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 않는 대화 -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에서 찾은 설득의 기술
다카하시 겐타로 지음, 양혜윤 옮김 / 라이스메이커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500년 동안 설득을 위한 대화법의 기준이 되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

그러나 나처럼 평범한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을 읽어보아도 이해가 힘들다. 아니 읽기는 하여도 그 속에서 대화와 설득의 방법을 꺼내어 적용하기가 정말 어렵다.

읽다가 덮고, 읽다가 멈추고를 몇 번이나 반복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을  이해하기 쉽게, 차근 차근 정리하여 실제 설득하는데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준 책을 만나게 되었다.

바로 <다카하시 겐타로>의 <지지 않는 대화>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에서 찾은 설득의 기술을 잘 정리해 주고 있는 <지지 않는 대화>는 획기적이다. 변론을 읽으면서 무엇을 찾아내야 하는지 답답했던 마음을  시원스럽게 뚫어준다.


아테네에서 변론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이유는 민주제도가 확립되고, 법정이 있었지만 지금의 정치가나 변호사와 같은 전문가가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시민 스스로가 자리에 참가해 자신하게 유리하도록 변론을 하고 사람들을 설득해야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말만 번지르르 하고 내실은 없는 변론을 가르치는 '소피스트'들에 대해 플라톤은 반감을 가졌고,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진짜 변론술을 만들어 <변론술>이라는 저작물의 형태를 남기기도 하였다는 것이다.


<지지 않는 대화>는 지금까지도 설득을 위한 화술, 토론법의 유일한 고전이자 최고의 서술인 <변론술>을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게 쉬운 표현과 예문으로  보기 좋게 정리하여 설명하고 주고 있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의 전체적인 구조라고 한다.

<지지 않는 대화>에는 이 구조를 기본으로 설득의 기술을 총 6장에 걸쳐 설명을 해주는 것이다.




변론술이란 어떤 문제든지 그 각각에 대해 가능한 설득 방법을 발견해 내는 능력이다. <변론술, 제1권 제 2장> p 31


이 말은 특별한 지식이나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대를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한다.

그 방법은 1. 말하는 하람의 인품, 2. 듣는 사람의 기분, 3. 내용의 올바름이라는 것이다.

이 세 가지의 요소가 누군가를 설득할 때는 복잡하게 섞여야 한다. 이 중 어느 하나의 요소만으로 상대를 설득하는 상황은 현실에 거의 없단다.


<지지 않는 대화>의 1장과 2장에서는 변론술이 발전하게 되는 배경과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해서 그리고 <변론술>에서 가장 중요하고 커다란 핵심인 설득의 3가지 요소를 두고 설명을 하여준다.

3장에서부터는 설득 기술인 방법을 세부적으로 설명하여 준다.


3장. 말하는 내용으로 설득할 때는 설득 추론을 사용하고 뼈대는 최대한 단순하게, 근거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으로 하라고 한다.

'논점'이나 '논법'이라고 번역되는 '토포스'는 설득 방법의 패턴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지지 않는 대화>의 3장과 6장에서 토포스로 설득의 기술을 말하여 준다.

3장에서의 토포스는 정의, 반대, 상관, 기결, 비교, 분할, 선악, 본심과 포장, 비유, 결과, 일관성, 억측, 있을 수 없는 일, 귀납의 토포스를 알려준다.

6장에서는 궤변에 관한 것으로 결론 같은 거짓, 다양성의 거짓, 분할과 합성의 거짓, 부수적 결과의 거짓, 조건의 거짓 토포스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다.




 



4장에서는 듣는 사람의 기분을 유도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한다.

감정 유도만으로는 토론을 바른 결론으로 유도하거나 설득할 수 없다. 감정의 유도는 설득의 '보조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지지않는 대화>에서는 설득에 효과적인 5가지 감정인 분노, 우애, 두려움, 부끄러움, 동정심을 유도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5장에서는 나의 인성을 훌륭한 것처럼 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한다.

'왜 그 사람의 의견은 항상 통하지?'라고 의아해한 적이 있을 것이다. 이렇게 '그 사람이니까' 통하는 것이 바로 '말하는 사람의 인성'에 의해 설득 되는 것이다. 그만큼 말하는 사람의 인성도 설득에서는 중요한 것으로 ,

신뢰를 얻기 위한 3가지 요소는

1. 청중에 대한 호의

2. 덕(德)

3. 프로네시스(phronesis, 사려, 현명한 생각, 실천이성) 라고 한다.


프로네시스를 간단히 말하면 '실생활 속에서 가장 현명한 선택지를 고르는 능력'을 의미한다. p 150


이 프로네시스를 유도하는 방법으로는 선악을 잘 이해하고, '더 좋은 것'을 판단할 줄 아는 것이라고 한다.


지지 않는 대화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에서 찾은 설득의 기술이라 하여 처음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처럼 어렵지는 않을까 걱정했었다.

그런데 막상 지지 않는 대화를 읽기 시작하면서부터는 그런 걱정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져버렸다.

그리고 머리 속이 시원해지는 느낌이 들면서 '아~ 그래, 그런거구나~' 하며 고개를 끄덕거리며 술술 읽어갈 수 있었다.


대화와 설득, 그리고 심리까지 담겨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에서 찾아낸 설득의 기술 <지지 않는 대화>

아리스토텔레스의 변론술을 유쾌하고 가볍게 그러나 깊이 있게 읽으며 시원스럽게 배울 수 있는 책이 바로 지지 않는 대화가 유일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