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관 - 하 - 왕을 기록하는 여인
박준수 지음, 홍성덕 사진 / 청년정신 / 2015년 11월
평점 :

사관 상에 이은 하권의 이야기다.
괴서 사건은 곧바로 한명회 및 당시 수양대군 찬탈에 관여를 했던, 이제는 공신의 자리에 오른 신숙주를 비롯한 여러 대신들의 이름이 과연 사초에는 어떻게 기록이 되어 있는지에 대한 시선으로 확장이 되고 은후와 세주, 그리고 또 다른 사관이 포쇄를 하기 위해 궐을 떠났던 사실까지 의심을 사게 된다.
세주는 세주대로 정혼녀의 행방을 쫓던 중 종이를 만드는 곳까지 가게 되고 그 곳에서 어떤 여인을 보게 되면서 세주는 은후와 자신이 찾는 정혼녀의 상관관계, 그리고 보위에 오른 왕이 실록 편찬에 관심을 보이면서 사초를 올리되 이를 기록한 사관들이 실제 이름을 같이 올리라는 명에 따라 사관들 사이에선 혼잡함이 몰려오게 된다.
두 번째 괴서 사건이 다시 벌어지면서 한명회는 수양대군의 가노였던 막동의 연루와 이와는 반대로 단종의 부당한 양위의 문제와 잘못된 역사를 제대로 고치려는 또 다른 무리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권위를 유지하려 역사의 은폐를 막아보려는데...
과연 누가 이런 일들을 벌이게 됐는지, 역사란 무엇인지, 선위의 이양을 하지 못했던 수양대군이 말년에 느꼈던 역사적인 사실들에 대해 먼 후일 후손들이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게 될 지에 대한 걱정을 하는 장면들은 사관이 지닌 필력의 힘을 느끼게 된다.
사관으로 뽑히기까지에는 정 7품에서 정 9품까지 직위는 매우 낮았고, 그럼에도 항상 임금 곁에서 기록을 담당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었기에 임금 역시 아무리 강대한 권력의 최상위 자라 하나 사관의 필치를 의식하지 않을 수없었던 견제의 대상이었음을 훨씬 가깝게 느낄 수가 있다.
그렇기에 아무리 왕이 보고자 하나 볼 수 없었던 실록에 대한 글들은 사관만이 책임을 지고 쓸 수 있었으며 이렇게 쓰인 실록에 대한 보관이나 포쇄 하는 과정, 한명회가 왜 그토록 괴서에 쓰인 글에 대해 집착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 역사를 바라보는 각기 다른 상황에 처한 사람들의 상황들이 종이에 쓰인 글자로 인해 웃고 울 수밖에 없었던 배경들이 잘 그려진 책이다.
여기에 덧붙인 사람과 사람 사이에 오가는 애틋한 애정, 사랑, 그리고 끝내 자신의 연인을 찾아가는 세주의 행동까지 곁들임으로써 당시 상황에 맞춰서 그린 역사적인 상황의 가상 설정들이 그럴 듯하게 다가오는 것은 아마도 역사란 과연 무엇인가? 에 대한 물음, 역사가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사실들의 근간이 기록의 책임성을 진 사관들의 마음가짐들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사관으로 뽑히기도 어렵지만 초지의 심정대로 일관되게 자신의 뜻을 거스르지 않고 사초를 기록해 나간다는 책임감을 끝까지 이어나가는 것도 쉽지만은 않을 터, 이 책에서 보여주는 사관들의 세계를 통해 역사의 진실된 기록의 중요성, 더 나아가 그것을 어떻게 바라보고 올바른 행동을 해나가는 데에 있어 교훈을 삼아야 할 지에 대한 몫은 남겨진 현재의 우리들의 몫이 아닌가 싶다.
한 대목에 근거해 여사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되 실존하는 역사 기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주는 책이 아닌가 싶다.
“어차피 역사란, 마지막에 살아남은 자들이 쓰지. 하지만 그것을 평가하는 것은 그들이 아니라 후인들이라네. 후인들은 그리 어리석지 않을 것이네. 그들이 아무리 역사를 왜곡할지라도, 후인들은 반드시 진실과 거짓을 가려내어 엄중한 평가를 내릴 것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