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아이를 믿는다는 것 - 강요하지 않을 때 아이는 비로소 성장한다
다나카 시게키 지음, 김현희 옮김 / 다봄 / 2018년 5월
평점 :
아이를 믿는다는 것은 아이가 결코 실패를 하지 않으리라고 믿는 것이 아니다. 실패를 겪어도 아이의 힘으로 우뚝 다시 일어설 거라고 믿는 것이다. p 257
부모라면 누구나 자신의 아이를 믿는다고 말할 것이다. 나역시도 그렇다.
그렇다면 나는 올바로, 제대로 아이를 믿어주고 있는 것일까?
이 책 <내 아이를 믿는다는 것>을 통해 아이에 대한 나의 믿음이 올바로 서있는지 확인하고 싶었다.
<내 아이를 믿는다는 것>이 어떠한 의미를 말하는 것인지는 이 책의 '들어가는 말'에서부터 알 수 있었다.
저자의 큰 아들이 중학교 3학년때 학교에 지각하는 날이 많았다고 한다. 결국 담임과 면담까지 하게 되었는데 담임은 지각하는 아이를 특별 대우 해 줄 수 없다며 지각하지 않도록 신경 써 달라고 한다. 이런 경우 보통 부모라면 "죄송합니다" 하고는 아이를 아침마다 다그치며 어떻게든 빨리 학교에 보내려고 할 텐데 저자는 이렇게 말해 보았다고 한다.
" 그럼 차라리 '이 학생은 등교 거부를 하고 있는 상태이다.'라고 생각해 주시면 어떨는지요? 등교 거부를 하던 학생이 매일 약간씩 지각은 해도 힘을 내어 잘 나오고 있다고 말입니다." p7
그야말로 부모의 생각을 바꾸면 아이의 행동이 더 이상 문제행동으로만 보이지 않는 다는 것이다.
아이의 등교거부는 자신에게 어떠한 문제가 생겼음을 알리는 신호이니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 봐야 한다는 것이다.
<내 아이를 믿는다는 것>에서는 무엇보다도 아이가 스스로 성장하기를 원한다면 강요나 지시를 하지 말라고 한다.
강요나 지시는 순간적으로는 효과를 보는 듯해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고 한다.
이외에도 저자는 자신의 아이를 키운 경험과 동네에서 아이들과 주기적으로 운동을 하며 나눈 대화 경험과 의사, 카운슬링이라는 직업에 의한 경험을 바탕으로 진정으로 <내 아이를 믿는다는 것>이 어떠한 것인가를 사례와 함께 들려준다.
아이의 행동이 부모가 보기에 올바르지 않다고 해서 아이가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며, 그렇다고 아이는 아무것도 모르니 부모가 무조건 가르쳐야 한다는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이 책에서는 말한다.
또한 아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아이를 믿고 기다릴 줄 알아야 함도 강조한다.
<내 아이를 믿는다는 것>이 육아에 관해 특별한 방법을 전달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또 책은 책이고 현실을 현실이라고 말하거나 내 자식은 다르기에 각종 육아에 대한 도움이 통하지 않는다거나 할 수도 있다.
대체적으로 나는 육아에 관련된 책을 많이 읽는 편이다.
읽다보면 내용들이 비슷하게 느껴질 때도 많다. 하지만 그럼에도 내가 육아 책을 읽는 이유는
아이에 대한 믿음과는 별개로 현실에서 다가오는 부모로써의 불안감을 안정시키기 위함이며 아이에게 더욱 안정된 사랑을 주기 위함이다.
<내 아이를 믿는다는 것> 역시나 나에게 기다릴 줄 아는 마음을 갖게 해주었으며 아이의 행동을 다시끔 바라볼 수 있게 해주었다.
나처럼 간간히 육아에 대한 불안과 걱정을 가지고 있는 부모라면 <내 아이를 믿는다는 것>을 읽어 보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