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몽요결 - 조선 최고의 인성 교과서 파란클래식 21
이이 원작, 이상각 글, 김태현 옮김 / 파란자전거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격몽요결>은 조선 시대 최고의 유학자인 율곡 이이 선생이 학문을 시작하는 이들을 위해 쓰신 교육 지침서이다.

조선 시대 당시에는 천자문이나 소학등을 아이들이 배웠는데, 아이들이 이해하고 실천하기에는 내용이 너무 어려웠다고 한다.

그래서 이이 선생이 조선의 현실을 반영하면서 소학에 앞서 공부할 수 있는 교재로 만든 것이 <격몽요결>이라고 한다.

'격몽(擊蒙)'이란 '어리석음을 깨우친다'라는 의미라고 한다.

조선시대에 아이들이나 학문을 시작하기에 앞서 배웠던 '격몽요결' 이기에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지 궁금하여 읽어보고 싶었었다.

 

그러다가 어린이를 위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쓴 <격몽요결>을 파란자전거 출판사를 통하여 출간된 책으로 만나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격몽요결>을 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으로, 율곡 이이 선생이 어떻게 살았는지와 이이의 어머니인 그리고 현모양처의 대명사이다시피한 신사임당의 자녀 교육과 율곡 이이가 꿈꾼 세상, 그리고 이이의 개혁 정책과 <격몽요결>을 쓴 까닭을 알려주고 있다.

 

율곡 이이는 어릴 때부터 남달랐다고 한다.

13세부터 29세까지 무려 아홉 번이나 장원 급제를 하는,  구도장원공은 조선 왕조 5백 년 동안 율곡 이이가 유일하다고 한다.

율곡 이이는 가난하게 살아 대장간을 하기도 하고, 임금에게 쓴 소리도 서슴치 않고 했으며 군사력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고 한다.

 

2부에는 <격몽요결>의 내용을 쉽게 풀어 쓴 것으로 입지, 혁구습,지신, 독서, 사친, 상제, 제례, 거가, 접인, 처세의 내용을 담고 있다.

- 입지(立志) , 왜 공부를 하는지에 대한 뜻을 먼저 세워야 하는 것을 말한다. 뜻을 세웠으면 정성을 다하여 실천하여야 한다.

- 혁구습(革舊習), 나쁜 습관을 버려야 한다.

    나쁜  습관은 여러가지 있겠지만 율곡 이이는 특별히 몇 가지를 당부하고 있었다.

 - 지신(持身), 몸과 마음을 가다듬어 일상에서 예를 행하며, 바르게 하라고 한다.

- 독서, 책을 읽는 이유와 무슨 책을 어떤 순서로 읽어야 하는지 알려 주고 있다.

- 사친(事親), 부모에게 어떻게 효도를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 상제(喪制), 돌아가신 이에게 예를 갖추는 것인 장례를 치르는 법을 말하고 있다.

- 제례(祭禮), 제사를 지내는 방법으로 그림으로 그려 놓았다고 한다.

- 거가(居家), 집안에서 지켜야 할 예법들을 담았다.

- 접인(接人), 사람들과 어떻게 사귀는지, 친구와는 어떻게 지내야 하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다.

- 처세(處世), 선비의 마음가짐을 담고 있는데, 뜻을 잃지 않는 학문을 해야한다고 말하고 있다.

 

 

 

'자경문'이라는 글로, 율곡 이이가 자신의 처신을 깊이 반성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공부하고 세상을 살아갈지를 구체적으로 다짐하는 일종의 반성문이라고 한다.

 

이 자경문만 보아도 어떤 마음 가짐을 가져야 하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배울 수 있다.

 

<격몽요결>이 조선시대에 쓰여졌기에 어떤 부분은 지금의 우리의 현실과는 맞지 않다고 생각될 수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우리가 공부하기에 앞서, 또는 살아감에 있어 꼭 필요한 예를 알려주고 있는 책이었다.

격몽요결의 내용이 어쩌면 우리가 올바른 것이라고 알고 있었던 것들이기에 다 알고 있는 내용이라고 쉽게 생각해 버릴 수도 있다.

하지만 아이들과 함께 <격몽요결>을 통해 진정으로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도 나누어 보고, 공부하는 자세라든가, 올바른 마음가짐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도 부모와 아이들의 생각을 나누어 볼 수 있게 해주는 좋은 기회가 아닌가 싶다.

 

조선시대나 지금이나 시대는 변하였지만, 올바른 인성에는 변함이 없는 듯 하다.

조선 최고의 인성 교과서 였던 <격몽요결>을 통해서 요즘의 아이들이 좋은 인성을 품을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다.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리뷰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