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1줄로 사로잡는 전달의 법칙
모토하시 아도 지음, 김정환 옮김 / 밀리언서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생각을 남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대면 보고가 일상인 직장인, 대중을 앞에 놓고 강의해야 하는 강사, 유튜버 심지어는 쇼셜미디어 마케팅 담당자들의 고민이다. 설득을 넘어 공감으로 이어지는 전달의 법칙을 tv에서 발견한 사람이 있다. 그분은 바로!


전달의 법칙의 저자, 모토하시 아도.

그는 방송국 조연출로 첫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딱히 장점이 없는 가게를 광고해야 하는데 어떻게 할지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식음을 전패하고 잘 만들어진 광고와 프로그램을 돌려보며 그 비결을 발견하게 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전달력을 높이는 요소들이 치밀하게 구성된 결과물이었던 것이다.

요즘 대세인 유튜브는 길어야 10여 분 내외이지만 tv 프로그램은 1~2시간 진행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들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무엇일까?

유튜브는 개인이 한정된 시간에 편집해야 하는 근본적인 문제도 있지만, '구성'과 '연출'이라는 요소가 전무하다. '구성'은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구조를 말하고, '연출'은 '구성'을 더욱 매력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

메시지의 핵심인 구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더 강한 인상을 남기고, 다음 내용이 궁금해지도록 만드는 것이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듯이 당신이 쓴 글을 끝까지 읽을지 말지를 상대는 최초 1분 안에 판단한다. 상대에게 '나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라고 생각하도록 만들 수 있느냐 없느냐는 처음의 '붙잡기'가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야기를 시작할 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먼저 공개해 보자. 핵심에 공감한 사람이라면 부연 설명도 쉽게 받아들일 것이다.

이야기를 시작할 때, 흔히 겪어 봄직한 일들을 통해 상대방에게 '공감'을 이끌어내라. 2~3가지의 공감 형성을 통해,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의 핵심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를 할 때 무작정 나열하기보다는 사전에 정보를 '정리된 상태'로 만들어 상대방에게 전달해 보자.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3~5가지의 핵심 주제와 이에 따르는 부연 설명으로 상대방이 최대한 머리를 쓰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에는 '비법'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다. 비법이라고 하면 '뭔가 굉장한 건가 보다'라는 기대감이 생겨나 자신도 모르게 집중해서 방송을 보게 된다. 즉, 비법이라는 단어는 뇌가 저절로 '이건 볼 가치가 있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비법이라고 해서 반듯이 획기적인 방법을 제안할 필요는 없다. 조금이라도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대중적이지만 않으면 된다. 요점은 상대의 흥미를 끌 '거리'를 만들면 된다.

언뜻 단점처럼 보이는 요소도 관점을 바꾸면 거짓말을 하지 않고 '장점'으로 내세울 수 있다. 광고는 꿈도 못 꾸고, 제대로 된 간판조차 만들 여력이 없는 눈에 잘 띄지 않는 가게의 경우, 방송에서는 "마치 숨겨진 은신처 같네요!"라 소개한다. 단점에 대한 관점을 비틀어 장점으로 변환하는 전달의 기술 어떤가? 대단하지 않는가?

딱히 장점이 없는 것을 소개할 때는 단점을 장점으로 바꾼 다음 그것을 '최고의 매력 포인트'로 어필해 보자. 자랑할 거리나 내세울 만한 점이 도무지 없을 경우에는 당황하지 말고 '당연한 것'을 찾아서 그것을 칭찬해 보자.

예를들어 주방 인력을 쓸 여력이 안돼 주인 아주머니가 주방을 책임지고 있을 때, "어머니의 손맛"이라 표현하는 것은 어떨까?

우리가 흔히 텔레비전 방송에서 봐 왔던 것들이 바로 전달의 법칙이었다니 책을 읽으면서 깜짝 놀랐다. 이런 기술이 있다는 것이 공공연한 비밀이었는데 이것을 책 한 권에 쉽게 예시까지 들어 설명해 놓았다. 글쓰기를 하거나 강연 원고를 쓸 때 참조하면 좋을 것 같은데, 대화를 할 때 사용하기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인다. 익숙하지만 간단하지만 점점 빨려 들어가는 전달력 패턴이 있다는 사실을 책을 통해 만나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