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탈 문화재의 세계사 1 - 돌아온 세계문화유산 약탈 문화재의 세계사 1
김경임 지음 / 홍익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공영 방송에서 재방송으로 우리나라의 유물들이 각 세계로 전시되고 있거나 이미 우리나라의 유물임에도 불구하고 시대적인 흐름과 역사적인 사건에 의해 다른 나라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는 사례들을 봤다.

 

이 책을 접하게 된 것도 바로 유물이란 존재의 가치와 그 유물이 지닌 유한한 의미 속에 품고 있는 각 사연들과 각 나라들이 어떤 방향을 취하고 있는지를 알고 싶다는 마음이 있었기에 관심을 가지고 읽게 됐다.

인류의 자산이라고도 할 수 있는 각 나라의 유물들은 그 나라의 오랜 전통적인 역사관과 환경, 종교, 사회, 이외에도 모든 것을 포함하여 드러낸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조상들이 만들었다는 것 외에도 이처럼 모든 인류의 역사 차원에서라도 공동의 보존 가치를 느낄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여전히 자기 나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총 2권으로 다뤄지는 이 책은 우선 1권에서는 돌아온 세계문화유산을 다룬다.

 

 각 나라별로 다뤄진 유물들의 사례들은 전혀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기도 하고 그것을 찾기까지 타국의 영향도 끼치고 있으며, 정작 돌려줘야 할 명분이 분명히 있음에도 미온적인 행보를 보이는 강대국들의 처사들은 여전히 답답함을 보인다.

 

1998년 미국 워싱턴 회의로 오늘날 문화재 반환의 시대를 여는 중추적 역할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유산 돌려주기 차원의 활발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는 신호는 반갑기 그지없고,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들은 물론 이 책을 통해서 새롭게 알려진 사례들을 접해볼 수 있다는 것에서 많은 것을 알게 해 준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이미 고인이 되신 분의 역할을 통해 프랑스에 보관되어 있는 외규장각 의궤 반환은 뜻깊은 행보에 속하지만 일본에 있는 서산 부석사 관음보살상도 이야기는 많은 반성과 함께 문화재 반환에 얽힌 다양한 각도의 모색과 시도, 법적인 보다 확실한 체계를 마련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문화재가 무사히 제 나라로 돌아오기까지의 여정도 힘들고 그것을 쉽게 응해줄 나라들이 별로 많지 않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오스트리아의 에곤 실레와 그의 연인 발리에 얽힌 그림을 되찾기까지의 사례는 많은 점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의 유산인 문화재 반환에 대한 경각심, 문화재에 대한 관심을 보다 기울여야 할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