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항상 나를 가로막는 나에게 - 왜 우리는 언제나 같은 곳에서 넘어지는가?
알프레드 아들러 지음, 변지영 엮음, 김현철 감수 / 카시오페아 / 2014년 6월
평점 :
나는 심리학에 관심이 많다.
학창시절 공부 실력이 부족하여 전공을 하지는 못하고, 그 아쉬움을 심리학에 관련된 책으로 채우고 있다.
심리학에 관심이 많은 이유는 나 자신에 대해서나 대인 관계에 있어서 내가 미쳐 깨닫지 못했거나, 느끼고는 있지만 스스로 정리가 되지 않는
것들을 책을 읽음으로써 그러한 것들을 정리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알프레드 아들러>에 관한 책은 처음 접해보는 것이기에 꼭 읽어보고 싶었다.
아들러는 자신의 힘들었던 어린 시절 경험을 토대로 '열등감 콤플렉스'라는 개념을 만들었으며, 모든 유아가 출생하면서 곧바로 맞닥뜨리는 것이
열등감이며, 성장하면서 사회 환경에서 만나게 되는 어려움이 열등감을 계속 만들어 간다고 보았다고 한다.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핵심 개념인 '무의식'에 대해 정면 도전하면서 " 성격 형성에 있어 중요한 것은 무의식이 아니라 우리가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사회현상"이라고 주장했다.p9
아들러는 "죽음의 수용소"의 저자 빅터 프랭클을 직접 지도했으며, 미국의 인본주의 심리학자 매슬로우와 칼 로저스의 이론을 정립하는데
깊은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이 책은 아들러의 강의 내용 중에서 대표적인 것들을 골라 엮은 책이다.
삶이 힘든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이 힘든 것이다.
어려움에서 나를 구출해내는 것도,
곤경에 빠뜨리는 것도 나 자신이다.
진정한 의미에서 나를 방해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뭔가 일이 풀리지 않는다고 생각될 때에는
자신이 했던 말과 행동을 추적해보아라.
그러면 알게 될 것이다.
항상 당신을 가로막은 것은 당신이었다. p16
남보다 낫다는 것을 입증하고, 인정받으려고 애쓰는 사람의 마음속에는 깊은 열등감이 들어 있다.
p57
열등감을 강하게 경험했던 사람이야말로
무엇인가 이루려는 욕망과 열정을 강하게 느낀다.
성공한 사람들이 대부분 어두운 과거를 가진 것은
우연이 아니다.
열등감을 해결하려고 고군분투했던 사람이
결국 무엇인가를 이루어내는 것이다.p69
좋은 교육이란
아이가 다른 사람의 삶에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이 잘 살고 있는지 관심을 갖고 보게 하는 것이다.
자신에게 부족한 것과 없는 것에 대한 결핍에 매몰되지 않고,
타인과 사회로 나아가게 해야 한다.
그러면 자신의 문제는 자연스럽게 좋아진다. p144
인간에게 가장 힘든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을 알고 변화시키는 것이다.p152
처음에는 이 책은 프로이트의 책처럼 어떠한 심리적인 현상에 대해서 설명을 해놓은 것이라 생각했었다. 그러나 이 책은 그런 현상을 적은 것이
아닌 아들러의 강연 내용중의 주옥같은 글들만을 발췌한것이였다. 그 이유는 그가 강연 중심이였고 프로이트처럼 학설로 정립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아들러의 이론에 따르면, 모든 개인은 초등학교 입학하기 이전의 시기에 어느 정도 인격이
완성된다. 삶에 대한 자세와 태도, 살아갈 방식, 성격 등이 거의 이 시기에 이미 결저이 된다. 그러므로 아무리 많은 경험을 하고 많은 사람을
만난다 하더라도 이 패턴을 반복하기 때문에 인간은 변하기가 어렵다. 똑같은 경험을 해도 자기의 고정 관념에 부합하는 것을 편집해 기억하고,
사람을 바꾸면서 만나지만 같은 열등감 기제로 비슷한 실수를 반복하며 결별하는 것이 인긴이다. p 250
때문에 변화하기 위해서는 유년기의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프로이트의 책처럼 어렵게 읽혀지는 책이 아니라..
좋은 명언을 만나듯 쉬우면서..깊이 생각하며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지금....힘들다고 느껴지는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힘을 내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