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어느 별에서
정호승 지음 / 열림원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외로워야 사람이다' 라고 노래한 정호승 님의 산문집 <우리가 어느 별에서>는 1996년 『첫눈 오는 날 만나자』로 처음
출간되어, 2001년, 2003년, 그리고 2015년에 개정증보판으로 출간 된 것이라고 한다.
이번에는 그전에 담겨있지 않던 새로운 산문도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그동안 4번이나 개정증보되어 출간되었기는 하지만 나에게는 정호승님의 산문집은 처음이다.
얼마전에는 정호승님의 시집을 읽을 기회가 있었다.
사람 냄새가 물씬 풍기는 정호승 님의 시가, 편한하게 느껴졌기에 이번 산문집도 읽어보게 되었다.
산문집을 통해서 정호승님에 대해 조금 더 알 수 있었다고나 할까!
그동안은 정호승님에 대해 문외한이었다.
단지 '외로워야 사람이다'라는 시가 너무 마음에 들어서 그 이름을 기억했고, 그 분의 시집을 읽어본 것이 전부였다.
물론 <우리가 어느 별에서>를 읽었다고 하여 그 분을 전부 다 알 수 있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조금 더 친근함을 느낄 수가
있었다.
나에게 있어 시인이란, 왠지 나와는 다른 감정을 갖은 사람이 아닐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감정을 갖고 다른 시선을 갖고 있기에, 그토록 아름다운 시들을, 감동적인 시들을 쓸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싶은 것이다.
왠지 나와는 생각하는 것 자체가 뭔가 다를 것 같은..ㅎㅎ
물론 나의 선입견인줄 알면서도 시인에 대한 나의 선인겹은 쉽게 벗어날 줄을 모른다.
그래서 시는 아무나 쓰는 것이 아니란 생각이 드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어느 별에서> 산문집을 읽어보니, 일부는 나의 선입견이 맞기도 하고, 일부는 나와 똑같은 감정을, 고통을 느끼는
구나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하였다.
이 산문집에는 참 많은 내용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꼭 정호승님의 일기를 들춰보는 듯한 느낌이 드는 그런 이야기들이었다.
저자의 젊은 시절부터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이 책은 우리들이 경험했을 법한 이야기도 있고, 저자 자신의 삶에서의 통찰은 우리에게도
울림을 주는 이야기들도 있었다.
가리옷 유다는 자신의 잘못을 용서하지 않았기 때문에 괴로워하다가 나무에 목매어
자살해버렸고, 베드로는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용서했기 때문에 순교를 통해 스승과 교회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중략)
지금 나 자신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그것은 먼저 나 자신을
용서하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p 16
성경을 읽으면서도 유다와 베드로의 차이가 '나 자신을 용서하는 것'의 차이라고는 생각치 못했었다.
이 이야기는 저자가 책을 통해 알게 된 것을 담은 것인데, 가만 생각해 보니 정말 유다와 베드로는 '용서'하고 안하고의 차이 였던
것이다,
유다는 죄책감에 자신을 용서하지 못하였고, 예수님을 세 번 부인했던 베드로는 자신의 잘못을 늬우치고 자신을 용서하여 사도의 길을 걷게
되었던 것이다.
'나 자신을 용서하는 것'이 얼마나 큰 차이를 보여주는지 충분히 깨달을 수 있었던 문장이다.
죄책감에 있는가? 자신이 못낫다고 생각하는가? 그렇다면 무조건 자신을 용서하기를 바란다.
죽음 가운데 있는 자를 외롭게 하지 말라. 외로움 가운데서 혼자 죽게 하지 말라.
의식이 불명한 상태에서도 영혼은 서로 교류된다. 죽어가고 있는 자에게 고독만큼 무서운 것은 없다. p169
큰 형님께서 대장암 말기로 항암치료 받으며 입원하신 지 좀 되었다.
좋아지는 듯 싶다가도 곧 죽음을 준비하여야 할 것 같을때도 있고, 계속 그런 상황이다.
나에게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란 익숙치 않다. 아니, 어느 누군들 죽음을 받아들이기는 것이 익숙하랴 마는...
이 글을 읽고 보니 입원하신 형님에게 자주 전화를 드리지 못하는 것이 무척이나 죄송스럽게 느껴졌다.
아파하고 죽어가는 듯한 분에게 무슨 말을 해야할지 사실은 잘 모르겠어서 전화하기가 나름 불편했던 것이다.
그런데 죽어가고 있는 자를 외롭게 하지 말란다. 고독이 더 무섭다고..
그런것이구나...이제는 자주 전화라도 드려야 겠다.
우리가 어느 별에서 만났기에
이토록 서로 그리워하느냐
우리가 어느 별에서 그리워하였기에
이토록 서로 사랑하고 있느냐 p 267
이 시는 안치환님이 노래로 만들기도 하였다고 한다.
<우리가 어느 별에서> 산문집 역시나 참 편안한 느낌이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고요한 느낌이 드는 책이었다.
잊혀졌던 것들을 떠올려 볼 수 있고, 내 속에 잠자고 있던 무언가를 들춰내보일 수도 있고, 그림움을 만날 수 있고, 사랑을 갖을 수
있는
아주 편안한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