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치유력 셰익스피어 인문학 - 셰익스피어, 삶의 무대에서 치유의 깃발을 올리다
최용훈 지음 / 페르소나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세익스피어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작가이기도 하지만 나에게도 헤르만 헤세와 더불어 무척이나 좋아하고 존경하는 작가이다.
언제 내가 세익스피어의 작품을 처음 읽어보았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몇 해 전에 읽은 '한 여름 밤의 꿈'을 통해서 그의 비극과는 전혀
다른 아름답고 서정적인 세익스피어의 다른 면모를 느낄 수 있었다.
얼마전에는 '햄릿'과 '오셀로'로 읽어보았다.
어릴 적에 세익스피어의 여러 작품을 읽었었다고 기억하고 있지만, 어른이 되어서 읽는 그의 작품은 또 다른 느낌과 좀 더 깊이 있게 다가오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세익스피어 인문학>은 내가 꼭 읽어봐야 되지 않 나 싶은 의무감 같은 것으로 읽어보게 되었다.
세익스피어는 총 37편의 희곡을 남겼지만 <세익스피어 인문학>에서는 총 20개의 희곡을 작품 줄거리와 주요 포인트 해설인
시놉시스와 작품배경과 주제설명, 그리고 세익스피어의 철학을 현대적 관점에서 분석한 저자의 리뷰, 작품 속 명대사에 따른 주된 관점 재조명과
내용별 주제에 따른 관련 대사 해설이 담겨있는 쿼테이션으로 구분하여 담고 있다.
저자는 왜 세익스피어 인문학이라 한걸까?
세익스피어와 인문학이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일까?
우리가 세익스피어의 작품을 통해 현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인문학적 상상력과 창조의 영역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믿는 것은 그가 우리의 열망, 결함, 희망, 사랑, 동경을 통찰력 있게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p6
많은 문학적 작품들이 인간의 내면을 그리게 되는 것이기는 하겠지만, 세익스피어의 희곡에는 인간의 약점이나 고귀한 인간성을 주제를 각각 희곡
속에 담겨 있다.
햄릿에는 복수, 맥베드에는 권력에의 탐욕, 리어왕에는 자만심, 오셀로에는 질투와 의심, 로미오와 줄리엣에는 사랑의 열정, 아테네의
타이몬에는 황금에 대한 욕망과 배신, 한 여름 밤의 꿈에는 사랑, 베니스의 상인에는 자비, 우정, 사랑, 자에는 자로에는 용서와 자비,
페리클레스에는 가족애, 우정, 충성, 사랑, 폭풍우에는 화해와 용서, 겨울이야기에서는 질투, 헛소동에서는 사랑, 뜻대로 하세요에서는 증오와
탐욕, 사랑, 베로나의 두 신사에서는 사랑보다 앞선 우정, 심벌린에서는 사랑하는 아내의 정숙함을 시험하는 남편의 의심, 끝이 좋으면 다
좋아에서는 역시나 사랑을 쟁취하고자 하는 여인, 말괄량이 길들이기에서는 남녀 사이의 관계, 실수연발에서는 가족의 사랑, 십이야에서는
짝사랑.
비록 이 책에서는 이들 작품의 간단한 줄거리와 저자의 리뷰만을 알 수 있지만 세익스피어가 다루고 있는 인간의 감정들은 지금의 시대와도 별반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시대적 차이에 따라 그 표현 방법에는 다를 수 있지만 여전히 우리는 질투와 사랑, 증오와 배신, 용서와 자비등을
느끼고 살아가고 있는 인간이기에 세익스피어의 작품은 지금의 우리에게도 철학과 교훈을 준다고 할 수 있겠다.
그래서 세익스피어의 희곡은 허구 속에서 진실을, 환상 속에서 현실을, 그리고 죽음
가운데서 삶을 보게 하는 것이 아닐까? p 69
왜 세익스피어는 등장인물 모두를 죽이는 것일까?
세익스피어에게 있어 죽음은 죄에 대한 형벌이라는 의미 외에 고통과 고뇌로 가득한 삶의
질곡을 벗어나는 탈출의 길이 아니었을까? p19
세익스피어의 비극을 읽다보면 정말 등장인물들이 모두 죽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선한 인물일지라도 무고하게 죽게 되는데, 권선징악에 대해 너무도 당연히 하는 우리에게는 어쩜 어색한 것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선한 사람은 어려운 고난 끝에 복을 받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박힌 우리, 아니 나에게는 왜 인물들을 모두 죽이나 싶었다.
과연 저자의 생각대로 세익스피어는 죽음의 고통과 고뇌의 삶에서의 탈출로 보았던 것일까? 아니면 비극으로 끝내야 하기에 인물들 모두 죽일 수
밖에 없었던 것일까?
고대 그리스의 비극을 '운명의 비극'이라 부르고, 세익스피어의 비극은 '성격의 비극'이라 불린다고 한다.
세익스피어의 비극의 주인공들은 자신들의 성격적 결함인 자만심, 우유부단함, 질투심등에 의해 생긴 것이기때문이라는 것이다.
'한여름 밤의 꿈', '베니스의 상인', '뜻대로 하세요'는 낭만희극이며, '겨울이야기'는 비희극이라 불린다고 한다.'폭풍우' 이후 펜을
꺾고 고향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페리클레스'는 세익스피어의 대표적 수작으로 꼽힌다고 한다. 이유는 고전 연극의 삼 일치 원칙을 탈피하여 독자적인 르네상스 연극의 틀을
형성해 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때문이라고 한다.
삼 일치 원칙이란 시간, 장소, 구성의 일치로 한 편의 연극이 24시간 내에, 한 장소에서 , 구성도 단 하나의 이야기에 국한되는
그리스-로마 연극의 규칙이라고 한다.
우리는 세익스피어를 만대의 작가라고 부른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인간성의 본질을 파악하는 힘, 그리고 세상을 지배하는 개념에 대한
명철한 비판, 그것이 우리가 세익스피어를 천재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p 200
세익스피어는 가족이 어때야 하는 가를 말하지 않는다. 그것이 키츠가 말한 세익스피어의
'부정적 능력'일지 모른다. 모든 것을 수용하는 능력이 있으면서도 모든 것을 완성된 형태로 만들지 않는 '실현의 유보'는 세익스피어만의 능력일
것이다. p 238
세익스피어에 관한 기록이 그다지 많지 않다고 한다.
그렇지만 세익스피어도 인간인지라 그의 작품속에 그가 희망하고, 그가 바라는 가족의 모습이나, 영원한 사랑에 대한 갈망등을 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인간들의 원초적인 죄에 대한 반성과 교훈을 희곡을 통해서 전해주고자 했던 것은 아닐까 싶다.
세익스피어의 작품을 읽으면 시대는 다르지만 너무도 연약한 인간의 모습을 보게 된다.
이상적인 사랑에 대한 갈망 또한 지금의 우리들이 너무도 바라고 있는 모습들과도 같아 보인다.
이제서야 세익스피어의 작품 몇 권을 겨우 읽은 것이지만, 이 책을 통해 세익스피어의 20편의 희곡에 대해 더욱 흥미를 갖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저자의 폭넓은 배경지식을 담은 리뷰와 다른 관점과 생각을 해보게 하는 쿼테이션은 이 책만의 독특함을 주고 있었다.
허구이지만 절대 허구가 아닌 현실을 담아내고 있는 세익스피어의 작품.
그의 작품에 대해 보다 전문적인 견해와 배경들을 알고 싶다면 이 책이 충분히 도움이 되어주리라 본다.
영원한 작가 세익스피어.
그가 원하던 사랑은 영원하지 못했을지라도, 그에 대한 독자들의 사랑은 영원히 지속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