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집
마크 해던 지음, 김지현 옮김 / 비채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가족'이란 울타리는 그 어느 장소보다도 든든하고 내게는 모든 것이 허용되는 안락의 장소이다.

 

 그런 가족들 사이에서 오고가는 부딪침 조차도 세월이 흐르고 나이를 먹어가고 어느 순간 모두 모였을 때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며 이야기를 주고 받는 장면은 드라마나 영화 속의 한 장면이 아닌 어느 가정에서도 흔히 볼 수있는 모습들이다.

 

그런데 정작 이렇게 가장 가까워야 할 가족들이 서로 서먹서먹한 사이로 지내게 된다면 그들의 관계는 개선의 여지가 보일 희망조차도 가질 수 없는 것일까?

 

안젤라와 리처드 남매는 치매를 앓다 돌아가신 엄마의 장례 후 오랜 만에 가족 모임을 갖게 되면서 서로가 다시 만나게 된다.

 

사실 남매지간이긴 하나 다른 남매들처럼 사이가 두터운 것도 아니고 남동생 리처드는 엄마의 병원비를 대고 누나는 그런 어머니를 일주일 한 번씩 의무감에 찬 행동으로 돌봐오던 터-

누가 엄마를 가까이 더 모셨는지에 대한 서운한 감정을 갖고 있던 안젤라는  잘나가는 방사선과 의사로 일하는 동생에 대한 부러운 맘도 갖고 있는 교사이자 주부다.

 

그녀의 남편 도미니크는 신용불량자에 실직을 했고 이렇다 할 가장으로서의 책임감 회피로 지내다 간신히 책방에 취직한 상태, 예전의 아름다웠던 부인의 흔적을 찾아낼래야 찾아 낼 수없는 현실의 안젤라 모습을 보면서 죽어버렸음 좋겠다는 극악의 상태로 부부사이를 유지 한 채 불륜마저 저지르고 있다.

 

이들의 세 남매인 알렉스, 종교에 빠진 데이지, 나이 터울이 큰 8살의 벤지와 함께 한 이번 기차여생은 리처드 자신에게도 새로운 생활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로 삼을 참이었다.

 

자신의 자식은 없고, 재혼한 루이자와 그녀의 딸인 멜리사를 둔 남편으로서 , 자식이란 느낌이 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잘 하고 싶단 생각에 모임을 가졌지만 막상 다다른 곳인 헤이온와이 마을과 낡디낡은 집 한 채인  빨간 집에선 서먹함이 채 가시지 않는 분위기다.

 

이들의 관계는 오래 된 빅토리아 풍 저택에 함께 거주하면서 서로가 그 동안 몰랐던 불신과 의심, 내가 기억하는 면과 타인이 기억하는 면과의 차이를 두고 다투는 과정, 그 안에서 각자의 성장 기로에 선 아이들의 내면세계와 행동을 통해 각자가 지닌 고민을 엿보게 하는 서술로 진행이 되어진다.

 

첫 아이를 사산한 일로 계속 그 아이에 대한 환영과 죽은 아버지,엄마에 대한 기억이 맞물려 우울증의 증세를 보이는 안젤라, 가슴에 죄책감을 지니고 불륜을 끊으려 말을 하지만 혹 정말로 관계가 끊어지게 되면 어떻하나 하는 이중성의 자세를 보이는 도미니크의 모습, 의료사고로 법정문제까지 가게될 처지에 놓인 리처드, 동성애 성향과 종교간의 갈등 때문에 혼란을 보이는 데이지, 멜리사를 유혹해보려는 알렉스의 행동들은 금요일 출발해서 다시 금요일로 돌아오는 일주일 동안 모두 터져나온 사건들의 현장이다.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얼마나 서로가 가슴에 못이 박히는 말들을 쏟아내고 그로 인해 나중에 후회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는지, 정작 자신만이 오로지 엄마 곁을 지켰다고 생각했음에도 자신의 그런 인정을 해 주는 사람 당사자인 엄마가 떠났을 때의 공허감은 남동생에 대한 원망으로 비쳐지고 그런 누나의 심정을 이해 못하는 리처드의 행동과 말들은 실제 어느 가정에서도 볼 수있는 흔한 모습들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내 자신의 그릇됨과 칭찬을 모두 해 줄 수있는 사람, 자식이 비록 보통의 이성취향을 가지고 있는가운데 동성애를 가졌단 사실 하나 앞에서 자식이기에 행복하기만을 바란다는 부모의 마음과 실제 가족이 아니고서는 이런 내 심정을 알아 줄리 없다는 생각을 하던 데이지의 경우, 뜻하지 않은 숙모 루이자로 부터 이해를 받게 되는 과정은 타인으로서 한 가정에 들어 온 사람들이 어떻게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며 그것에 다가갈 수있는지에 대한 희망을 보여준 장면이기도 하다.

 

 어쩌면 가장 걱정거리 없고 가정 행복해보이는 사람은 벤지이지만 그 아이 또한 아빠의 불륜문자를 확인한 순간 풀이 죽어가는 모습은 바람 잘 날없는 여타의 모든 가정 내의 한 부분들을 모두 켑쳐해서 작가 나름대로 현대가정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아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일주일 간의 여행을 마치고 그들은 과연 화해와 용서를 통해 새로운 기쁨의 가족으로 탄생했을까?

 

작가는 여기에서 결말을 제시하지 않는다.

그저 시간대로 흘러갈 뿐, 도미니크의 불륜은 발각나지 않았으며, 안젤라가 보는 사산아에 대한 환영도 없어지지 않았고, 리처드는 의료사고에 대한 것을 앞두고 있으며 멜리사는 멜리사대로 정학에 대한 처분을 기다리지 않으면 안되는 처지만 있을 뿐, 그 어느 것 하나 시원하게 해결되지 않은 채 빅토리아의 집을 뒤로 하고 자신들이 있어야 할 곳으로 떠난다.

 

하지만 그 안에서 비록 해결의 실마리를 잡지 못했다 하더라도 결국엔 가족이기에 언젠간 다시 만나 웃음의 꽃을 피울 날이 오지 않을까?  하는 일말의 희망을 기대해 보게 하는 책이기도 하다.

 

겉으로 보기엔 나만 빼고 모두가 걱정없이 사는 듯 보여도 그 속을 들여다 보면 어느 집이건 걱정거리 없는 집이 없다는 사실, 그럼에도 가족이기에 보듬어주고 이해해 줄 사람들은 그들 뿐이라는 사실을 각인시켜 주는 훈훈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