸르러 질거야. 나는 믿어. 장손이 가업을 이으리라는 것, 나와는 달리 농부들에게 정직하리라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