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마이애미에 미술관을 짓고 수집품 7,200점을 내놓은 루벨 부부는 가난한 대학원생 시절부터 다달이 25달러를 덜어 미술에 썼다. 경제 공황으로 살 길이 막막해진 1960년대, 뉴욕의 미술가들이 상점 한구석에서 그림을 그려 빵과 우유 살 돈을 마련하자 이를 외면하지 않고 한 점, 두 점 사기 시작한 것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루벨 부부는 한결같이 스타 작가보다는 막 싹을 틔우려는 유망주에게 주목한다. 그리고 이들의 후원은 곧 스타 작가로 날아오르는 보증서가 되었다....

"슈퍼컬렉터" 중에서

1%

반면 프라다의 주인인 미우치아 프라다는 전혀 다른 길을 걷는다. 정치학을 전공한 좌파 운동가 출신답게 아트 컬렉션에 임하는 태도 또한 시니컬하다. 환금성 좋은 블루칩 작품을 사겠다고 화랑에 줄을 대는 ‘짓’ 따위는 결코 하지 않는다. 미술품이 아니라 ‘미술’ 자체에 몰입하길 원하고, 재테크를 염두에 두고 작품을 쌓아놓는 것도 싫어한다. 프라다가 가장 바라는 건 ‘어디서도 볼 수 없는 기상천외한 프로젝트’다. 건축가 렘 콜하스와 형태를 바꾸는 4면체 건축물을 만들어 세상을 놀래준 ‘트랜스포머’ 프로젝트가 좋은 예다. 주위에선 "왜 무모한 일에 수백억 원을 쓰냐"며 혀를 차지만 눈 깜짝하지 않는다. 무모해서 더 끌린다는 태도, 무목적성이야말로 예술의 가치라고 믿는 신념으로 프라다는 손에 잡히지 않는 예술 개념까지 컬렉션하고 있으니 앞서가는 인물임에 틀림없다....

"슈퍼컬렉터" 중에서

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ARPA 는 미 국방성 산하 연구기관이름이라 소설과 별개로 다른 생각에 빠졌다. 몇장 못 읽고. 전자공학과에사 내가 좋아하는 연구자료들은 거의 Darpa펀딩으로 진행되는 연구들이었다. 결국은 공격과 안보, 전쟁 관련 이슈와 관련되다 보니 내가 조사한 것 중엔 궁금해했다는 이유만으로 윤리적으로 문제 있는 애로 찍혀서 C0받은 수업도 있다.^^;
관심가진다고 문제있고 죄가 많은 거라니. 나는 저게 일상생활이 되면 얼마나 파괴적일까 걱정돼서 공부할수밖에 없었다. 맨날 인류 멸망해 버렸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이런 기술이 나와서 선택적으로 어느 특정집단 이득때문에 죄없이 누군가 죽는 건 끔찍하니깐.
뭐 그런 생각이 남.

은혜는 말들의 눈이 무언가를 그리워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했다. 하지만 연재는 은혜의 말이 틀렸다고 생각했다. 그리움을 느끼려면 그리워할 대상이 분명하게 존재해야 했다. 말들이 실체를 기억할까. 한 번도 초원을 밟아보지 못할 말들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답답함만 느낄 것이다. 갇혀 있지만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모르는 상태. 문명사회 이후 쌓아온 말들의 기억 DNA는 초원보다 마방에 더 많을 것 같았다.

41/262

"네가 이 시간에 나한테 오는 이유가 뭐가 있겠어. 거기 점장님도 기어코 베티 쓰든?"

"최저시급이 오른다니까 어쩔 수 없지. 다른 일 알아봐야지."

41/262

2차 시험도 전혀 어렵지 않았다. 소프트 로봇에 대한 이해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알아보는 실험으로, 기존의 재난구조용 소프트 로봇 ‘다르파DARPA’를 이용해 정해진 시간 안에 10톤 무게로 서로 얽힌 건축자재물 속에서 인형을 꺼내 오면 되는 과제였다.

42/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대통령이 되든 누가 교육부 장관이 되든 시험 제도에서 역사 과목이 약화되는 것은 반대다. 우리가 기억해야 될 게 있지 않나? 일본 놈들이 뭘 왜곡하나? 음악? 미술? 수학? 영어? 역사다. 왜 역사를 왜곡하겠나? 역사는 민족 정신이기 때문이다.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이해할 수 있고 앞날을 예측할 수 있다.
과거를 가르치지 마라? 말이 되나? 그럼 현재를 이해할 수도 없는 것이다. 공무원 시험 중에서 9급 시험에만 한국사 과목이 남아 있는데 경찰, 소방, 7급, 5급은 전부 다 한국사능력검정으로 대체됐다.

111/214

수험생은 지금부터 계획표를 5장 써야 된다. 첫째는 매일 계획표 한 장, 둘째는 일주일 계획표 한 장, 한 달짜리 계획표 한 장, 그리고 어떤 강의나 교재가 끝나는 두 달 과정 계획표, 마지막으로 전체 시험 날까지의 계획표. 이렇게 총 5장 시간표가 필요하다.
성공적인 수험 생활을 위해서, 합격을 위해서 치밀한 계획을 세우고 계획된 대로 공부를 해가는 게 너무나 중요하다. 계획표를 제대로 세우지 못하면 시간에 끌려가게 된다.
153/213

그다음은 우선순위다. 더 중요하고 급한 일을 먼저 우선하고 좀 덜 중요한 것은 나중으로 미루면 된다. 일주일짜리 계획표에서 월화수목금토에는 매일 10시간씩, 60시간을 채우고 일요일은 비워놔야 한다. 5~6일 동안에 계획했던 공부를 못 하면 그걸 보충할 수 있어야 된다.
재충전할 시간도 필요하다. 일요일 하루 정도는 내가 지난 6일간 잘해왔는지 한번 돌아도 보고, 빠뜨린 것 있으면 보충하자.

153/2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봉이 3000만 원인 삶과 10억 원인 삶이 다를까?

형태는 다를 수 있지만 구조는 같다.

삶의 구조를 이루는 핵심은 시간이기 때문이다.



1년에 3000만 원을 버는 사람에게도,

1년에 10억 원을 버는 사람에게도 하루는 24시간이다.

26/233

돈은 형태를 바꾸지만, 시간은 의미를 바꾼다.

시간이 삶에 의미를 부여한다면

시간을 잘 써야만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다.
26/2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