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 있는 세계역사 이야기 - 10대가 묻고 18명의 역사학자가 답하는 ㅣ 10대를 위한 문답수업 5
저우하이옌 지음, 조윤진 옮김, 노경덕 감수 / 글담출판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국사 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한다는 이야기로 시끌시끌 하다.
국정교과서가 된다는 것에 반대하는 한 사람으로써 역사에 대한 참의미가 무엇인지를 알게 해주는 그런 책을 이 시점에 읽게 되었다는 것에 <살아 있는 세계 역사 이야기>는 더욱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살아 있는 세계역사 이야기>는 세계사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18명의 역사가나 역사 관련 학자들의 연구 성과와 중심 사상을 학생들과의 문답 형식으로 풀어낸 색다른 세계역사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은 시기별로 혹은 역사에 있어서 영향을 끼쳤던 사람들 중심으로 역사를 접했었다면 <살아있는 세계역사 이야기>는 역사를 직접 쓰거나 연구했던 사람들의 중심사상이나 그러한 배경이나 역사가 왜 중요한 것인지를 일깨워줄 수 있는 내용이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역사학자들은 헤르도토스, 투키디데스, 크세노폰, 폴리비오스, 사마천, 플루타르코스, 아우구스티누스, 니콜로 마키아벨리, 볼테르, 에드워드 기번,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게오르크 헤겔, 테오도르 몸젠, 막스 베버, 오스발트 슈펭글러, 스타브리아노스, 더글러스 노스, 로빈 콜링우드이다.
이 18명의 역사학자들에게서 그동안 우리들이 놓치면서 읽었을 법한 역사의 중요한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아테네의 폴리스 제도를 통해 역사가가 가져야 하는 사명감,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야기를 통해 스파르타가 아테네를 이긴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소아시아 원정기를 통해서는 역사 속 전쟁들을 어떤 시선으로 봐야 하는지, 역사는 왜 끊임없이 순환되는 것인지, 역사책을 쓴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것인지, 역사적 인물의 평가 기준은 무엇인지, 서양사에서 기독교가 왜 중요한 것인지, 역사는 왜 군주를 중요하게 다루는 것인지, 역사의 서술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역사적 양심과 정의는 무엇인지, 르네상스 운동이 왜 역사적으로 중요한 것인지, 세계사의 발전을 이끄는 것은 무엇인지, 로마 제국의 멸망을 어떻게 봐야 하는 것인지, 동서양의 종교와 경제의 역사적 차이는 무엇인지, 역사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인지, 인류문명의 시대를 어떻게 구분하는 것인지, 그리고 역사가 경제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있는 것이며, 역사학과 과학의 차이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려주고 있었다.
이 18가지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가 그동안 역사를 어렵게 생각하거나 외우기에만 급급했던 마음들에서 역사에 대해 눈을 뜨게 해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아테네 폴리스 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모든 사람이 발언할 수 있었으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국가는 가장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었고 군주제처럼 군왕 한 사람의 잘못으로 국가 전체가 잘못되는 일이 없고, 다른 의견을 무시한 채 폭력적인 정책을 남용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p 25
여러분도 역사를 바라볼 때 어느 한 부분에만 주목하지 말고역사의 변화와 그 변화를 일으킨 원인이 무엇인지 주의 깊게 살펴보길 바랍니다. p 65
인류의 역사는 인류의 생각 발전의 역사이자 인류의 정신 발전의 역사이며, 모든 역사는 생각의 역사 입니다. p 249
세계사든 우리나라 역사이든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는 듯 하다.
학창시절에는 왜 역사라는 것을 배워야 하는지 이해를 하지 못했었다. 사람이 한 개인으로 살아가는데 나라의 세계의 역사가 무슨 영향을 미칠까 싶은 생각에서 또는 그저 시험과목이 하나라도 줄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배우지 않아도 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내가 나이들어 보니, 아니 심리에 관심을 갖다보니 이 역사라는 것이 사람들의 마음에도, 사람들의 생각에도 무의식중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느낄 수가 있었다.
사람을 이해하고 지금의 시대를 이해할려면 그리고 보다 넓은 시선, <직장인을 위한 7번 읽기 실천법>의 저자가 말했던 '부감력'을 키우려면 바로 역사에 대해 바르게 알아야 하고 비판적 사고와 이성적 사고를 갖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살아있는 세계역사 이야기>에는 여기에 담지 못하는 중요한 이야기들이 참 많았다.
이 책이 역사이야기다 보니, 또 요즘 한창 거론되고 있는 국정교과서에 대한 이야기를 안 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서평이다 보니 조심스럽기도 하다.^^
청소년들이 이 책을 통해서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귀찮은 시험과목의 하나가 아니라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것이 역사임을 알 수 있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