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이런, 이란 - 테헤란 기숙사 카펫 위 수다에서 페르시아 문명까지
최승아 지음 / 휴머니스트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동하면 떠오는 것은?

우선은 중동이란 말 자체가 서구나라들이 자기들 편의에 의해서 지리상에 맞는답시고 정해 놓은 이름이란 것-

그렇다면 중동에 위치한 나라들에 대한 인상은?

내 경우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해서 이란, 이라크, 걸프 전, 시리아, 종교전쟁, 그리고 가장 크게 와 닿는 것이 요즘 연일 신문이나 방송에서 오르내지리 않으면 오히려 이상하다 싶은 성전을 내세워 전쟁을 벌이는 사람들과 단체, 미국과의 대결을 떠올리게 되며 문학적으론 "아라비안 나이트" "천일야화" "십자군전쟁", "코란", "차도르", "돌팔매"를 떠올리면서 책에서도 나오지만 "이란의 검열과 사랑이야기"란 책이 떠오른다.

그런 만큼 자유가 그다지 많지 않고 특히 여성들의 생활에 있어선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의 사랑표현이나 감정표현에 있어서도 쉽게 드러내보이지 않을 것이란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다.

 

저자의 표현대로라면 일부는 맞고 일부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게 된다.

저자는 휴학을 하고 이란 내 한국기업에 취업을 나가면서 이란에서 생활한 것을 토대로 책을 냈다.

회사와 집을 오고가면서 자신이 원하는 생활이 아님을 느끼게 되어 회사를 그만둔 뒤 같은 이름을 가진 선교자와 같은 한국인이란 이유만으로 학원에서 수강신청을 거절 당하자 다시 여성들만 생활하는 기숙사로 들어가 본격적인 이란인들 삶 속에서 같이 동고동락한 생활들이 솔직하게 그려진다.

 

이란의 넓은 영토와 오랜 전통적인 역사를 그리면서 혁명 전,후로 나뉘는 이란의 현 세태에 이르는 과정들이 생활 속에서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지인들의 사진이나 자신이 직접 체험한 생활에서 묻어나오는 이야기들은 지리상 멀리 있고 종교적으로도 그다지 많은 신도들을 갖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겐 신기하기도 하고 역시 사람 사는 곳엔 어느 정도의 같은 면들이 들어 있구나 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얼굴만 내밀고 머리카락 조차 허용치 않는 옷의 제제 속에 그나름대로의 패션을 내보이는 여성들의 미에 대한 갈망, 일부다처제와 시게란 법 제도를 통해 유일하게 남녀간의 동거나 접촉이 허락된다는 이런 모습들은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들이나 이런 제도마저 그 안에서 그들의 환경에 맞게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랑의 표현과 연애를 한다는 점에서 구속함으로써 오히려 그에 대한 동경의 활동을 모색하게 되는 사회현상들이 기억에 남는다.

 

같은 이란 내에 있어도 한 번도 나라란 타이틀을 갖지 못하고 사는 쿠르드 족에 대한 이야기는 특히 읽은 대목 중에서 가슴이 아프게 와 닿는 부분들이었다.

 

 

가끔 이란 근방의 나라들이나 이란 내에서 벌어지는 쿠르드 족의 반란들을 접하곤 했었지만 저자가 아는 친구의 집에 방문하면서 느끼는 대목들은 그 민족 나름대로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순박하게 살아가는 모습들이 좀 더 서로 인정해 줄것은 인정하면서 살아간다면 지금보다 평화로운 시대가 오지 않을까 하는 상상도 해 보게 만든다.

 

찬란한 이란의 왕조가 이루었던 위대한 유산이나 건축, 현대에 들어와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영화에 대한 사랑, 느린 인터넷이지만 이란 외 지역에서 활동하는 이란 예술인들의 활동들을 보는 젊은이들, 디아스포라의 생활을 하는 이란 청년의 삶을 통해 지금껏 우물 안 개구리처럼 틀에 박혔던 이란이란  나라에 대한 인식의 범위가 좀 더 다르게 와 닿는것 같다.

 

 

한류의 이미지에 맞게 주몽이나 대장금을 통해 하마터면 소서노에 대한 사랑 때문에 목숨마저 끊을려 했던 청년의 이야기는 가슴을 쓸어내리게 하고 신정일치의 체제를 보이는 이란이란 나라의 속살들을 가깝게 접할 수있단 점에서 이슬람 종교를 가진 나라란  느낌에 앞서 한 나라에 대한 제대로 보기를 통한 색다른 책이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