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의 증언
오정은 지음 / 디아망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는 달라도 사건의 해결을 위해 이에 연루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는 과거나 현재나 언제나 읽어도 흥미롭다.

 

첨단 기구가 등장하는 현재는 물론이고 특히 과거의 어느 시대를 다루는 소설들은 그런 점에서  당시의 사회분위기나 이들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통해 억울한 사연을 갖고 죽은 이들의 해결 실마리를 찾는다는 데서 읽는 재미를 주기도 한다.

 

이 소설은  여기에 남녀 구분을 뒤로하고 특출한 재능을 가진 사람들의 집합이란 소재를 가지고 다루고 있기에 더욱 흥미를 끈다.

 

조선의 어린 왕이 형을 제쳐두고 금상으로 오른 뒤 그 뒤엔 할마마바인 대자대비가 있었으니, 자신이 보위에 오르지 못한 한(恨)을 품은 하월군의 개인적인 군사 양성을 알고도 모른 척, 대립관계에 놓은 어느 시기-

양반가의 자녀, 특히 여식들이 해괴한 모습의 시체로 발견이 된다.

 

얼음에 갇힌 여인의 시체, 해촌 대장간에 버려진 기녀의 시체, 나비처럼 나무에 묶여있는 여인의 시체들로 이들의 죽음을 둘러싸고 사건의 해결 실마리를 풀기 위해 형조 내의 강력 사건 전담 조직 특검소, 일명 왕의 명만 받는단 이들의 또 다른 이름은 "이능자"라 불린다.

 

 

검률 한 명과 그 휘하 아래에 네 명의 부하들이 모였으니 제각기 특출난 재주를 갖고 있는 이들로 사체의 모습을 투시하는 자, 생전의 용모를 그리는 화공, 축지를 쓰는 이, 그리고 흔한 말로 구천이라고 불리는, 이승에서 저승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이들이 바로 그들이다.

 

이들 중에서 특히 서은우는 경계를 넘나드는 이능이 발견이 된 여인으로 이 세 사건의 해결을 위해 죽은 자들의 경계와 현재를 오고 간다.

이승에서의 삶이 어떻든 간에 죽은 자는 모두가 평등한 법, 차사들이 자신들을 데리러 올 때까지 잠시 머무는 그곳에서 이능을 가진 자는 그저 지켜보되, 간섭하지 않고 죽은 망자의 곁을 지키며 사건의 윤곽을 파헤칠 뿐이다.

 

그녀 역시 아픈 과거를 가지고 있으니 바로 원영이란 낭군과 경계에서 몇 년간을 살다 온 이력이 있는 자로서 죽은 여인들의 사연을 파헤치다  하월군과 만나게 되고 하월군을 통해 또 다른 자신의 과거를 잊기 위해 애를 쓴다.

 

겉으로 보기엔 단순한 살인사건으로 생각되었을 세 여인의 죽음을 둘러싼 뒤의 장막은 실로 기막힌 위정자들의 위선과 자신들의 실수를 감추기 위해 연막을 친 사실들을 통해 또 다른 이상적인 세계관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한다.

 

묵자(墨子)가 주장한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 어떤 방식으로 다스려야 하고 계급과 남녀 차별 없이 모두가 일하면서 고루고루 평등한 분배와 세상을 이루어나갈 수 있는지에 영향을 받은 사람들의 개혁 의지가 담겨 있고, 그 가운에 중심적인 소재로서, 규방에 갇힌 여인들이지만 모두 뛰어난 그림과 글에 소질이 있던 사람들의 죽음을 연계 시킴으로서 자신들의 안위와 그것을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신분의 차이를 인정하게 하는 나라의 법들의 세태를 비판하는 소설이다.

 

왕가의 자손으로서, 궁 궐내의 최고의 주인으로서, 자신들의 신분을 뛰어넘어 보다 나은, 백성들을 생각하는 뜻밖의 사람들이 연루된 이 사건의 정황을 밝히는 이능자들의 기지와 특히 은우와 하월군의 로맨스는 이승과 저승의 경계라 불리는 구천에서 맺은 인연을 이승에서 다시 어떻게 매듭이 지어지는지에 대한 은은한 향이 도는 감각의 로맨스가 곁들여져 재미를 준 책이기도 하다.

 

처음 도입부부터 현실인지 경계의 세계인지 알 수없을 정도의 판타지적인 시간의 흐름이 보이는 소설이라 시대적인 배경을 생각하고 읽는다면 훨씬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