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 고전 : 서양편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김욱동 지음 / 비채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녹색 고전 시리즈 중에 마지막 서양 편이다.

그동안 접해왔던 한국, 동양 편에 이어서 서양편이 나왔고, 이 서양 편에서도 나타나는 자연환경과 인간관계 간의 밀접한 관계를 여러 가지 서양 유명인사들의 책과 주장들, 그리고 구약 성서와 길가메시의 이야기를 선두로 다룬 이야기들은 다시 한 번 자연의 소중함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해 준다.

 

산업혁명으로 인한 서양의 발전은 동양과는 또 다른 획기적인 자연 공해를 발생시켰고, 이후 전 세계적으로 그 영향은 실로 대단하게 우리 인간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그 옛날, 이미 서양인의 유명 인사들은 이런 점을 주시하고 있었고 이에 대해서 '윌든'의 저자인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자연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체험을, 시인들은 자연의 경이로움을,  너무나도 유명한 살충제의 악영향에 대해 고발한  레이철 카슨의 '침묵의 봄' 에선 실제로 그 영향 때문에 인간들이 피해를 입게 된 사실들을 목격하게 되는 것을 경고하고 있다.

 

 

 

멸망한 원인에 대한 여러 가지 분분한 의견들 속에 한 가지로 대두되고 있는 마야문명을 자연적인 관점에서 바라 본 주장도 그럴 듯 하다. 

 어느 날 하루아침에 사라진 원인에 대해  불어난 인구수에 따른 무차별적인 나무 수를 줄였다는 주장은 또 하나의 환경의 중요성을 무시함으로써 인류의 문명 하나쯤은 지구의 한 부분으로 생각해  쉽게 없애 버린  자연의 경고를 우리 인간들은 여전히 무시하고 살아가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생각도 해 보게 된다.

 

문명의 발달과 발전은 분명 인류사에 획기적인 한 획을 그었지만 또 한편에선 이러한 자연의 도움을 외면한 인간들에게 다시 그 피해가 돌아오게 되는 부메랑 같은 역할을 우리 스스로가 만들진 않았는지, 지금도 여전히 뜨거워진 지구의 온난화 현상과 해수면 상승, 북극곰의 생태계 위험이 고수위에 이르렀단 사실, 아마존의 무분별한 벌채는 지구의 허파를 야금야금 도려내 먹고 있다는 사실을 더욱 깨닫게 해 준다.

 

 

한 가지  전문적인 분야에서만 그칠 문제만이 아닌 이제는 여러 개의 전문 분야가 서로 협력하는 시대인 만큼 자연환경에만 그칠 것이 아닌 근본적인 윤리학적인 면에서도 많이 고려를 해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저자의 말이 녹색 고전 시리즈를 통합해서 읽어봄으로써 다시  일깨움을 일으키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