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품은 영어 이야기 - 천부적 이야기꾼이 들려주는 영어의 역사
필립 구든 지음, 서정아 옮김 / 허니와이즈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얼마 전 케이블에서 '비정상회담'이란 프로그램에서 나왔듯이 서양인들의 눈엔 우리나라 사람들 누구나가 영어에 매달리시다피 하면서 열공하는 모습들이 인상적이었단 것을 들었다.

 

그것은 이미 그네들이 자신들의 영역에 속하든, 속하지 않든 간에 우리나라와의 실정과는 다르다는 다른 패널들, 특히 중국, 일본패널들의 공감대 어린 말에 고개를 끄덕인적이 있는 만큼 영어는 우리에겐 멀리하기엔 웬지 뭔가 부족한 듯하고 가까이하기엔 많은 노력의 댓가가 필요하단 사실에 결국 세계적인 대세의 흐름을 따를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그런 의미에서 학창시절 제2 외국어로 처음 불어를 대했을 때의 그 발음상의 뉘앙스라든가 머리가 깨질도록 아프게 외우다시피한 동사의 변화는 잊을 수가 없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영어보다 훨씬 쉽게 익혔다는 사실이다.

왜그럴까? 하고 생각한 적이 있는데, 아마도 영어의 철자와 비슷한 것도 있고 발음상의 일관적인 규칙성도 있고, 뭣보다 영어를 먼저 배우고나서 불어를 접했기에 가능했던 것이 아닌가 싶었다.

 

이처럼 영어는 세계적인 공통어로서 그 자리매김을 확실히 다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 영어의 탄생은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현재까지 그 사용인구가 많은 데엔 분명 어떤 관계가 있기 때문이란 생각을 시원하게 풀어주는 책이 바로 이 책이 아닌가 싶다.

 

고대의 영어가 현대의 영어를 이루는데  바탕이 된 지금  영국에서는  켈트인들이 자신들의 고유언어인 켈트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로마제국의 침공으로 라틴어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자신들의 정착지를 잃게되고 그나마 다행스럽다고나 해야할까,  로마인들이 언어에 대한 말살정책을 펴지 않았기에 소수나마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바이킹이나 앵글로색슨족의 침입을 받으면서 점차 그들의 언어와 섞이게 되고 로망스어까지 가세하면서 영어는 점차 자신만의 고유언어로서 정착을 다지게 된다.

이에 더불어서  <베어울프>, <캔터베리 이야기>, 셰익스피어의 희곡 등의 문학작품을 통해 영어의 단어가 지니는 세련미는 더욱 발전하게 되고 사전편찬이라는 작업을 통해 통일된 하나의 체계로서 다지게 된다.

 

지금도 영화를 보다보면 확실히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것을  느낄 때가 많다.

영국인들의 세계제국주의 팽창에 맞물리면서 영어는 신대륙을 포함해 자신들이 정복한 나라들조차 영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강대한 힘을 발휘하면서 그 위치는 대단해지며, 이는 지금도 각국의 그 나라만의 식으로 불리는 또다른 영어가 탄생하게 되는 과정들을 엿 볼수가 있다.

 

영어가 세계를 정복했음은 국제 항공 영어로 사용된다는 점, 사용자가 만드는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에 영어로 된 정보가 가장 많다는 점이 뒷받침한다. -p21

 

국제 항공에서조차도 영어로 통일된 말을 쓰게 되는 이야기들은 물론 영어를 사용함으로서 비록 식민의 지배를 받고는 있었지만 또 하나의 출세지향주의를 원했던 식민주의의 나라들 사람들마저 영어에 대한 열공의 자세는 미국이란 신대륙이 탄생하면서 세계의  영어는 또 다른 미국식 영어가 세계를 제패하게 되는 과정들이 재미있는 사례들을 곁들여 가며 들여주는 책이다.

 

불가사의의 하나로 꼽히는 잉카제국은 그 위대한 유산과 유물이 있음에도 글자가 없었기 때문에 미스터리로 남아있고, 다만 고대의 문자일부를 해석 함으로써 대강 짐작을 하고 있다는 점에 비춰볼 때 문자의 영향과 말의 영향은 실로 위대하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하게된다.

 

영어 뿐만이 아니라 지금도 문자와 말을 가지고 사용하는 사람들은 하루가 다르게 미세하나마 조금씩 변화하는 차이를 느끼며 사용하며 살아가고 있다.

영어는 그런 면에서 미국의 용광로 같은 인종다민족주의처럼 각기 다른 곳에서의 단어의 차용과 그 쓰임을 영어에 도입해 사용하길 주저하기 않았기에 지금의 OK, beserk, curfew, cabal, pow-wow와 같은 일반 단어는 물론이고 심지어 영어에는 없는 단어들의 경우엔 인디언의 말, 다른 나라들의 말을 차용해 자신들의 단어를 만드는 과감하고 개방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이는 곧 지금의 영어가 세계로 뻗어 갈 수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고 지금도 여전히 문자나 이멜, 페이스 북에서 사용되는 각종 이모티콘의 경우까지, 과거의 태동시기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 하나의 언어영역을 아주 다채롭고 흥미있게 다룬 점이 아주 인상에 깊게 남는 책이다.

 

 영어가 주는 강압적인 부담감에서 벗어나 영어만이 지니는 재미있는 문학의 작품서부터 다양한 정복의 시기를 다룬 부분에 이르기까지 영어에 관한 이야기를 따라가다보면 세계의 역사를 공부하게 되는  덤은 보너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