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님의 일기장
현진 지음 / 담앤북스 / 2015년 5월
평점 :

종교인들이 쓰는 글들은 언제 읽어도 삶에 지친 일반인들에게 좋은 보양식 먹은 느낌이 든다.
이것이 종교를 믿건 믿지 않건 간에 일반인들에게 다가오는 체감은 실제로 직접 설교나 설법이나 교리를 통해서, 그리고 글이란 매체를 통해서도 그 말씀들은 하나같이 버릴 것이 없다는 생각이다.
불교계에서 글 쓰는 스님으로 알려진 현진 스님이 출가수행자로서 살아온 30년의 세월과 글쓰기 인생 20년을 아우르는 산문집을 접했다.
공교롭게도 월요이면 석가탄신일이고, 종교를 떠나서 모든 이들이 기쁨과 함께 세상살이와 내 마음의 다스림을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해 좀 더 되새겨보는 기회를 주는 책이다.
청주 근교에 세운 마야사에서 반농반선(半農半禪)의 생활을 하고 계신다는 스님의 생활은 그야말로 법정 스님의 생활을 연상시키기도 하고 복잡한 세상에서 어떻게 사람과 사람 사이를 교류시키며 살아가야 하는지, 때로는 내 맘 속의 불안감과 만족을 모르고 사는 것에 대한 그 원인의 실체를 누구나 알기 쉽게 쓰인 글로 인해 친근감이 더해진다.

종교인이라고 해서 모든 면에서 속세와 인연을 끊고 살 수는 없는 법-
스님의 단조로우면서도 아침 일찍 산을 오르고 느끼는 청량함과 함께 부모님이 있기에 결국은 종교인이기에 앞서 한 사람의 자식임을 알게 해 주는 한 스님의 병간호 얘기는 뭉클하기도 하다.
인생살이란 결국은 행과 불행이 번갈아 오기 마련이며 어떤 것이 오는냐에 따라 내 자신의 마음 다짐을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 때론 이런 감정마저 감사의 마음을 가진다면 좀 더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긍정의 마음가짐을 이어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반성을 해보게 된다.
공수래공수거란 말이 있듯이 양손에 모든 것을 가지고 있을 수는 없다는 세상사의 공평성, 죽음에 이르러선 결국엔 아무것도 가지고 갈 수 없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말은 행복이 목표가 아닌 과정, 지금 누려야 할 것이라는 말씀을 하기 위해 일상에서 행복으로 가는 태도보다 행복으로 가는 길에 방해되는 요소들을 제거해 가는 노력이 필요함을 쓴 부분이다.
불필요한 일을 줄여나가는 삶-
여행 갈 때의 비교 부분은 이것이 바로 인생의 삶에서 정말로 필요한 부분이 아닌가도 싶다.
매일 새벽에 삭발을 함으로써 조금씩 나태해지는 마음가짐을 다스려보려는 스님의 행동을 통해 보다 나은 나 자신의 행복을 위해, 더 나아가 타인들에게도 모두 고루고루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전해주는 스님의 말씀이 가슴에 와 닿는 책이다.

그동안 쓰여던 글들과 새롭게 쓴 글들이 모여서 하나의 작은 이야기처럼 두런두런 들리기도 하는 책처럼 쓰였기에 잠시나마 망중한의 시간을 느껴보는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