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조선미술 순례
서경식 지음, 최재혁 옮김 / 반비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책 제목을 보고 이씨 조선 전 왕조를 통틀어서 다룬 미술순례기인 줄 알았다.

그런데 책 제목에서주는 것과는 달리 근대 이후에 들어서면서 시작되는 각 미술의 영역을 다룬 책으로, 그나마 책 끝부분에 가서야 신윤복과 김홍도에 관한 이야기가 나올 뿐 내 상상과는 거리가 먼 책이었다.

 

그럼에도 아주 깊은 사색과 울림을 준 책이다.

저자는 알다시피 '나의 서양미술순례 '란 책을 통해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제일교포 2세 출신의 교수이자 끊임없이 한국사람으로서의 생각과 그의 저변에 깔린 의식을 글로써 풀어놓은 분이다.

 

이번에 나온 이 책도 원제목을 우리/미술이라 지칭하고 싶었다고 한다.

하지만 /가 주는 여운이 끝내는 제목에 채택되지 못했고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조선'이란 말을 집어넣음으로써 나오게 됬다는 설명이 붙는다.

그렇다면 한국도 아니고, 왜 '조선'이어야만 했을까?

 

나는 '조선'이라는 말을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더 넓은 차원에서 바라본 총칭으로 사용했다. "한국미술"이라는 호칭을 일부러 쓰지 않은 이유는 한국이라는 용어가 제시하는 범위가 민족 전체를 나타내기에는 협소하다고 생각했기때문이다. .....

 

 

'조선'이라는 용어를 고른 또 하나의 이유는 이 말이 학대를 받아온 호칭이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나고 자랐던 나에게는 더욱 그렇게 느껴진다. 민족의 호칭은 식민지 지배 과정에서는 차별의 멍에를 지게 되었고 민족 분안과정에서는 이데올로기의 짐을 떠안았다. 그리하여 우리는 '조선'이라는 말을 입에 담을 때 긴장과 불안 때로는 공포마저 느껴왔는데 이 역시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의 정직한 반영이다. 나는 억울함을 당한 이 호칭을 그것을 말하지 못하게 하는 학대에서 더욱 구출하고 싶은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대의 원인을 없애지 않으면 안된다.

저자 자신의 처한 환경때문에 유독 디아스포라에 대한 이미지를 끌어안고서 다룬 이 책은 폭 넓은 미술의 세계를 통해 곧이 곧대로 '우리'란 울타리에 대한 고정관념을 다시 바라보게 하는 책이다.

 

5.16과 80년대를 학창시절로 보냈던, 지금은 한국의 미술계에서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는 화가들과 직접 대화를 하면서 자신이 보고 느낀 그들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는 그림과 조소, 사진, 행위예술에 이르기까지 미술에 관한한 그의 지식에 덩달아서 미술을 다시 보게 되는 눈을 조금씩 떠갔다는 표현이 옳을 정도로 조금은  색다른 책이다.

 

 

 

우리가 머릿 속에 고정된 '우리'란 울타리는 저자의 머릿 속 공간에서 차지하고 있는 개념과는 다른다.

그것이 작가 자신 스스로 재일교포라는 한국 밖에서의 위치에서 바라보고 성장했단 점도 한 몫을 했겠지만 저자가 만난 사람들 중엔 일제치하의 어두운 시절에 미술에 대한 열정과 이데올로기 틈바구니 속에 자신들 만의 고유한 색채를 통해 표현하려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서부터 현대사의 어두웠던 역사 속에 용감히 뛰어들지 못한 채 주변에서 머물렀어야만 했다는 고백 아닌 고백처럼 들리는 예술인들의 고뇌가 분단이 지속되고 있는 현상황과 맞물리면서 또 다른 디아스포라로 어디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는 또 다른 우리를 껴안고 새롭게 시작해야하지 않나하는 반성의 기회를 준 책이기도 하다.

 

 흔히 누구누구의 작품이 얼마에 경매에서 사상 최고가로 팔렸다더라 하는 식의 기사를 접하기만 했고, 워낙에 고가로 이루어지는 것이라 관심조차 두지 않았던 내개 이 책은 저자가 직접 대면한 작가의 말을 통해 그들이 그려나가는 작품의 세계에 대한 이해도를 들여다 봄으로써 미술이 지닌 어느 한계에 막힌 틀에 고정된 그저 겉핣기 식의 보는 것이 아닌 작가의 의도를 제대로 알고 그 뜻을 음미하면서 들여다 보는 귀중한 간접경험을 선사해 준 책이기도 하다.

 

디아스포라가 비단 유대인을 대표적으로 꼽는다고 뇌리에 박혀진 것만이 아닌 '우리'란 울타리 안에 월북작가 이쾌도, 재일교포, 그리고 입양인까지 모두 아우를 수있는 폭 넓은 자세가 필요함을 알려 준 책이기에 더 없는 감동을 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