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외로운 게 뭔지 잘 모르겠다. 그렇지만 그런 마음이 생길 수 있다는 데에는 수긍할 수는 있을 것 같다.

"엄마랑 내일 학교 같이 갈까?"라고 설득했다가 "혹시 누가 괴롭혀?"라고 묻기도 했다. 은혜는 입만 꾹 닫았다. 보경에게 설명하고, 그로 인해 위로받을 수 있으면 좋겠지만 은혜도 자신이 왜 이러는지 도저히 알 수 없었다. 보경이 지금이라도 화를 내며 은혜를 두고 나갈 것 같아 두려웠지만 은혜의 마음은 문장으로 옮겨지지 않았다. 하지만 보경은 차분했고, 끈질겼다. 이런 건 예상하고 있었다는 것처럼 흔들리지 않았다. 대신 등 돌아 누워 있는 은혜를 끌어안으며, 원하는 것이 있으면 무엇이든지 말하라고 했다.

"이유도 묻지 않고 들어줄 테니까 아무거나 다 말해도 돼, 은혜야."

은혜는 한참을 망설이다 학교에 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보경은 당황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다가 본인이 한 말을 어기고 싶지 않았는지 이유를 묻지 않고 그렇게 하자고 대답했다. 만일 보경이 이유를 물어봤다면 은혜는 이렇게 대답했을 거다. 돌아오는 길이 외로워, 엄마. 힘들지는 않은데 외로워. 외롭다는 게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아직 잘 모르겠지만, 나는 그 길을 외롭다고 부를 수 있을 거 같아.

보경은 홀로 학교를 몇 번 들락날락하더니 곧 은혜에게 이제 학교에 가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127/262

은혜의 생활에는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았다. 낯선 곳에 갈 때 초행자가 당연하게 헤매는 것처럼 낯선 상황에서 아주 조금 당황할 뿐이지 그것은 곧 해결될 문제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은혜가 모든 길을 헤쳐나갈 수 있던 것은 아니었다. 불가능이 없는 시대라지만, 은혜는 도달할 수 없는 세계였다.

129/262

도망치는 거 아니고?

….

여기서 도망친다고 다른 뾰족한 수가 있어?

도망치면 왜 안 되는데?

뭐?

나도 피곤해서 좀 쉬게. 그게 나빠? 나라고 꼭 매사에 열정적으로 도전해야 돼? 왜? 남들은 안 그러잖아. 네가 말하는 보통 사람들은 피곤하면 쉬고, 힘들면 도망치고 하는 거잖아. 나도 내 마음대로 할 거야. 짜증 나 죽겠으니까.



그때는 도망치는 기간을 정해뒀어야 한다는 걸 몰랐다. 정확한 날짜를 정해두지 않으니 돌아가는 날이 점점 미뤄졌다. 가끔 세상은 은혜가 들어갈 틈 없이 맞물린 톱니바퀴 같았다. 애초에 은혜가 들어갈 수 없게 조립된 로봇 같았다. 그런 세상에 제대로 한 방을 날려줘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세상이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는 것을 몸으로 깨달을 때마다 분에 못 이겨 경마장을 찾았다. 투데이는 은혜만의 대나무 숲이었다.

130/262

친하고 말고가 지금 꼭 중요하냐고 물으려던 연재의 대답을 자르며 지수가 대답했다.

"네, 친한데요. 왜요?"

"아니, 둘이 노는 걸 본 적이 없는 것 같아서."

담임의 표정이 떨떠름했다.

"학교가 노는 곳은 아니잖아요, 공부하는 곳이지. 아무튼 저희 그럼 가볼게요."

지수가 연재의 손을 붙잡고 교무실을 빠져나왔다. 연재는 자신이 하려고 했던 대답보다 지수의 대답이 적절했다고 생각했다. 사실이 아닐지언정 덕분에 담임은 군소리 덧붙이지 못했으니 말이다.

132/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푹스각막내피이상증이 나오는 책을 읽고 있다.

안경이 아예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도수가 있는 안경을 착용한 사람은 도태된 자로 취급되었다. 그렇지만 주원은 안 했다. 아니, 못 했다. 유전성 질환인 푹스내피이상증으로 각막내피세포의 감소가 일반인보다 몇 배는 빠르다는 주원은 수술을 받을 수 없었다.

123/262

혼자 집에 가는 것보다 주원과 함께 가는 게 훨씬 재미있고 안전했던 것은 맞지만, 다시 말하자면 주원이 옆에 있어 사람들이 은혜에게 굳이 친절을 베풀지 않아 편했지만 반 아이들은 종종 둘을 묶어 취급했다. 묶을 수 없는 두 존재를 꾸역꾸역 묶으려는 단어들은 너무 직설적이었고 너무 일차원적이었다.

"삼차원의 우리가 일차원의 말에 상처받지 말자."

주원이 말했다. 은혜는 정말 그게 가능한 것인지 확신할 수 없었다. 가끔은 자신과 주원이 삼차원에 있고 아이들이 다차원에 있는 것 같았다.
123/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복희는 묻고서 멍청한 질문이었음을 깨달았다. 진화란 살아남기 위한 선택의 결과물일 뿐이다. 심지어 상아의 탈락은 오로지 인간에게서 살아남기 위한 선택이었다. 그것이 좋은 진화일 리가. 관리인은 웃으며 대답했다.

"자신들의 종족을 없애는 게 가장 최선의 방법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지 않기만을 바라야죠."

그로부터 며칠 후, 얼룩말의 집단자살을 목격하지 않았더라면 복희는 관리인의 말을 평범한 농담쯤으로 받았을 것이다.

109/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존나 슬프다.
사람이 과한 강요를 받거나 스트레스 받으면 나같은 하찮은 사람도 저렇게 퇴장해버리는데… 많은 카메라와 팬과 기자들이 있는 앞에서 저런 행동을 했을 때는 이미 정신적으로 엄청 피폐해있는 거 아닌가. 아빠가 정말 너무했다.

chapter40.

"… Ladies and gentlemen," Mario Lopez continued, "Britney Spears!"
I walked down the stairs in my high heels to "Work Bitch" and signed a few autographs for fans. But then I did something unexpected.
I walked past the cameras.
I kept walking until I got into an SUV and left.
I said nothing. I did not perform. If you were watching, you were probably wondering:What just happened?
What you didn’t see was that my father and his team were trying to force me to announce the show. I’d said I didn’t want to announce it because, as I’d been saying for months,I didn’t want to do it.
When I’d sung the song "Overprotected" so many years earlier, I’d had no idea what overprotection was. I’d learn soon, because once I made it clear that I wasn’t going to keep doing Vegas, my family made me disappear.

When it was time for blood draws, the tech drawing my blood would be flanked by the nurse, a security guard, and my assistant.
Was I a cannibal? Was I a bank robber? Was I a wild animal? Why was I treated as though I were about to burn the place down and murder them all?
They checked my blood pressure three times a day, like I was an eighty-year-old woman.
ch.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 마이애미에 미술관을 짓고 수집품 7,200점을 내놓은 루벨 부부는 가난한 대학원생 시절부터 다달이 25달러를 덜어 미술에 썼다. 경제 공황으로 살 길이 막막해진 1960년대, 뉴욕의 미술가들이 상점 한구석에서 그림을 그려 빵과 우유 살 돈을 마련하자 이를 외면하지 않고 한 점, 두 점 사기 시작한 것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루벨 부부는 한결같이 스타 작가보다는 막 싹을 틔우려는 유망주에게 주목한다. 그리고 이들의 후원은 곧 스타 작가로 날아오르는 보증서가 되었다....

"슈퍼컬렉터" 중에서

1%

반면 프라다의 주인인 미우치아 프라다는 전혀 다른 길을 걷는다. 정치학을 전공한 좌파 운동가 출신답게 아트 컬렉션에 임하는 태도 또한 시니컬하다. 환금성 좋은 블루칩 작품을 사겠다고 화랑에 줄을 대는 ‘짓’ 따위는 결코 하지 않는다. 미술품이 아니라 ‘미술’ 자체에 몰입하길 원하고, 재테크를 염두에 두고 작품을 쌓아놓는 것도 싫어한다. 프라다가 가장 바라는 건 ‘어디서도 볼 수 없는 기상천외한 프로젝트’다. 건축가 렘 콜하스와 형태를 바꾸는 4면체 건축물을 만들어 세상을 놀래준 ‘트랜스포머’ 프로젝트가 좋은 예다. 주위에선 "왜 무모한 일에 수백억 원을 쓰냐"며 혀를 차지만 눈 깜짝하지 않는다. 무모해서 더 끌린다는 태도, 무목적성이야말로 예술의 가치라고 믿는 신념으로 프라다는 손에 잡히지 않는 예술 개념까지 컬렉션하고 있으니 앞서가는 인물임에 틀림없다....

"슈퍼컬렉터" 중에서

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