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즈번드 시크릿
리안 모리아티 지음, 김소정 옮김 / 마시멜로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반드시 내가 죽은 뒤에 열어볼 것"
어느 날, 우연히 다락방 상자에서 발견한 남편의 유언같은 편지.
그러나 죽은 뒤에 열어봐야 한다고 쓰여있다.
그 편지를 발견한 현재, 남편은 건강하게 살아있으며 출장 중이다.
그렇담 이 편지를 열어 읽어봐야 할까? 읽지 말고 남편이 죽은 뒤에 읽어봐야
할까?
<허즈번드 시크릿>을 읽기전에 이 강렬한 멘트에 대해 나는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게 된다. 아마도 나는 바로 읽어버리게 되지 않을까? 아니다.. 어떤 내용일지 모르니 그냥 묻어두어야 할까? 그 편지에 엄청난 비밀이
숨겨져 있는 것이라면... 모르는게 나을까?
남편의 편지를 읽어보고 싶은 강한 마음과 반드시 죽은 뒤에 열어봐야 한다는 글귀속에서
엄청난 갈등을 할 수 밖에 없으리라..
<허즈번드 시크릿>의 주인공 세실리아도 마찬가지 였으리라.
<허즈번드 시크릿>은 세실리아의 남편인 존 폴이 첫째 딸을 낳을 때 쓴 편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다.
세실리아는 처음에는 편지를 읽고 싶은 충동을 가라앉힌다.
그러나 출장 간 남편에게 편지이야기를 하자 남편은 예상보다 3일이나 빨리 집으로
돌아왔다. 이상하게 생각한 세실리아, 결국 편지를 읽어보게 되는데...
10대때 자니 크롤리를 죽였다는 것이다.
딸들에게 무척이나 잘하고 아내와 가족밖에 모르고 지금껏 멋지고 훌륭한 남편이라고 여기며
살아왔던 그런 남편이, 살인을 했었다는 것이다.
엄청난 충격에 빠지게 되는 세실리아..
그러나 남편이 자니를 죽였다는 사실은 마을 사람들 아무도 모른다.
심지어 자니의 엄마인 레이첼 크롤리는 자니가 마지막으로 만났던 남자인 코너 휘트비가
범인이라고만 생각한다.
<허즈번드 시크릿>에는 세실리아네 가족 이야기만 있는 것은 아니다.
세실리아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도 있다.
테스와 윌은 부부다. 그리고 펠리시티는 테스와 사촌으로 쌍둥이 처럼 모든 것을 같이 하며
그야말로 둘 이 하나인듯 지내온 자매이다. 그들 셋은 광고회사를 같이 운영하고 있었는데, 테스에게 청전벽력같은 일이 벌어진다.
윌과 펠리시티가 사랑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윌과 펠리시티가 사랑을 하는 것을 테스가 받아들여 달라는 듯이 말하고 있는 것 자체가
충격이다.
테스는 아들 리엄을 데리고 엄마가 있는 곳으로 가게 된다. 그곳에서 오래전에 잠깐 만난
코너를 만난다.
테스는 리엄을 위해, 자신을 위해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그리고 어린 나이의 딸을 묻어야만 했던 레이첼 크롤리.
레이첼은 자니를 살해한 범인이 잡히지 않은 것이 마음에 걸린다.
자니가 죽은 지 시간이 많이 흘렀지만 여전히 자니를 생각하고 있으며 범인을 잡고
싶다.
자니가 마지막으로 만났다넌 코너는 그 당시에도 범인이 아니라고 밝혀졌지만 레이첼은 코너가
범인이라고 단정한다.
그리고 자니의 기일에 아들 롭과 묘지에 들리고 돌아오는 길에 코너를 발견하고는 코너를
차에 치게 할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차에 치인 것은 코너가 아니라 자전거를 탄 어린 소녀...
그 어린 소녀는 누구의 딸이였을까?
마치 비극적인 운명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드는 것 같은 인물들, 그리고 그 운명의
결과들은 소설의 재미를 위해 남겨두어야 할 것 같다.^^
<허즈번드 시크릿>의 처음 부분에서는 좀 복잡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처음 세실리아 가족의 일상이 나오고 테스와 윌 그리고 펠리시티의 이야기가 나오고 레이첼과
아들 롭과 며느리 로렌의 일상이 나온다. 그리고 그들의 시간대가 같음을 '도전! FAT 제로'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알려준다.
왜 이들의 이야기를 나열한 걸까 싶었다. 세실리아의 편지가 이 책의 핵심인데, 처음에는
테스와 레이첼이 세실리아와 무슨 상관이 있나 싶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 모두가 결국에 세실리아가 읽게 되는 편지의 내용과 관계가 조금씩
드러난다.
<허즈번드 시크릿>은 부활절을 앞둔 일주일 동안 벌어지는 일들이다.
왜 하필 저자는 부활절 일주일을 배경으로 담았을까? 부활절의 의미를 담고
싶었을까?
부활절은 예수님이 인간의 모든 죄를 속죄하기 위해 십자가에 못박혀 돌아가셨다가 부활하심을
감사와 찬양을 드리는 날이다.
용서 받지 못할 죄는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사람이 사람을 정죄하지 말라고도 하였다.
아마도 이런 의미에서 부활절 기간을 선택한 건 아닐까 싶다.
우리 인생이 어떤 길로 가게 될지, 어떤 길로 가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아마도 그 편이 나을 것이다. 어떤 비밀은 영원히 비밀로 남는다. 그저 판도라에게 물어보자. p
535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리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