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또한 라디오에서 한 챕터 낭독을 듣고 묘하게 나에게 익숙한 상황으로 들려서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명절에 간 며느리가 시어머니와 음식을 했고, 시누이가 시어머니에게 제사도 없는 집에서 이젠 음식을 그만하라고 한다.

어머니는 김지영씨에게 힘드냐고 묻는다.

그에 김지영씨는 마치 친정어머니가 사돈에게 이야기 하듯...

우리지영이가 얼마나 힘든지 아느냐고 대답한다.

정말 황당한 상황이다.

(인용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대출한 책인지라^^;;)

얼마나 속이 시원하겠냐고 라디오 게스트와 진행자는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

듣는 당시에 아이를 씨름(?)하느라 제대로 들을 수 없었는데, 

그런 익숙한 상황에 사이다같이 통쾌한 말 한마디가 

아이를 돌보느라 정신없는 상황에서 어찌나 또렷하게 들리던지...ㅎㅎㅎ


결국 김지영씨에게는 출산 이후 그리고 육아로 인한 우울증이었다.

그리고 김지영씨의 태어나고 나서부터 그의 삶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나는 82년생은 아니지만 비슷한 시기에 태어난 사람으로

김지영씨의 삶의 전반적인 모습들이 이해가 되었다.

둘째는 아니지만 2녀1남 중 장녀이고,

남녀차별을 그다지 겪어보진 않았지만

김지영씨가 자라서 2차성장을 지나며 혼란과 충격과 더불어 성장하였고,

IMF의 시기에 부모님이 힘들어하시는 과정을 보며 대학생활을 지냈고,

여러 면접과 회사를 전전하며 20대를 나름 오피스우먼으로 보냈다.

결혼을 하고 1년 후에 계획하기가 무섭게 아이가 생겼고,

회사를 다니면서 입덧으로 출근길 버스에서도 뛰쳐내려봤고,

아이를 키우면서 내 삶은 무엇인지 그리고 엄마로써의 삶은 무엇인지

김지영씨가 그러하듯 아파하고 고민하며 살아가고 있는 중이다.


사실 김지영씨처럼 극단적으로 위험의 상황이 있지는 않았지만,

그녀와 같이 나는 약간 무던한 성격이었고, 수동적이었다.

그녀처럼 나름 가끔 소신의 발언을 용기내어 해보기도 했다.

그녀의 남편은 이성적 합리적이기도 하지만, 자상하기도 한게 우리 남편과 많이 닮은 듯한 느낌이었다.


이 책의 매력은

이시대를 살아가는 30대의 한 여자의 삶과 그에 따른 감정과 생각을

김지영이라는 한 인물을 통해 

섬세하고 차분하게 잘 다루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여자라면 어느 여자가 그녀의 삶에 공감않을 수 있나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우리 여자들의 깊은 속내를 보는 것 같이 갈등과 고민을 너무나도 잘 표현했다.

그리고 통쾌하게 우리가 하고 싶은 말을

김지영씨의 아픈 마음의 병으로 이야기 하고 있음은

우리의 마음을 대변해줘서 고맙기도 하지만

그녀의 아픔이 사용된 것 같아 미안해지기도 하다.


이 책은 주인공이 1인칭으로 서술하거나,

작가가 3인칭 전지적 시점으로 이야기 하고 있지 않다.

너무나도 특이하게 'ㅇㅇㅇ 씨'로 인물을 칭한다.

재미있어 보이기도 하고 객관적이어 보이기도 했다.

참 독특하다고 생각했는데 

반전인 듯하게 

그것이 아닌

김지영 씨를 환자로 둔 의사가 쓴 것이라 그랬던 것임을 나중에서야 알려준다.


책을 읽고나서 정말 순식간에 후루룩 읽은 것으로 뿌듯했다.

그런데 그 뒤의 마음은 결론없는 내가 원한 해피엔딩이 아닌데에 대한 허탈감과 현실을 보게 된 씁쓸함으로 돌아섰다.

김지영씨가 무언가 극복하고 나아가주길 바라는 건

우리가 극복하지 못한 현실을 살아가서 일지도 모르고,

현실을 똑바로 직면하고 싶지 않아서 일수도 있겠다. 

여성의 인권이 점차 향상되고 있다고 생각은 하지만,

여전히 기혼여성에게 있어선 현실은 넘기 힘들어보인다.


 과거 우리 어머니적만 해도 남녀차별적인 현상, 문화는

그냥 시대적으로 당연한 기류인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점차 여성인권 향상과 함께

우리 시대엔 남녀가 동등한 교육을 제공받음으로 여성은 남성과 평등하게 권리를 소유한 듯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성과 자아실현의 기로에서 언제나 죄책감은

언제나 여성의 몫이 될 수밖에 없고,

그러한 환경적이고도 뿌리깊은 차별적 문화현실은 여전하다.

그렇게 우리처럼 80년대에 태어난 여성들이 

과거에 비해 상당히 진전된 교육의 평등을 누리고 있는 것에 대한 댓가로

자아실현과 육아 가운데 진퇴양난을 극복할 숙제를 받은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마치 작가는 '우리의 현실은 이러하다. 어때? 너도 여기에 공감하지? 그럼 이젠 어떻게 해야할까?'라고 묻는 것 같다.

아니면 우리 사회에 우리 여성들의 삶은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것들이 너무나도 많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는 것도 같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사가 김지영씨가 좋아하는 일을 하길 바라듯이

우리 여성들도 그렇게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세상을 바라는 것 같다.

이 책은 읽고 우리는 단지 우리가 재미와 공감으로 위로받는데 그치지 않아야 한다.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 우리의 의식도 바뀌어야 한다.

우리의 삶을 현실에 내놓고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한다.

현실적인 대안들을 포기하지 않고 생각하며 시도해보아야 한다.

 

무엇보다...현실적이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지금의 나를 찾아가고

가장 시급한 것은(?) 내 아들들을 잘 키우는 것이겠다.^^;;;;

아무튼 재미와 공감되는 소재

그리고

우리 현실에 대한 가볍지 않은 폭로(?)

여러모로 정말 잘 읽었다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