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의 말 소울메이트 고전 시리즈 - 소울클래식 7
영조 지음, 강현규 엮음, 박승원 옮김 / 소울메이트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사도세자의 아버지로 유명한 영조.

사극 드라마를 통해서도 영조의 이야기를 볼 수 있었지만, 역사에 대해 그리 잘 알지 못하는 지라 영조에 대해 알고자 하는 마음으로 읽어보게 되었다.

 

저자는 나처럼 단순히 사도세자의 아버지로, 권력에 콤플렉스를 지닌 영조로 각인되어 있는 것이 안타까워 영조의 인간적 면모는 어떠했는지 편견과 오해 없이 있는 그대로 들여다 보고자 이 책을 기획하였다고 한다.

 

영조는 조선 제 21대 왕이다.

영조는 수많은 업적을 남긴 개혁군주이자 백성을 사랑하는 위민의 군주였다고 한다.

 

<영조의 말>은 영조 제위 51년 9개월 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인 [영조실록]과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정조실록] 그리고 [홍재선서]에 기록된 내용을 발췌하여 쓴것이라 한다.

 

그 내용들은 크게 6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영조의 백성을 향한 마음을 모았다.

   때때로 내가 친히 농기구를 잡아 여러 백성에게 권장하고, 각 관청의 신료들이 몸소 밭 가는

   기구를 갖추어 첫 해일에 거행하는 것이 어찌 다만 농사를 중히 여기는 것일 뿐이겠는가?

   바로 내가 처음 정사를 펼칠 때 위로는 제사 때 쓸 곡식을 바치고 아래로는 백성을 권면하고

   자 했던 뜻이다. p 26

 

   임금이 친히 농기구를 잡고 다리가 막혀 개천을 파내려는 공사를 하기전에 백성의 의견을

묻기도 하고, 늘으막에는 친히 밭을 갈기도 하였다고 한다.

 또 왕비가 직접 누에를 치기도 하고, 가뭄에는 비가 내리기 원하는 간절한 마음도 볼 수 있다.

 

2장에서는 수많은 개혁정책을 단행한 개혁군주로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신분에 따른 역()을 더욱 명백히 하고자 하여 양인들의 불공평한 양역에 따른 폐단을 개선하기 위한 균역법의 시행과 단호한 의지가 있었다.

백성을 위해 군포를 감면해 주고 예주를 빼고는 금주령을 내리고, 도랑을 파내는 사업등..

영조의 개혁에도 백성을 위하는 마음으로 행하여지는 개혁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탕평책과 관련한 말들을 모았다.

 이는 봉당의 극심한 폐해를 바로잡기 위한 정책인데, 영조는 탕평정국의 생전의 신념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영조의 노력이 있었기에 정조의 시대에는 중흥의 시기가 될 수 있었던 것이라고 한다.

 

 두루 사귀면서 편을 가르지 않는 것은 곧 군자의 공정한 마음이고, 편을 가르고 두루 사귀지 않는 것은 실로 소인의 사사로운 의도다. <탕평비> p 105

 

4장에서는 욕망을 경계하며 자기관리에 철저했던 영조의 모습을 담았다.

 본래 그러한 선한 본성은 하늘에서 받은 것이나, 확충하고 기르면 성현이 될 수 있다. 공부를

 할 때 인욕을 막는 법을 묻는다면, 반성하고 살피며 자신을 이기고 다스림을 반드시 먼저 해

야 한다. p 137

 

5장에서는 영조와 사도세자의 비극을 담은 부분으로 내가 제일 관심이 많았던 부분이기도 하다.

세자에게 대리청정을 맡기고 훈계하는 말, 세자의 악행에 실망하며 괴로워 하는말, 그리고 결국에는 '만고에 없던 일을 행하지 않을 수 없었던' 상황들에 관한 말들이 담겨있다.

 

세자가 이상해지고 왕손(사도세자의 아들인 은전군)의 어미를 때려죽이고, 비구니를 궁에 들이기도 하고 세자의 행동에 영조의 실망과 근심을 느낄 수 있었다.

 

 세자가 이 지경에 이른 것은 온 세상이 다 알고 있다. ....그러나 질병도 또한 광기이며 광기도 또한 질병이니, 질병과 광기 때문에 일상의 법도를 완전히 잃고 변고도 많아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 내가 어찌 자애롭지 않아서 그러했겠는가? 내가 어찌 참지 못해서 그러했겠는가? 진실로 종사를 위해서였고, 백성을 위해서였다. p201

 

자신의 아들을 죽임으로밖에 해결할 방도가 없었으니, 영조의 그 마음은 오죽했을까?

영조의 세자에 대한 안타까움과 실망감과 결국 사도세자로 만들어야 했음에 대한 힘겨움들이 느껴질 수 있는 말들이였다.

 

그러나..세자가 왜 그런 악행을 저지르게 되었는지는 <영조의 말>에서는 볼 수 없어 아쉬움이 남기는 했지만 사도세자에 관한 것은 다음에 꼭 읽어봐야 겠다.^^

 

6장에서는 세손인 정조에게 영조가 당부하는 말들을 담았다.

정조는 왕조의 오점을 씻어낼 성군이 되기를 바라는 영조의 진심어린 말들을 볼 수 있으며, 정조의 총명함과 정조의 아비인 사도세자의 일을 다시 들추어내지 말라며 당부하기도 한다.

영조가 세자를 걱정하기도 하였지만 좋은 부자관계라는 느낌은 받을 수 없었는데, 세손에게 당부하는 말만으로 세손은 더욱 아끼고 좋은 관계였다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영조의 말>을 통해 영조의 인간적인 면과 그의 강인한 리더의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백성을 위하는 모습, 진정으로 나라를 위하는 마음, 그리고 그의 아비로서의 고뇌.

 

그러나 역사적 배경을 희미하게 알고 있는 나이기에 이 책을 읽고 이해하는데 있어 조금 어렵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동안 거의 알지못했던 영조라는 왕의 인간적인 면과 영조의 숨겨진 진면목을 알 수 있었던 좋은 책이였다.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리뷰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