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 - 언제 어디서든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별자리 관측 가이드북
나가타 미에 지음, 김소영 옮김, 김호섭 감수 / 더숲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하늘의 별을 보면 왠지 마음이 차분해진다.

시골에 살아서인지  마당에만 나가도 참 많은 별들을  볼 수 있다.

별을 가만히 바라보고 있노라면 자연스레 북극성과 북두칠성이 어디에 있을까 하고 찾아보게 된다.

어떤 날은 쉽게 북두칠성을 찾게 되는데 어떤 날은 도대체가 찾을 수가 없을 때도 있다.

 별자리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는데 난 왜 이렇게 별자리를 찾는 것이 어려운지...^^

망원경이 없어서 그런건가 싶어 천체망원경을 사고 싶은 마음이 정말 굴뚝 같다.

그런데 천체 망원경은 또 어떤걸 사야하지? ㅎㅎㅎ


그래서 <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을 읽어보게 되었다.

언제 어디서든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별자리 관측 가이드 북이라고 하는 <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으로 별자리를 찾는 방법을 배우고 싶었다.


<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은 참 쉽게 설명되어 있었다.

이렇게 쉽게, 그리고 이렇게 많은 별들을 우리 주위에서 관찰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쁘기까지 하였다.


<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은 도시의 밤하늘에서 별을 찾는 방법과 야외에서 별을 관찰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도시의 밤하늘에서는 계절별로 볼 수 있는 별자리를 소개하여 주고 별자리에 얽힌 신화도 재미있게 들려주고 있다. 불빛이 많은 대도시에서는 별이 잘 안보일것 같지만 가능하면 빛을 등지고 어두운 쪽을 바라보면 별들이 보인다고 한다.

별은 겨울에 훨씬 많이 볼 수 있으며 지금이 6월 중순이 넘었으니 지금쯤은 밤 8시경에는 대삼각형 별을 찾아볼 수 있다.

손을 각도기로 이용해서 북극성을 찾을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지금 북극성이라 부르는 별은 작은곰자리의 꼬리 부분에 위치한 폴라리스입니다. 이는 지구의 회전축을 북쪽으로 곧장 따라간 방향에 폴라리스가 있기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구의 지축은 약 2만 5,800년에 걸쳐 마치 팽이가 좌우로 돌며 움직이듯 '세차'라 불리는 운동을 하는 중입니다. 따라서 수천 년이 지나면 지축의 기울기가 바뀌어 버리지요. 1만 2,000년 후에는 직녀성의 거문고자리 베가가 북극성이 되겠네요. p 31


북극성이 바뀐다는 사실..와우 처음 알았다.

그러나 아주 먼 훗날에 바뀔것인지라 우리에게는 북극성이 바뀔 일이 없는 것..^^


야외에서 별을 관찰할 때에 필요한 차림과 준비물, 그리고 어떤 곳이 잘 관찰 될 수 있는지도 알려준다.

별을 보러 갈 때는 꼭 따져야 할 것이 보름달이 떳을 때는 달빛 때문에 별이 잘 보이지 않으니 달빛이 없는 그믐 전후에 가는 것이 좋다고 한다.

쌍안경을 고르는 방법과 쌍안경의 배율에 따라 관찰 할 수 있는 천제도 알려주고 있다.

쌍안경의 배율이 5~10배이면 달의 크레이터와 오리온 성운, 안드로메다 은하, 목성의 갈릴레이 위성까지도 보일 수 있다고 한다.


<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에는 이밖에도 해성과 유성등에 대해 간단하게 알려주는 밤하늘의 이모저모와 2050년까지 볼 수 있는 주요 일식과 월식의 날짜와 시작시간까지 알려주고 있기도 하다.

또한 천문 교육 시설이라고 할 수 있는 플라네타륨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한국에 있는 플라네타륨의 위치도 소개해 준다.


별자리 관측을 언제 어디서든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주고 있는 <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

조만간에 쌍안경을 구입해서 아들과 함께 별들을 보고, 별자리도 찾아봐야 겠다.


참고로 <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은 저자가 일본인인데 우리나라 독자들을 위해서 강원도청소년수련관 별관측소 소장인 김호섭님께서 우리나라식의 표현으로 바꾸어 주셨다.

별자리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되어 있고 쉽게 설명이 되어 있기는 하지만 처음 천체관측을 시작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어보인다. 오히려 별자리를 찾는데에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 본다.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리뷰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