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 있는 식탁 - 먹고 마시고 사는 법에 대한 음식철학
줄리언 바지니 지음, 이용재 옮김 / 이마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요즘은 채널을 돌릴 때마다 요리프로가 인기인가 보다.

각기 다른 패널들이 나오는 그들의 냉장고에 들어 있는 식품을 통해 다양한 음식의 경연을 벌이는 프로그램을 즐겨 보는 편인데, 볼수록 이런 응용요리를 하는 전문인들의 솜씨가 마냥 부럽기만 하다.

 

이뿐만이 아니라 직접 요리를 시범해 보이면서 먹는 코너는 물론이고 공중파, 지상파 할 것 없이 모두가 요리 잔치 일색이란 생각이 든다.

그만큼 우리 생활에 있어서 주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음식에 대한 이색적인 접근을 시도한 책을 만났다.

철학이 있는 식탁이라~

 

책 표지 자체가 즐겁게 모여서 음식을 먹는 그림들인지라 과연 식탁에 오르는 음식들에 대한 저자의 생각이 궁금했다.

유명한 철학자이자 칼럼니스트, 작가이기도 한 이력답게 흥미롭게 글을 이끈 점이 눈에 들어온다.

보통 우리가 식사를 할 때는 미각, 후각이 동시에 이루어지지만 작가는 책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먹는가는 가장 사소하고도 일상적인 행위인 동시에 관계와 윤리, 실천의 문제이기도 하다 라는 것을 밝히고, 유기농, 친환경, 동물 복지, 지역 생산 재료 등 음식을 둘러싼 논의를 근원부터 들추어 꼼꼼히 살펴보고, 개인이 좋은 삶을 위해 갖추어야 할 품성과 습관을 먹는다는 측면에서 논하고 그것을 어떻게 일상에 적용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라는 취지를 밝히고 시작한다.

 

제철에 나는 음식에 대한 생각과 자신이 직접 가꾸는 텃밭에 대한 이야기, 유기농 법과 공정무역 사이의 고민, 그저 식탁에 올라오는 단순한 음식에서 벗어나 이 음식이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여정과 그 안에서 이뤄지는 농부와 중간상인, 그리고 소비자의 입에 오르기까지의 여러 갈래의 흔적들을 통해 철학적인 관점을 주지하면서 과연 어떤 방식으로 접하는 것이 좋은 삶을 위해 먹는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만드는 책이다.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이 있다면 배려 있는 도살(연민)을 다룬 부분이 아닌가 싶다.

 

흔히 말하는 고통과 고난에 대한 비교가 이처럼 잘 표현된 것이 있을 수가 있을까를 생각해보게 한 부분, 즉 고통은 괴롭지만 고난은 그보다 훨씬 더 괴롭다는 것, 고난은 기억에 의존하며 인간은 고통보다 고난에 더 신경을 쓴다는 것이란 구절이 동물의 도살 부분을 다루면서 다루어져 있기에 아무런 의식 없이 그저 식탁에 오르는 육식 음식에 대한 다른 생각, 감사와 연민을 동시에 불러일으키게 한다.

 

각 챕터 끝마다 레시피를 적어놓는 부분도 놓칠 수 없는 양념 같은 부분이다.

무겁게 읽힐 수도 있고 다시 읽어도 좋을 정도의 내용들이 들어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이 책을 읽고 난 후에는 식탁에 오르는 모든 음식들에 대한 생각 자체가 더욱 겸손해지면서 다가갈 수 있게 하는 책이 아닐까 싶다.

 

먹을 법을 아는 게 사는 법을 아는 것이다.-오귀스트 에스코피에

 

웰빙이란 말이 이제는 그 어떤 유행이 아닌 하나의 관용어처럼 들리는 세상에 타인과 동물, 프랜차이즈에 대한 생각, 체중감량에 따른 음식과 자신과의 의지들을 다룬 부분들도 모두 줄을 쳐가며 읽게 만드는 책, 여기에 좀 더 쉽게 음식에 대한 영화나 책을 다룬 부분들이 있어 친근감을 더해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