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로마사 - 7개 테마로 읽는 로마사 1200년
모토무라 료지 지음, 이민희 옮김 / 교유서가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로마에 관한 이야기를 접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그리스 로마 신화란 책이 아닌가 싶다.

이름만 다를 뿐  결국엔 로마가 그리스란 나라의 발전된 것을 받아들이면서 그들 나름대로의 신 이름만 바꿨을 뿐 실제적으론 동일시되는 신들에 대한 이야기다.

 

인간에게 사랑에 빠지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요즘 말로 하자면 혼혈인을 탄생시킨 신에 대한 존재에 대한 인식이 약간씩 달랐을 뿐 결국엔 한 길로 통한다는 점에서 로마에 대한 이해가 성립이 되지 않을까 싶다.

 

로마사에 관한 내용 중 우리나라 국민들 대부분이 읽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를 들 수가 있겠고 그 전에는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 더 나아가서는 몸젠의 저서들을 들 수가 있을 것이다.




위의 책들은 두께도 그렇고 권수로도 방대한 로마사에 대한 총집합적인 역사를 다룬 책이기에 처음부터 정독을 요구할 수밖에 없고, 이런 이야기들을 처음 접한 나로서는 지겹기도 했고(특히 영토를 넓혀가는 과정에서 나오는 군사적인 설명) 어렵게 대한 기억이 난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이 책은 그리스 로마 신화를 접한 독자가 본격적으로 로마사를 들어가기 전에 전체적인 로마란 역사에 대한 포괄적인 큰 테두리를 접하고 읽기에 만족을 줄 수 있는 책이 아닌가 싶다.

 

시오노 나나미도 그렇고 이 책의 저자도 일본인이다.

일본인들이 왜 그리 로마사에 대한 관심, 물론 타 국가의 작가들의 인문서적도 포함을 한다면 넓게 볼 수 있겠지만 로마가 지닌 지정학적 위치가 동양과는 먼 나라이기 때문에 일본인들이 연구를 하고 저서를 내놓는 경향은 로마사를 연구함으로써 보다 더 나은 미래의 전지적인 설계와 모색을 도모하기 위한 탐구자로서의 정신이 들어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부터 들었다.

 

전 인류의 역사를 크게 동양과 서양으로 나누었을 때 지금까지도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는 로마란 제국의 흥망성쇠는 그 관점을 어디에 두고 연구를 하느냐에 따라서 여러 각도로 들여다볼 수 있는 볼거리를 제공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저자도 방대한 로마에 대한 세세한 부분들을 다루지 않고 크게 7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기. 승. 전. 결의 방식을 취했으며 이에 들어가기 앞서 로마를 알기 위한 초석으로  로마사를 이해하기 위한 키워드인 S·P·Q·R/ 로마법/ 가풍/ 파트로누스와 클리엔스/ 다신교와 일신교를 다룸으로서 쉽게 접근성을 보완한 점이 인상적이다. 






알다시피  로마에 관한 이야기는 드라마나 영화에서도 많이 나오고 작가적 상상에 덧붙여져 그리는 당시의 호화스러운 생활상이나  경제, 인물들간의 권력다툼, 종교적인 문제를 다룬 것들을 보면 여전히 현대에도 그 영향이 막강함을 느낄 수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그렇다면 이탈리아의 작은 곳에서 태어난 로마가 어떻게 왕정과 공화정, 그리고 제국을 건설하면서 근 천 200여 년간 유지해 올 수 있었던 원인과 그 근원은 무엇이었을까?를 다룬 각 부분들은 쉽게 구어체로 쓰여져 있기 때문에 누구나 어렵다고 느낄 수 있는 역사의 한 부분들을 친근하게 접근할 수가 있으며, 로마란 나라가 그리스와는 왜 다른 체제를 이루면서 쇠망을 겪었는지에 대한 흐름들이 짧은 이야기 속에 각인이 되어 줄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독특한 구귀족 파트리키이(파트로누스)와 그들이 보살펴주는 클리엔스의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군사제도에 이용한 마리우스의 정책, 귀족 출신으로서 마리우스와 대립관계에 있었던 술라의 과감한 개혁정책 뒤 독재관을 스스로 물러난 과감한 결단력, 뛰어난 정치적 수완을 가지고 좀 더 오래 살았다면 로마사에 대한 이야기는 또 다른 방향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았을까를 생각하게 하는 카이사르의 암살을 통해 로마에서 이루어지는 상하관계의 발전과 나라를 지탱하는 힘인  각 신분계층에 속한 사람들의 자긍심과 가진 자의 여유로움을 사회공헌에 이바지하는 귀족들의 실천들이 로마란 거대 제국을 이룬 동력이 되었단 사실들이 알기 쉬운 말로 이해를 도와준다. 

 



중세의 기사도 정신인 명예를 중시했던 그 근원이 로마에서부터 이어져온 호노르(명예)를 중시했던 가풍의 유지와 그 정신을 이어받기 위해 힘을 쓴 귀족들의 생각, 속주를 거느리면서 다양한 판결을 통해 그 지역에 맞는 판결을 내림으로써 각지의 고유적인 색채와 종교의 허락을 통해 중심부로서 로마가 가진 힘의 보완성을 효율적으로 다룬 점이 다시 한 번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대중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정확히 꿰뚫고 있었던 지도자들이 행한 빵과 서커스에 대한 베픔, 오현제에 이르러 '팍스 로마나'의 시대, 이후 힘들로 어려운 시기를 겪으면서 위태위태하게 나라를 유지했던 로마가 갖고 있었던 노쇠한 제국의 약점들을 통해 쇠망해 가는 과정들이 간략하면서도 큰 요점들은 놓치지 않고 다루었기에 본격적인 로마사에 대한 궁금증을 알고 싶어 지게 만드는 책이다.



역사는 돌고 돌아가며 그 돌아가는 역사의 한 발자취를 통해 우리들은 반면교사의 대상으로 삼는다. 

로마란 태동부터 멸망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수용하되 분할하여 통치하란 말에 입각한 현실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정복한 나라를 다룬 부분들을 보면 지금에 와서 다시 읽어도 배워야 할 점이 많고 아직도 연구할 부분들이 많은 나라가 아닌가 싶다. 


본격적인 인문서로 들어갈 때도, 아니면 소설 형식을 통해 로마란 나라를 알기 위해서도 이 책은 로마란 나라를 알아가기 위한 첫걸음이란 생각이 들 만큼 알찬 책이란 생각이 든다. 


로마 마스터 시리즈와 풀잎관 시리즈를 출간한 출판사인 만큼 이 책을 먼저 보고 이 시리즈를 접한다면 훨씬 읽어나가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