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전의 대문 : 사서 편 - 인생에서 꼭 마주치는 질문들에 대한 동양고전의 답 ㅣ 고전의 대궐 짓기 프로젝트 1
박재희 지음 / 김영사 / 2016년 9월
평점 :
나는 누구인가? 지금까지 내가 생각해온 가치관은 옳은 것인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등...
자신에게 던져 봐야 할 질문들은 수없이 많다.
그러나 그 질문들에 대한 해답은 혼자서 찾기가 힘들다.
인생에 대한, 나에 대한, 삶에 대한 무수한 질문들의 해답은 어디서 찾을 수 있는 것일까?
그 해답은 바로 '고전'에서 찾을 수 있다.
그렇기에 인문학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에 고전을 읽고 이해하는 것이 필수가 되어가고 있는 듯 하다.
그렇지만 고전은 녹록하지가 않다.
읽어도 읽어도 이해가 안되는 것 같기도 하고, 때로는 시대에 뒤떨어지는 고정관념을 심어주는 것 같기도 하다.
하여 고전도 시대에 맞게, 자신에 맞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지만 이런것 또한 전문가가 아닌 보통의 사람들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기에 고전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고전 입문서' 가 절실히 필요하다.
<고전의 대문>은 고전에 대한 필요성을 충분히 채워주고 있는 책이었다.
<고전의 대문>이라고 표현한 것처럼 고전 속으로 들어가기 전에 대문의 역할을 제대로 해주고 있었다.
<고전의 대문>은 사서(四書)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사서는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을 말한다.
유교의 새로운 부흥을 꿈꾸던 송나라의 지식인들이 새로운 유교를 설명할 텍스트가 필요하여 유교 경전에서 네 권의 책을 뽑은 것을 사서라고 한다.
리더의 조건들이 단계적으로 자세하게 적혀 있는 <대학>, 우주론을 가지고 있는 사대부들의 철학서 <중용>, 날마다 새로운 배움을 통해 나를 성장시키는 사람 즉 군자에 대해 말하는 <논어>, 호연지기(浩然之氣)를 키울 수 있는 <맹자>.
이 사서는 손에 잡았다가도 쉬이 놓게 되는 고전 중의 고전들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고전의 대문>을 통해서 보면 대학, 논어, 맹자, 중용에 대한 설명들이 너무도 명쾌하고 맛깔스럽다. 사서의 본문들을 모두 소개하여 주는 것은 아니지만 본문의 내용들을 곳곳에서 원문과 한글로 만나볼 수 있다.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핵심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설명해 주고, 표를 통해 내용의 구조나 중요 내용을 다시한번 정리하여 준다.
<고전의 대문>은 사서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쏙쏙 정리하여 준 것이 무척이나 마음에 들었다.
그렇다고 설명이 딱딱하거나 절대 지루하지도 않다.
오히려 한 문장 한 문장 놓칠 수 없을 정도이다.
밑줄을 그으며 읽다보니 밑줄 표시를 한 곳이 수도 없이 많아졌다.^^
대학, 논어, 맹자, 중용 그 중에서 <대학>이 제일 마음에 들었다.
대학의 핵심은 3강령 8조목이라고 하는데, 이는 자기경영을 위한 지침과 성취해야할 목표이며 8조목 하나하나마다 각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6단계도 있다고 한다.
대학의 3강령 8조목 6단계를 보면 '자기계발서'들에서 말하고 있는 것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을 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었다.
고전 입문서들이 시중에 많이 나와있고, 그 중 몇 권정도는 읽어보기도 하였고, 고전을 읽기 전에 꼭 입문서 같은 것을 읽어야 할까 싶은 생각에 <고전의 대문>을 읽는 것에 대해 무척 고민을 했었다.
그러나....
<고전의 대문>을 읽고보니..
이 책, <고전의 대문>은 꼭 읽어봐야 할 책이었다.
본격적으로 고전 읽기에 들어가기에 앞서, 혹은 고전을 읽어봐야는 하겠으나 어려울 것 같아 쉽게 시작하지 못하거나, 또는 사서를 큰 마음 먹고 읽기 시작하였으나 좀처럼 진도가 나가지 않는다면,
반드시 <고전의 대문>을 읽어야 한다.
<고전의 대문>을 읽고 나면 고전에 대한 두려움은 어느새 사라지고 고전 읽는 재미에 푹~빠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