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는 역사는 아주 작습니다
이호석 지음 / 답(도서출판)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아는 역사는 보통 학교에서 배운 것이 전부일 때가 많다. 특별히 역사와 관련된 책들을 찾아 읽지 않는 다면 우리가 아는 역사는 '언제, 누가, 무슨 일이 벌어졌는가?' 에 한정되지 않을까 싶다.

시험을 위해 연도와 지명, 인물, 사건, 유물의 이름을 외우기에 급급하여 그것의 중요성이나 그 안의 어떤 이야기들이 숨어있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이에 이호석 저자는 <보이는 역사는 아주 작습니다>에서 문화와 유물들에 담긴, 우리가 알지 못했던, 깊이 생각하지 못했던 스토리를 들려준다.

우리는 이 스토리들을 통해 문화와 유물들을 더욱 친근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그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게 된다.


<보이는 역사는 아주 작습니다>는 총 4부로 되어있다.

1부에서는 우리 유물, 우리 사람을 스토리에 담았다. 윤봉길 의사가 일본에 의해 총살을 당한 상황, 조선왕조실록을 만들어낸 조선의 기자들, 적국에서 드날린 조선의 소현세자와 흥영군 이우 등..

태종이 사냥을 나가 말에서 떨어진 사건을 사관에게 알리 못하게 하라고 한 말까지 기록으로 남긴 조선의 기자들, 그 기록은 왕이라도 꺼내어 볼 수 없었다고 하는데 조선 말기에 가서는 사관들이 정치에 휩쓸리게 하였다고 한다.


2부에서는 우리가 몰랐던 국보 이야기를 들려준다.

천년을 묻혀 있었다고 하는 백제 금동 대향로, 신라 고적 가운데 최고라는 경주 장항리사지 석탑은 도굴꾼이 폭파하기도 했었다고 한다. 또한 한때는 창경원으로만 알고 있었던 창경궁의 파란만장 수난사와 삼국유사 그리고 충주 고구려비의 글씨가 너무도 닳아버린 뒷면의 이야기 등..


3부에서는 안타깝게 떠나버린 우리 역사의 영웅들의 이야기이다.

이순신의 죽음을 둘러싼 논란, 조선 최고의 침의가 된 노비 허임. 허임은 세종조 허조의 9대손으로 대대로 관노신분이었다고 한다. 조선에는 여왕이 없는 나라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왕보다도 더한 권력을 그것도 폭압 정치를 폈던 조선 13대 명종의 친모 문정왕후, 중앙정보부에 끌려가 고문에 자살까지 시도 한 천재 작곡가 윤이상,


4부에서는 옛날 이야기지만 현재가 비칩니다로 과거의 잘못이 여전히 반복되고 시대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내 머리는 자를 수 있어도 나라의 영토는 한 치도 자를 수 없다. 여기에 나라의 오래된 증거(정계비)가 있는데 어찌 이리도 나를 겁박하느냐." ( 감계사등록 참조) p 252


이 말은 고독한 전쟁으로 간도를 조선 땅으로 남을 수 있게 했던 조선 외교관 이중하 선생의 마지막 말이라고 한다. 이 간도땅은 1909년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탈한 일본이 청과 일방적으로 간도협약을 맺어버림을써 영유권을 상실하게 되었다고 한다.


허난설헌으로 잘 알려진 허초의 축복이 아닌 재앙이 되어버린 재능과 우리나라의 국부라고 추앙받는 이승만의 이야기..공민왕, 선조, 이승만 이들 셋의 공통점은 수도를 버렸다는 것이다. 하여 이승만이 국부라는 칭호를 받을 만 한가에 대한 이야기, 15만 원 군자금 탈취사건에 대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우리가 단편으로만 알고 있던 혹은 전혀 알고 있지 못했던 역사적 인물이나 문화 그리고 유물에 관하여 <보이는 역사는 아주 작습니다>에서 들려주고 있는 이야기들은 우리 역사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한다.


여기에서 들려주고 있는 내용들이 우리의 역사의식이나 문화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너무도 부족하여 생긴 일들이 많기도 하여 참 안타까우면서도 부끄럽기도 하였다. 나도 한 때는 역사를 왜 배우는 것인지 깨닫지 못하여 그저 외우기만 하고 시험이 끝나면 깨끗하게 잊혀지는 그런 사람이었다는 것이 몹시 부끄러워진다..한편 우리나라 역사 교육의 한참 부족하다는 생각도 들기도 한다.


문화와 유물, 인물들의 깊은 이야기를 알아야 역사 속에서 잘못된 것은 현대에 다시 일어나지 않게 반성하고, 잘 된 것은 본받을 수 있을텐데 이러한 교육이 부족하였기에 잘못된 역사를 되풀이 하는 현상도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제 나도 좀더 역사에 깊은 관심과 그 안에 담긴 이야기들에 관심을 가져봐야 겠다.


머리로 익히는 역사가 아니라, 가슴으로 느끼는 역사이여야  함을 <보이는 역사는 아주 작습니다>를 통해서 절실히 느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