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버리는 즐거움 - 7:5:1 정리 법칙으로 일상이 행복해지는 기술
야마시타 히데코 지음, 박선형 옮김 / 생각정거장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집 안의 물건들을 차근차근 보기 좋게 정리하여야 된다는 의무감, 아니 주부들의 숙제라고 해두는 것이 더 마음이 편할 듯 하다.
어느 날은 마음 잡고 정리를 싹 해놓다가도 어느샌가 나도 모르게 마구 복잡해져 있는 물건들.
겉으로 보기에는 괜찮은데 문이나 서랍을 열면...아~~ '정리해야 되는데~~' 하기 일쑤..
요즘 부쩍 정리에 대한 부담감을 갖고 있는지라 정리에 관한 책만 보면 읽고 도움을 받고 싶어진다.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정리하고 나면 항상 정리 상태가 되는 것일까 하고..
<버리는 즐거움>은 7:5:1 이라는 정리 법칙을 알려준다 하여 나의 눈길을 끌었던 것..
7:5:1의 정리 법칙은 보여주지 않는 수납이 70퍼센트, 보이는 수납이 50퍼센트, 보여주는 수납이 10퍼센트라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런 정리법칙을 통해 '단샤리'를 실천하게 되면 공간은 자신이 생각한 대로 바뀌면서 방이 안락하게 느껴지고 청소도 즐거워질것이라고 한다.
여기서 '단샤리'는
단: 넘쳐나는 물건을 '끊는다'
샤 : 불필요한 물건을 '버린다'
리 : 끊고 버리는 것을 반복하면서 물건의 집착에서 '벗어난다'.
우리집에도 보면 왠지 아까워서 버리지 못하고 쌓아둔 물건들이 제법 된다.
이런것이 물건의 집착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었는데, 아끼는 것이라고 언젠가는 쓸 일이 있을지 모르니 놓아두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물건에 대한 집착이었나 보다.
여튼 <버리는 즐거움>은 7:5:1 이라는 비율로 '먹는 공간, 입는 공간, 자는 공간, 지내는 공간, 씻는 공간, 배우는 공간, 다니는 공간'으로 구분하여 각 공간에 맞는 정리 방법을 보여준다.
<버리는 즐거움>에서 알려주고 있는 독특하면서도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정리 방법 몇 가지만을 간단하게 적어본다.
-행주는 필요 없다,
단샤리의 근본은 당장 눈앞에 보이는 소비절감을 의식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사물들이 잘 사용되게끔 집중하는 것이다. p 25
그래서 천으로 된 행주를 사용하지 말고 일회용 키친타월로 하는 것이 더 청결하고 효율적이라고 한다.
-식기건조대는 두지 않는다.
식기건조대를 두지 않고 씻은 그릇을 키친타월을 펼쳐 뒤집어 놓고 물기를 뺀 다음에 선반에 집어 넣으라고 한다. 식기건조대는 무의식적으로 무질서해지는 장소가 되기 때문이란다.
정말 그렇다. 식기건조대는 차근 차근 놓다가도 그릇이 많아지면 어쩔수 없이 쌓아 놓을 수 밖에 없다.
- 전기밥솥, 전자레인지를 단샤리 하기.
이 방법은 잘 사용하지 않는 전자레인지는 없애고, 전기밥솥 대신에 가스에 밥을 짓는 압력 솥을 이용하라고 한다. 싱크대 위에 가전제품을 올려 놓지 않아야 깔끔해진다는 것.
이건 좀..과연 될까 싶다.^^
- 거실에 소파를 두지 않는다.
작은 집일 경우 덩치 큰 가구들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의미였다.
- 화장실 슬리퍼 없애기
화장실 매트나 변기 매트 등과 변기 청소도구 또한 두지 않는다. 대신 일회용 화장실 변기 청소 물티슈로 청소하고 버린다고 한다. 자주 청소해주고 깨끗함을 유지하면 화장실 슬리퍼를 없앨수 있다는 것.
그런데 일회용 화장실 변기 청소 물티슈라는게 우리나라에도 있나?
<버리는 즐거움>의 저자는 일본인이다. 각 공간에서 깔끔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인 '단샤미'를 소개해주고 있는 내용에서 집의 구조가 우리나라와는 약간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다. 생활 문화에서도 다른 면이 있었다. 각 공간에서 버리고, 보이게 정리하고, 보이지 않게 정리하는 것들이 소소한 것에서부터 커다란 물건까지 어찌보면 세밀하다 싶게 알려준다.
<버리는 즐거움>외에 정리에 관한 책 몇 권을 읽으면서 공통되게 느껴지는게 있었다.
그것은 바로 언젠간 쓰겠지 하며 아껴둔다는 착각하에 깊숙이 넣어 두고는 잊어버려서 혹은 오래되서 사용하지 않는 물건들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7:5:1의 정리법칙처럼 보여주지 않는 수납 70퍼센트, 보이는 수납 50퍼센트, 보여주는 수납 10퍼센트 대로 정리를 하는 것이 공간에 활력과 가족들에게는 편안함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버리는 즐거움>에서 알려주고 있는 방법중에서 절대, 아니 정말로 포기하지 못 할 몇가지가 나처럼 이 책을 읽는 독자에게도 있지 않을까 ?
우리가 정리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정말 물건의 집착에서 오는게 맞는가 보다..^^
이렇게 7:5:1로 <버리는 즐거움>을 배우다 보면 물건에 대한 집착도 없어지고, 집 안이 여유로움과 편안함이 가득한 공간이 되지 않을까 싶다.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리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