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의 독서법 - 조선 왕들은 어떻게 책을 읽었는가
박경남 지음 / 북씽크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의 독서 인구가 많지 않다는 보도가 있었다.

더군다나 기계의 발달로 인해 지하철이나 차를 기다리는 사람들을 보면 흔하디 흔한 책을 집어들고 읽는 사람들이 희귀하단 생각이 들 때가 있는 것을 보면 빈말은 아닐 것이다.

 

일본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독서 인구를 훨씬 앞질러간단 보도에 책이란 존재에 대해 새삼 다시 생각을 해 보게된다.

 

책을 접함에 있어서 어떻게 하면 손쉽고, 지루하지 않으며 내 스스로가 즐길 오락거리 정도로 생각될 만큼의 흥미를 가질 수있을까?

그러기 위해선 어떤 노력과 정성을 들여야할까에 대한 답은 아마도 이 책의 저자가 쓴 이 책을 토대로 나에게 맞는 법을 찾아가는 것이 쉬울 것 같단 생각이 든다.

 

 조선의 왕들이 어떻게 책을 가까이 했으며 그에 따른 나라의 정사에 미친 영향은 결국 조선왕조 오백 년사에 영향을 끼쳤음을 알게 해 주는 간략하면서도 뜻 깊게 다가온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던 위대한 왕들이라  일컬어 부르는  세종, 성종, 숙종, 영조, 정조는 물론 조카의 왕위를 찬탈한 오명을 남긴 세조, 원하지 않았지만 신하들과 시대의 부류에 따른 왕위에 오른 정종, 그리고 너무나도 효성이 지극했고 자신의 스승이었던 조광조의 뜻을 이어받아 올바른 정치실현을 하고자 했으나 일찍 명을 달리했던 인종까지 그들 나름대로의 독서법은 각기 다른 능력에 따른 실천의 모습들도 가지각색이었다.

 

한 권의 책을 읽으면서 무려 100 번에 이르는 독서의 읽기 과정은 흔히 말하는 눈으로 읽되, 그 뜻을 오로지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심오한 깨우침을 이루기까지의 제왕으로 갈 길을 닦는 모범적인 모습들을 보여준다.

 

 다른 책에서도 나오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왕이 되기까지의 과정들은 3세의 원자가 소학부터 시작한단 것에서 바로 그 험난한 제왕학의 길을 가기 위한 여정을 드러내준다.

 

 

 

자신의 홀 몸으로 온 백성을 거느리기 위한 제왕학의 기초부터 시작해서 강연을 통해 신하와 견제와 교류를 통한 나라 발전을 모색한 왕들은 이렇게 철저하게 어릴 적 부터 책을 가까이 할 수밖에 없었고, 또 그것을 즐긴 왕들은 모두 성군으로 칭송을 받은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던 면에 반해 연산군처럼 폭군의 이미지를 가진 왕은 월등한 기량이 있었음에도 능력차이에서 오는 교육방식의 획일적인 것으로 인해 오히려 역사 속에서 자신의 역량을 많이 발휘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게 된다.

 정조처럼 기록에 있어서 철저했던 왕이 없었을 만큼, 자잘한 부분까지 남긴 점은 후대 조선이 망할 때까지 왕들이 일기를 적게 하는 선례를 남기게 된다.

 

 이처럼 책은 가까이 할 수록 좋은것을 누구나 알지만 어떻게 나만의 방식으로 독서를 즐길 수있을까?

 

1부가 조선 왕들의 독서법이라면 2부는 조선왕들의 독서와 서재에 관한 이야기다.

위대한 신하들이 주장하는 독서법을 따르는 왕들이 있었는가 하면 사가독서제를 만들어 나라에서 젊은층의 독서를 유도하는 정치, 경연을 이용한 나라의 중대사까지 결정짓게 하는 일들, 소학에서 대학까지의 읽기 과정과 그에 따른 변화적응들은 선비들이 책을 가까이 하면서 즐긴 반면 왕들은 제왕으로서의 필수적인 점을 감안하여 책을 가까이 했단 점이 다르게 다가온다.

그 만큼 책임의식이 클 수밖에 없었던 지위에 따른 행동가짐이 독서의 반향을 토대로 이루어졌음을 차근하게 알 수있게 보여주는 책이다.

 

누구는 속독을 통하여, 누구는 한 자 한 자의 의미를 곱씹으며 상상을 통한 글 읽기를 , 어떤 이는 글을 읽되 전체적인 숲을 통해서 관통하는 책의 의미를 알아가는냐는 개인적인 역량과 자신과 맞는 독서법을 통해서 제각기 모두 틀리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독서가 주는 의미는  책을 읽어서 자신의 모자람과 겸손을, 더 나아가서 자신의 발전모색을 위해선  끊임없는 필요성을 알게 해 주는 책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