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 한 상 푸짐하네! - 밥.떡.반찬.죽.국.과일.채소까지 우리 음식에서 찾은 맛있는 속담
박정아 지음, 이덕화 그림 / 개암나무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속담이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삶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 어떤 가치에 대한 견해를 간결하게 형상화 시켜 표현한 말이라고 사전에 표기 되어 있다.

 

우리들은 일상에서 간혹가다 속담을 쓰게 되곤 한다. 속담을 따로 배우지 않아도 어른들에게서 자연스럽게 듣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요즘은 그런 속담을 듣는 기회가 많이 줄어든 것 같기도 하다.

그래도 우리들이 잘 쓰게 되는 속담은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거나 '원수는 외나무 다리에서 만난다.', '떡 줄 사람은 생각하지도 않는 데 김칫국 부터 마신다.' 등 여러가지가 있기도 하다.

 

그런데 <속담 한 상 푸짐하네>에서는 우리가 먹는 음식과 관련되어 있는 속담들을 엮어놓은 것이란다.

우와, 음식과 관련된 속담이 이렇게 책 한권으로 나올 정도로 많았다니, 어떤 속담들이 어떤 뜻으로 사용하게 되는 지 궁금하여 읽어보게 되었다.

 

<속담 한 상 푸짐하네!>에는 밥, 떡, 반찬, 죽과 국, 과일과 채소에 관련된 속담들을 구분하여 속담의 뜻과 함께 옛이야기나 이솝 우화 또는 생활 속에서 겪을 법한 상황에 빗대어 소개를 해주고 있다.

 

 

 

 

겨자가 맛과 향이 독특해서 조금만 먹어도 눈물이 찔끔 날 만큼 매워서 싫은 일을 억지로 마지못해 하는 것을 이를때 '울며 겨자 먹기'라고 하는 것이란다.

이렇게 속담을 이해할 수 있게 상황을 이야기해 주고 있는 코너와 영양가 챙기기를 통해서 왜 그런 의미가 생겼는지 설명도 해주고, 아이들에게 유익한 정보도 알려주고 있다.

 

하나의 속담이 끝날때마다 뜻이 비슷한 속담, 같은 낱말이 들어간 속담도 알려주고 있다.

 

 

각 주제의 마지막에는 재미나다 우리말이란 코너를 통해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이름과 뜻도 알려주고 있는데, 또다른 속담의 재미와 음식과 관련된 다양한 이름들도 알 수 있다.

순우리말 반찬 이름이 그 중에서도 참 재미있었다.

날무, 날배추를 간정에 절여 당장 먹을 수 있게 만든 김치를 말하는 벼락김치,

무나 배추 한 가지로 담근 김치를 말하는 홀아비김치,

무를 통째로 저미어 떨어지지 않게 하고 그 틈에 김칫소를 넣어서 통김치와 함께 만든다는 비늘김치,

생선의 내장으로 담근 젓을 말하는 구제비젓,

여러 가지 물고기를 마구 섞어 만듯 젓인 조침젓,

핏골집은 이름이 좀 이상하다. ㅎㅎ 이건 순대처럼 돼지의 창자 속에 피를 섞어서 삶아 만든 음식이라고 한다.

콩몽둥이 이것도 재미있는 이름인데, 둥글게 비벼서 길쭉하게 자른 콩엿을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

 

음식과 관련된 속담이 35개.

정말 생각보다 음식과 관련된 속담이 참 많았다.

거기에다가 비슷한 뜻의 속담과 같은 단어가 들어간 속담까지 하면...

<속담 한 상 푸짐하네!>만으로도 많은 속담을 알 수 있다.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속담에 대한 상황을 이야기로 들려주고 있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아이들과 같이 읽어보고 식사시간에 <속담 한 상 푸짐하네!>에 나온 속담들에 대해 하나씩 이야기를 하다보면 즐거운 식사가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