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이 죽어버렸으면 좋겠다
고바야시 미키 지음, 박재영 옮김 / 북폴리오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우선 표지가 무척 눈길을 끌었다.

기존의 책 표지와는 다르게 책갈피로도 사용될 수 있을 용도의 또 다른 커버는 이색적이었던 것만큼이나 제목 또한 섬뜩하지 않은가?

처음엔 무슨 스릴러의 내용이 담긴 것일 줄 알았다가 전혀 뜻밖의 생생한 보고를 담은 내용들이라 좀 더 다른 방향의 접근을 요한 책이었다.

 

 

우선 맘고리즘(Mom+Algorithm)’이란 말을 아시는지요?

여성들이 육아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해서 겪는 고통의 신조어라고 하는데, 이 책은 그런 의미를 훨씬 폭넓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육아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는 독자라면 무척 관심을 끌만한 책이 아닌가 싶다.

 

저자는 청년 고용, 여성 노동 분야, 르포 아이를 낳지 않게 하는 사회, 르포 보육 붕괴를 집필한 저널리스트 고바야시 미키다.

이 책은 이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현실에서 오는 육아의 괴리감, 특히 엄마들의 입장 대변과 아빠들의 입장 대변을 통해 어떤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결해야 하는지를 다룬다.

 

 

처음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의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여기서 만난다는 것을 깨닫고 놀랐다는 사실, 사실 소설이 허구이긴 하나 현실을 무시하지 못한다는 의식 아래 펼쳐진 이야기를 르포 형식의 내용과 비교해보는 재미도 있었지만 책날개의 끝 부분에 나온 문구는 더욱 그들의 고통이 얼마나 큰지를 일깨워준다.

 

 

요즘은 맞벌이 부부가 많은 세대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전업주부들 또한 육아라는 고충에서는 모두 힘들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직장맘과 전업주부들이 겪는 분노의 사례들을 다룬 이 책은 사회적인 시선에서 오는 여성들이 갖는 불합리한 시선, 다시 복직이란 어려운 결단을 내리기까지의 험난한 육아의 해결 문제, 지금 젊은 부부들을 그나마 이러한 분담 역할이란 면에서 많이 개선이 되고 있지만 역시 육아의 몫이라 하면 여전히 엄마의 존재가 크다는 사실을 다시 일깨워준다.

 

특히 베이붐 세대의 아빠들이 생각하는 아내에 대한 존재 의식은 막연히 무상 노동 시간을 무시하는 것과 동시에 아내를 먹여 살리고 있다는 인식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 그 틈에서 자신 만의 역량을 발휘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란 말처럼 요원한 상태로 전락하는 실태를 저자는 자세하게 보여준다.

 

그렇다면 남편들의 입장은 어떨까?

법적으로 육아휴직이란 것이 있긴 하지만 남자가 이런 휴직계를 낸다는 현실은 그저 꿈같다는 것, 주위의 눈치를 보기 일쑤고 많은 것도 아닌 2주간의 육아휴직 자체도 신청하기란 고단한 현실 앞에 사회적 문제인 고용악화, 비정규직들이 갖는 불안함, 수입의 일관성 없는 현실, 이러한 것들을 회사의 입장에선 쉽게 받아들이기가 어렵다는 답보 상태의 일들은 비단 일본뿐만이 아닌 현재의 우리나라의 실정과 판박이처럼 똑같단 생각이 들게 한다.

 

 

 

물론 실제로 남편을 죽이는 행위와 남편이 죽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하지만 무엇이 아내들을 그 지경으로 몰아넣은 것일까? 어쩌면 어느 부부라도 남의 일로 넘길 수 없는 공통된 문제가 있는지도 모른다. -p 8

 

 

서로의 이상이 맞아 결혼과 출산이란 것을 이룬 가정 내에서 이러한 동상이몽식의 부부관계는 육아하는 공통의 분모를 안고 살아가는 부부들에게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를 곰곰이 생각해 보게 한다.

 

남편이 생각하는 아내의 변화된 심경의 변화 캐치, 그러한 것을 보완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를 의논하고 실천해 나가는 자세, 또한 여기서 더 나아가 사회적으로도 경력 단절된 여성들의 복직에 필요한 제도 방안과 이에 절충될 수 있는 육아담당에 대한 고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해보게 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