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욕심 많은 아이로 키워라 - 상식을 뛰어넘는 29가지 육아법
헤더 슈메이커 지음, 김정은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상식을 뛰어넘는 29가지 육아법을 담은 <욕심 많은 아이로 키워라>
육아 관련 책을 많이 읽는 탓에 책의 제목이 이전 육아책들과는 다른 관점을 던져주고 있는 것 같기는 했지만, 사실 이 책에 대해 큰 기대를 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욕심 많은 아이로 키워라>는 나의 기대 이상이었고, 시원하고 명쾌한 그런 책이었다.
제목이 <욕심 많은 아이로 키워라>여서 아이들에게 욕심을 많이 갖게 하는 방법이나 욕심이 많은 것이 좋다는 그런 내용을 담은 것이 아니다.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욕심은 이기적이고 안좋다고 가르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아이에게 양보하는 것이 선한 것이고 좋은 것이라고 가르친다.
싸워서도 안되고, 때려서도 안되고, 뛰어다녀도 안되고...
이런 모습은 우리들 보통의 어른들의 모습일텐데 <욕심 많은 아이로 키워라>는 우리의 이런 지극히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했던 육아법들을 뒤집어 버리는 것이다.
우리가 육아에 있어서 상식이라 생각했던 것들을, 아니 고정관념화 된 육아법들을 뛰어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 있는 방법들이 아주 생소하고 차원이 다른 그런 육아법들은 아니었다.
<욕심 많은 아이로 키워라>의 29가지 육아법은 그야말로 '아이를 진짜 아이답게 자라게 하고, 올바르게 자랄 수 있게 해주는 육아법' 이었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상식을 뛰어넘는 29가지 육아법은 특별한 방법들이 아니었다.
조기 교육이 좋지 않음을 말하고 절대적으로 아이의 놀이 시간을 빼앗지 않는 것과 놀이는 아이가 주도하해야 한다는 것등 몇 가지 정도는 많이 들어 알고 있는 내용일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정말 그래도 괜찮을까?' 하고 생각할 수 있는 육아법들도 있었다.
손으로 치고, 발로 차도 괜찮다라든가 동생을 미워해도 괜찮다 또는 몸싸움을 해도 괜찮다 등..
목차에 있는 29가지 육아법만으로 전부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이 육아법들이 어떻게 아이에게 효과적이며 어떤 방법으로 아이들이 절제와 조절을 하며 할 수 있게 되는지에 대한 방법들이 있기때문이다.
아이는 잠시라도 그렇게 쿵쾅대며 주먹으로 소파를 내리치면서 자신의 감정과 몸을 소진 시켜야 한다. 심리학자 도러시 브리그스는 격렬한 신체 활동이야말로 부정적인 감정을 제거할 수 있는 완벽한 방법이라고 말한다. P 117
아이가 때리고 발로 차는 것을 무조건 나쁘다고 할 것이 아니라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주고 대체 대상을 제공해주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때려서는 안되는 경우는 확실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아이들에게 양보란 소유하고 통제하는 것에 초첨이 맞춰져 있다. 자신의 놀이가 완전히 끝날 때까지 물건을 차지할 수 있도록 허락받을 때, 아이들은 신뢰와 관대함이라는 교훈을 가장 잘 배울 수 있다. P 189
29가지의 육아법은 상식을 뛰어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동안 아이들을 어른들의 기대치로 키우려고 했던 것임을 인지하게 해주고 진짜 아이들 본연의 모습을 되찾게 해주는 방법들이었다.
그리고 이 29가 방법에는 권리와 아주 중요한 규칙, 저자는 이 규칙을 '황금률'이라 부르고 있다.
황금률은 '다른 사람이나 남의 물건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다면 괜찮다'는 것이다. P20
여기에서 권리는 아이의 권리가 된다.
권리는 13개가 있지만 그 중에 몇 가지만 말한다면 틀에 짜이지 않은 자유 놀이를 할 권리, 안전감을 느낄 권리, 자기사 선택할 권리, 표현할 권리 등을 말한다.
<욕심 많은 아이로 키워라>를 읽는 내내 모두가 공감이 되고, 아들 성주를 생각하면서 읽다보니 '맞아, 맞아'라고 할 수 밖에 없었고, 문장 하나 하나 새겨두게 하는 그런 책이었다.
또한 설명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직접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나 대화들이 29가지 육아법 모두에 실려 있어 적용해보기에도 수월하다.
아이의 본연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아이를 존중할 수 있게 해주고, 아이가 정말 아이답게 그러면서 어른들이 바라는 인성을 갖을 수 있게 해주는 육아법이, 상식을 뛰어넘는 29가지 육아법이 담긴 <욕심 많은 아이로 키워라>라고 자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