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탈 문화재의 세계사 2 - 빼앗긴 세계문화유산 약탈 문화재의 세계사 2
김경임 지음 / 홍익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국의 유산임에도 여전히 타국에서 전시되어 보관하고 있는 유물들에 관한 이야기는 실로 역사의 틀 속에 갇힌 강대국들의 몰염치한 행보를 보는 것 같아 씁쓸하기만 하다.

 

2권에서 다뤄질 이야기들이 바로 이러한 부분들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역사를 배우면서 특히 일제시대를 거쳐 일본에 간 유물들을 생각하면 특히 그렇고 유물에 대한 인식조차 희박했던 당시 사람들의 처사도 그렇지만 유물에 대한 안목을 높여 제대로 된 절차를 거치지 않고 도굴이나 도둑처럼 슬쩍 자국으로 가져간 행동들은 그들이 이미 그러한 것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는 데서 약소국의 비애를 느끼게 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비단 몽유도원도뿐만이 아니라 한 부분들을  뜯어가면서 전혀 다른 역사의 물건으로 둔갑해버리는 경우도 허다하고 이러한 것들이 유명 박물관이나 대학에 전시되고 있다는 사실들은 우리나라에 해당되는 것만은 아닌 이야기라서 더욱 안타까움을 준다. 

 

 

 

 

 최초의 법전이라는 함무라비 법전에 얽힌 이야기, 각지에 흩어져 있는 오벨리스크와 비너스에 얽힌 비화들은 약탈이란 이름하에 저질러진 또 하나의 역사적인 비화를 담고 있어 책을 읽으면서 각 유물에 관련된 당시의 흐름과 역사적인 인식, 당연히 본국에 환수 조치되어야 할 유물에 대한 강대국들의 그럴듯한 논리와 주장에 대한 타당성들을 읽노라면 문화재란 본질적인 의미를 망각해가고 있는 처사들에 유감이 들지 않을 수가 없게 한다.

 

자국의 문화재는 당연히 자국 안에 있어야 그 가치가 더욱 발함을 왜 모르는지, 이미 문화재란 사실은 그 태생부터가 이미 온 인류의 자산임을 느낀다면 이러한 본국으로 돌아가는 일들이 보다 쉽게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문화재의 환수 조치는 무한한 애정과 노력, 상대방과의 끊임없는 교류를 통해 서로 간의 이해와 역사적인 유물이란 인식하에 각 세계에 흩어져 있는 문화재로서 그 가치를 인정해주는 날들이 오길 기대해 마지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