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토섬의 전설
정대근 지음, 장명희 그림 / 파란하늘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란하늘 <비토섬의 전설>의 책의 소개에서 '별주부 전, 그 이후'라는 대목이 눈길을 끌었다. 별주부 전의 그 이후를 상상하며 새롭게 창작된 전래동화이고 싶다는 이 책은 마음에 쏙 드는 동화였다.

 

하늘에 사는 옥황상제에게는 네 명이 아들이 있었다.

이 네 명의 아들 중 한 명에게 옥황상제의 자리를 물려주기 위한 과정으로 시험을 치르게 한다.

세상으로 내려가 천 년의 시간동안 천하 만물을 다스리는 왕으로서 갖추어야 할 덕과 능력을 쌓으라는 것이다. 배우고 꺠달을 때마다 여의주가 조금씩 맑고, 둥글게 자라게 된다는 것이다.

 

첫째 아들 현은 산을 다스리는 사람이되고, 둘째 아들 작은 태양과 불을 다스리는 사람, 셋째 아들 호는 땅을 다스리는 사람, 그리고 <비토섬의 전설>의 주인공인 넷째 아들 용은 물을 다스리는 왕이 되어 세상에 내려오게 된다.

 

용이 내려온 곳은 바다에서 최고라고 불리는 삼천포 앞바다였고, 모든 바다 생물들이 용이 물을 다스리는 왕인 것을 알고 모시게 된다. 바로 '용왕님'이 된 것이다.

 

용왕님은 바다의 생물들이 아주 편하게 살 수 있도록 잘 다스리고 있었지만, 용은 하루라도 빨리 하늘로 올라가 옥황상제가 되고 싶은 마음이 너무도 컸다.

바다를 잘 다스렸다고 생각하고 시간은 천 년이 다 된 마지막 날,

용왕은 여의주에서 빛이 나오는 것을 보고 하늘로 올라가 때가 되었다고 여기고는 여의주를 입에 물고 옥황상제에게 향한다.

그러나 어찌된일인지 옥황상제는 용에게 하늘의 문을 열어주지 않고, 끝까지 인내하지 못한 용은 여의주를 떨어트리게 된다.

그리고 여의주가 함께 추락하는 용..

 

 

자신이 무엇을 잘 못 한게 있는지를 바다에 다시 떨어지게 된 용은 곰곰히 생각해 보자, 자신이 아팠을때 거북에게 명령하여 온갖 거짓과 술수로 토끼를 용궁으로 데려와 간을 먹게 되었던 일이 생각났던 것이다.

용왕님은 토끼에게 용서를 빌어야 한다며 다시 토끼를 찾아 오라고 한다.

거북이가 다시 만나게 된 토끼는 그떄 토끼의 대손자 토실이란다.

토실이는 할아버지가 속았던 이야기를 잘 알고 있었지만, 자신도 용궁으로 들어가 용왕님을 살리는 일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번에는 거짓이 없는 거북이의 솔직한 마음과 토실이의 선한 마음이 용궁으로 향하게 한 것이다.

거북이와 토실이가 여의주를 찾아 용궁으로 가는 중에 만난 사람들과 동물들에게서 용왕님이 하늘에서 다시 떨어질때 몸에서 나온 비늘 때문에 바다의 물과 모든 물들이 오염되어 죽어 가고 있음을 보게 된다.

토실이는 용왕님에게 쓴소리를 하고, 물을 다시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지혜롭게 알려 준다.

 

 

 

토끼가 날아가는 모양이라 하여 불려진 '飛兎비토섬'

이곳에는 토끼와 거북에 관한 무성한 이야기와 배의 머리가 용의 형상을 한 거북선의 임진왜란 이야기까지...

 

이렇게 파란하늘 <비토섬의 전설>은 별주부전의 그 이후 이야기를 푸근하고 웅장하게 담아내고 있었다.

용의 욕심이 만들어낸 물의 오염은 지금의 우리에게 경각심을 주고 있기도 하는 이야기라 볼 수 있겠다. 끝없는 인간의 욕심이 지금 우리의 물이 많이 오염되어 있으며, 우리의 욕심을 버리고, 모두가 물을 되살리려는 노력을 해야만이 우리 인간들도 살 수 있다는 것을 전해주고자 한 것이 아닐까 싶다.

또 용왕님의 별주부전의 토끼를 대신하여 대손자 토실에게 용서를 비는 모습이 오랜 시일이 걸린 것이지만 보기 좋은 장면이였다.

그리고 그런 용왕님을 먼저 용서하고 도와준 토실에게서 우리는 용서의 마음을 배워야 하리라.

용왕님이 있던 바다를 이순신 장군의 해전의 장소와 연결시킨 것도 의미있어 보여 아름다운 결말을 볼 수 있었던 이야기였다.

 

창작이지만 21세기의 전래동화가 되기를 바란다는 파란하늘의 <비토섬의 전설>에는 우리 인간들이 갖추고 배워야 할 덕목들로 채워진 아름다운 이야기여서 참 흐뭇하였다.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리뷰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