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3 - 최신 원전 완역본 아르센 뤼팽 전집 4
모리스 르블랑 지음, 바른번역 옮김, 장경현.나혁진 감수 / 코너스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센 뤼팽 전집> 중 에서 가장 긴 내용이 아닐 까 싶다.

아르센 뤼팽의 이야기가 흥미롭고 재미있지만 그 중 <813>은 정말이지 놀랍고 읽으면서 연신 대단하다 라는 감동이 줄어들지 않는 이야기였다.

반전의 반전과 어떻게 이런 상상을 다 할 수 있을까 싶은 놀라운 사건들은 감탄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신출귀몰한 아르센 뤼팽도 대단하지만  그런 아르센 뤼팽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저자 <모리스 르블랑>의 아이디어와 사건을  풀어가는 과정들 속에서 저자의 글솜씨에 감탄하게 되는 그런 작품이 <813>이 아니였나 싶다.

 

다이아몬드의 왕 또는 희망봉의 주인이라 불리는 억만장자, 루돌프 케셀바흐가 손발이 묶이고 단도에 찔려 죽게 되는 사건이 생긴다. 뤼팽이 케셀바흐를 만나게 된 사실이 르노르망 국장에 의해 밝혀지고 모두들 뤼팽이 범인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렇지만 우리의 뤼팽은 절대 살인을 저지르지 않는다.

뤼팽은 신문을 통해 자신은 살인을 하지 않으며, 케셀바흐의 죽음에 관련된 사건에 흥미가 있으니 살인범을 찾는데 도우겠다고 한다.

케셀바흐와 관련된 사건은 독일의 헤르만 3세와 얽힌 비밀 문서에 관한 것이였다.

이번에도 역사적인 사건이 연결되어 있다.

<아르센 뤼팽 전집> 3편인 <기암성>편에서 뤼팽은 사랑하는 여인의 죽음을 보게 되고 사라지게 된다.

4편은 <813>은 그로 부터 4년이나 지난 후의 뤼팽이 다시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4년동안 뤼팽은 무엇을 하고 지냈을까?

사람들은 뤼팽이 죽었다고 믿고 있었다. 그런데 뤼팽이 다시 나타났다.

이번에는 무언가를 훔치기 위해서가 아니라 경찰의 일을 공식적으로 돕겠단다.^^

4년 동안 뤼팽이 무엇을 하고 지냈는지는 이 책 <813>을 읽어보면 알게 될 것이다. 4년 동안의 뤼팽의 흔적이 처음부터 설명이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책의 중간이 지나서야 알 수 있었다. 이 책의 부제가 1부는 아르센 뤼팽의 이중생활인데, 뤼팽이 세르닌 공작으로 살아 가는 것을 두고 하는 것인 줄 알았는데, 우와~~ 예상을 뒤엎는 뤼팽의 이중생활이였다.

살인자를 쫓기 위한 이야기와, 사건에 얽힌 역사적인 비밀이 무엇인지에 집중하다가 뤼팽의 세르닌 백작말고 이중 생활이 드러나는 이야기에서는 허걱, ㅎㅎ 이런 반전에 놀랄 수 밖에 없게 된다.

 

뤼팽을 키웠던 유모가 다시 등장한다. 이번에는 주느비에브라는 금발에 순순해 보이는 젊은 여자. 뤼팽은 주느비에브를 위해서 목숨도 바칠 기세이다.

실제 주느비에브가 납치를 당하자 그녀를 구하기 위해 범인과 공법이였던 알텐하임 백작과 겨루다 경찰들에게 잡혀 감옥에 갇히게 되기도 한다.

이번 4편 <813>에서는 뤼팽의 계획을 알고 뤼팽의 실체를 신문과 경찰에게 알리는 보이지 않는 적 L.M .

뤼팽은 보이지 않는 적에게 위협을 느끼기도 하고, 자신과 맞설 상대라고 흥분해 하기도 하였다.

 

뤼팽은 잠시 자신의 힘을 음미했다. 가슴속에서 한 줄기 감동이 솟아올랐다. 눈부신 승리를 곱씹으니 가슴이 벅차오른 것이다. 뤼팽은 또다시 위대하고 영웅적인 대가로서의 면모를 입증했다.

그러한 기분에 취한 뤼팽은 단번에 스위치를 눌렀다. 괴물의 얼굴이 드러났다.

뤼팽의 입에서 공포의 비명이 터졌다. p 541

 

<아르센 뤼팽 전집> 중 4편인 <813>에서는 뤼팽의 사생활이 앞선 내용들보다 많이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뤼팽이 다시 한 여인을 사랑하게 되는 마음도 드러나고, 그녀와 함께 도둑이라는 생활을 청산하고 조용히 살고 싶어하는 마음을 표현한다.

그리고 젊은 여인 주느비에브와 뤼팽의 관계도 나오지만 자세하게, 어떻게, 언제 그렇게 되었는지는 설명이 되지 않아 궁금중이 남아있기도 하다.

또 이번 사건에서는 뤼팽은 훔친 것이 없다.

오히려 경찰을 도와 수사관이 된 뤼팽의 모습이다. 뒤늦게서야 살인자를 잘못 잡아드린 자신을 탓하며 사형에 처할 그 사람을 구제하기 위한 모습에서는 더욱  인간적인 뤼팽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저자가 뤼팽을 좀더 영웅적인 모습,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자 함은 아닌가 싶기도 하다.

모든것에 절망을 하고, 자괴감에 빠진 뤼팽.

외인부대에 자진 입대하는 뤼팽..왜 뤼팽이 부대에 갔을까?

뤼팽의 다음 행보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