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 읽어드립니다 ㅣ 읽어드립니다 시리즈
김경일.사피엔스 스튜디오 지음 / 한빛비즈 / 2021년 10월
평점 :
코로나19가 길어지며 이젠 코로나 블루(우울감)를 넘어 코로나 레드(분노) 시대에 이르렀습니다. 퇴근하고 술 한 잔 기울이던 추억, 주말이면 친구들과 함께 어울려 시간을 보내던 추억, 다양한 대면 교육을 통해 지식을 넓히던 추억 등 모든 것이 2년 전의 기억들입니다. 빼앗겨 버린 일상에 대한 상실감에 분노가 차오르고 있습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심리는 편안하신가요?
우울감과 분노로 가득 찬 현대인의 삶에 그들의 심리를 읽어주는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심리 읽어드립니다>
지금 팬데믹으로 인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나요? 불편함이 느껴지나요? 그것은 사실 상실감일 수도 있습니다. 감정을 잘 모르겠다면 잠시 멈추세요. 감정을 제대로 알아야 적절한 방법을 취할 수 있습니다. 불편함이라면 원인을 찾아 바로 제거하고 상실감이라면 빈자리를 무언가로 천천히 채워 넣어야 합니다. 우리 모두 상실과 혼란의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팬데믹 시대 우리가 쇼핑을 멈출 수 없는 데는 분명 심리적인 이유가 있을 겁니다. 그게 뭘까요?
바로 우울하기 때문입니다. 우울한 사람은 중독에 빠지기 쉽고, 우리가 가장 손쉽게 빠지는 중독은 쇼핑일 테니까요. 무언가에 과도하게 몰입한다는 것은, 그 대상이 나에게 무언가를 보상해 주기 때문에 하게 되는 행동입니다.
소유의 반대는 상실입니다. 자존감이 떨어졌을 때, 상실의 반대인 소유가 나의 자존감을 상승시켜준다는 걸 우리 뇌는 알고 있습니다.
우울할 때 어떻게든 무언가를 소유함으로써 우울로부터 빠져나오려는 건 우리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의외로 보편적인 본성에 가깝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쇼핑과몰입으로부터 벗어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누군가와 함께 쇼핑을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내 의지를 믿기보다는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만나서 대화를 해보고 난 다음에 쇼핑 사이트에 다시 들어가도 늦지 않다는 것입니다. 쇼핑과몰입을 막는 또 다른 방법은 새로운 보상 도구를 만드는 겁니다. 인간은 마음의 허기를 쇼핑을 해서 물건으로 채우려 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친절을 베풀고 그 사람으로부터 고맙다는 말을 듣는 것으로도 마음의 허기를 채울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방법들이 효과가 없다고요? 쇼핑과몰입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 더 있습니다. 라면을 드셔보세요. 배가 부르면 실제로 내 마음의 허기를 다른 물건으로 채우고 싶은 쇼핑의 욕구도 적절히 진정됩니다. 포만감을 느끼면 마음의 빈 공간을 쇼핑으로 채우려 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보상받고 싶다'라는 이 잠재적인 생각이 쇼핑과몰입을 만들어낸다는 겁니다.
장기화된 원격근무, 업무 효율이 떨어져 고민이라면 나의 뇌에 일하고 있다는 암시를 주는 것입니다. 즉, a라는 공간에서는 a라는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잠시라도 방을 나갔다가 들어오는 행위를 말합니다.
왜 굳이 방을 나갔다가 들어와야 할까요? 우리가 평소에 출근한다는 건 일터로 입장했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일터라는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우리의 뇌도 심리적으로 업무 공간에 입장해야 합니다.
팬데믹으로 인해 무기력증에 빠졌다면 어떻게 빠져나와야 할까요?
무기력 전에 오는 것이 바로 우울감입니다. 그 우울감이 지속되어, 에너지가 있어도 무언가를 할 수 없는 상태로 가버리면 이제 '무기력증에 빠졌다'라고 표현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미 무기력 상태에 있다면,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해야 합니다. 어떤 일이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계속해서 곱씹어 봐야 합니다. 의미는 인간에게 다음 일을 할 수 있는 동력이 되기도 하니까요. 즉 일을 하게 되는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무기력증에서 빠져나오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은, 의미 없는 일을 과감히 포기하고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다. 물론 그전에 내가 하고 있는 일에서 의미를 찾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죠. 무기력에서 빠져나오기 위한 가장 단순하고도 강력한 방법은 말 그대로 '빠져나오는' 겁니다. 즉 움직여야 합니다. 약간의 움직임으로 구체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활동이 가장 좋다는 얘깁니다.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게 위로보다는 격려할 줄 아는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위로와 격려는 분명히 다릅니다. 어떤 사람이 정말 낙심하고, 슬픈 상태에 있다면 따뜻한 위로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무기력한 건 상처가 아닙니다. 가야 할 방향을 몰라 혼란스러워하는 사람을 위해 필요한 건 격려입니다.
팬데믹으로 인해 우울감과 무기력증, 상실감에 빠진 현대인들에게 적절한 보상과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책입니다. 책을 통해 현재 나의 심리상태를 점검해 보며 다양한 해법을 찾아 보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심리읽어드립니다 #김경일 #사피엔스스튜디오 #한빛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