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만 모르는 것들 - 우리 아이 잘되게 하는 23가지 엄마 이야기
노경실 지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15년 8월
평점 :
나의 어머니 세대들은 자식들을 키우는 데에 있어서의 목표가 거의 '먹고 사는' 것이었다고 한다.
자식들을 굶기지 않게 하기 위해 열심히 일만을 하셨다고 한다. 그래서 그 당시에는 자식들을 어떻게 키워야 올바르게 키우는지에 대한 생각을 할 겨를 조차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의 나와 비슷한 나이의 엄마들이나, 현대의 엄마들은 '먹고 사는'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자식들을 성공한 사람으로 키울 수 있을까에 초점을 두고 있지 않나 싶다.
자식의 성공을 위해 좋다하는 학원이나 과외 또는 좋은 스펙을 갖게 하기 위해 '일'을 하는 엄마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성공은 곧 공부의 성적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여겨지는 사회적 환경속에서 엄마들은 조기교육과 초등학생때부터 여러 학원들을 같이 따라다녀 주며 '스터디 메니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나마 초등학생때까지는 아이들이 엄마들의 의견을 잘 따라 주는 편이지만 정작 아주 중요한 시기인 중학생이 되면서부터는 '사춘기'라는 것이 엄마와 아이들을 많이 힘들게 하는 것을 주위에서 많이 지켜보았다.
사춘기가 되면 아이들도 엄청 힘이 들지만 아이들 만큼이나 엄마들도 힘겨워 한다.
이때 엄마는 많은 생각이 들게 된다. 때로는 우울증에 걸리는 엄마들도 있기도 한 듯 싶다.
<엄마만 모르는 것들>은 이렇게 아이들의 일이라면 발 벗고 나섰던 엄마들, 그러나 아이들이 사춘기가 되면서부터는 엄마의 존재가 너무도 약해짐에 서글퍼 하는 엄마들에게 따스한 위로를 전해주고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23가지의 엄마들의 이야기를 통해 나와 같은 경험을 한 엄마들의 이야기를, 또는 앞으로 나에게 닥쳐올 수 있는 이야기들을 읽으며 그동안 위로받지 못했을 엄마들의 마음을 다독여 주고 있었다.
<엄마만 모른 것들>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 걸까?
엄마는 자신이 '얼마나 자신에 대해 잘 모르는지', 그것을 모르고 있습니다.
엄마는 다섯 살 그 때, 자신이 얼마나 귀엽고 사랑스러웠는지를 기억조차 못합니다.
(중략)
엄마는 교복 치마를 입은 자신이 친구들에게 얼마나 반갑고, 힘이 되며, 즐거운 아이였는지 기억하지 못합니다. p 113
엄마는 자식을 위해서 자신의 많은 것들에 대한 기억을 잃어버렸다는 것이지요.
곧 자기 자신을 잃어버렸다고 말할 수 있으며, 엄마가 가장 모르는 것은 바로 '엄마, 자신'이란 것을 저자는 말하고 있었다.
하여 저자는 23가지의 엄마들의 이야기를 통해 엄마 자신이 우선은 마음의 평화와 행복을 찾아야 한다는 것과
아이들에게 모두 해주기보다는 '책'을 친구로 삼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어떤 부모이건 자식의 행복과 성공을 바라지 않는 사람은 없을게다.
하지만 '성공'이라는 한 쪽으로만 치우쳐서 '성공'만을 바라며 아이를 대한다면 어느날엔가는 아이와 부모 모두 상처받고 있었음을 느끼게 되는 날이 오게 되는 것 같다.
<엄마만 모르는 것들>은 엄마들에게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 가르치지는 않는다.
그러나 다른 엄마들의 이야기를 통해 힘겹고 위로받지 못했던 엄마들 마음을 같이 공감해주며, 다독여 주며, 조심스레 마음 속 울림으로 무엇이 우선인지를 느끼게 해주고 있었다.
엄마의 자존감이 살아날 때, 아이의 자존감도 살아나며,
엄마가 행복할 때, 아이도 행복해하지 않을까 싶다.
엄마들이 아이들의 성적으로 인한 일시적인 행복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자신'을 찾으며, 진정으로 '엄마의 행복'을 찾을 수 있기를 이 책을 통하여 간절히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