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뢰가 전부다 -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김대영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6월
평점 :
2018년 전 세계를 뜨겁게 달구웠던 Me Too 열풍에 대한민국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는 검찰청 내에서도 성추행 사건이 있을 줄이야....
거기에 어느 도지사는 아침에 성폭력 근절을 위한 특별 지시를 내렸으나, 오후에 본인의 성폭행
혐의가 폭로되었고, 심지어는 10년 전 회식 후 노래방에서 여성을 뒤에서 껴안았다는 이유로 방송인이 하차하는 일까지
있었습니다. 이런 미투와 함께 또한 '갑질'이 우리 사회를 뒤흔들었습니다.
과연 무엇이 우리 사회를 이렇게 멍들게 했을까요?
나에 대한
자존감이 사라지고, 남과 비교하는 경쟁 사회 속에 던져진 현대인들은 남에 대한 배려가 사라졌다. 또한 어렵고 힘든 부모 세대는 자식들에게 풍요로운 삶을 넘겨주기 위해 그들을 온실 속에서 키웠다.
그렇다 보니 젊은 사람들은 소위 소황제로 불릴 정도로
자기중심적이다.
배려 없는 나 위주의 삶이 이 모든 병폐의 원인이라
생각된다.
평판이란
쌓는 데 20년 걸리지만,
망가뜨리는 데는 고작 5분이면 충분하다.
살인은 한 사람을 죽이지만, 험담은 세 사람을 죽인다.
즉, 험담을 말하는 사람, 그 험담을 들은 사람, 험담의 대상이 되는 사람에게 피해를
입힌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를 좀 더 밝고 건전한 곳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에 대한 하나의 제안이 바로 평판 관리다.
평관 관리는 일종의 프레임 관리다.
프레임은 어떤 사안을 바라보는 관점이자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이다.
디지털 세대와 공유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실생활뿐 아니라 디지털 공간에도 그 흔적을
남긴다. 현실 세계와 달리 디지털 공간은 나를 숨긴 채 세상과 소통할 수 있기에 규제나 제재에 대한 부담이
솔직히 덜하다. 그렇기에 남에 대한 비방과 혐오의 글을 쉽게 남길 수 있다.
하지만 그 흔적들 또한 나 자신이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젠 '평판이 돈'인 시대가
도래했다.
'신뢰가 전부다' 책에서는 평판 관리의 중요성과 평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평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1단계 현재 자신의 평판을 파악하고,
2단계 희망하는 미래의 평판을 설정하고,
3단계 평판을 끌어올리기 위한 수단과 방법을 찾아보고,
4단계 지금 당장 실천을 권한다.
책에서는 여러 사례와 대안을 제시하지만, 딱히 이거다!라고 느낄 핵심이 조금 약하다. 왠지 책을 읽었는데 뭔가 2% 부족한 느낌은 뭘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