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빌라
전경린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사람의 삶 속엔 갖가지의 사연이 들어있고 그 나름대로의 인생의 짐을 지고 살아간다.

어떤 것은 해결을 위한 모색이 필요할 때가 있고 그저 순리대로 물 흐르듯 전혀 상관없다는 듯한 관조적인 자세도 필요를 요구할 때가 있다.

 

전경린의 소설들은 그런 점에서 보자면 화려한 문체는 아니지만 곁에 두고서 가만히 속삭이듯 들려주는 듯한 감성이 특징으로 나타나는 작가 중 한 사람이 아닐까 싶다.

 

굳이 알려고도 하지 않고, 아니, 일부러 알아내기 위해 힘쓰지 않아도 인생은 그렇게 흘러감을,  험난한 파도가 일렁이는 바다의 심연 속은 오히려 잔잔함의 공포마저 느낄 수있다는 그런 현상을 인생에 빗대어 표현해 주고 있는 작품 해변빌라-

 

큰 고모부를 아버지로 알고 자란 유지란 소녀의 인생을 관통하고 있는 주된 흐름이 바로 괄호 안에 쳐진 말들, 즉  말을 하고자 한다면 무수히 많은 단어와 그에 필요한 문장과 나열, 더 나아가서는 왜 그런 일들이 그녀에게 일어났는지에 대한 구구절절의 사연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들을 통틀어 감싸주고 있는 단어다.

 

자신의 친모는 알고보니 작은 고모인 손이린이고, 중학교에 입학하고 보니 생물교사인 이사경이 자신의 친부라고 느끼게 된다.

주위에 그 누가 그녀에게 부모의 존재에 대한 확실한 언질조차 주지 않지만 괄호 안에 담긴 많은 의미 중 하나로 받아들이며 침묵의 단어를 이해하며 성장한다.

 

오로지 자신의 존재와 시간의 흐름 속에 자신을 내던질 수있는 것은 피아노를 가까이 하는 것 뿐-

이사경 앞에서 옷을 벗은 사건은 그의 엄마인 노부인으로부터 불려가는 상황이 되고 자신의 집에서 자신의 손자인 연조에게 피아노를 가르치고 피아노 연주를 자신에게 해 달라는 부탁을 받게 되면서 이 사건은 하나의 해프닝으로 둔갑하게 되지만 오히려 화를 내는 쪽은 이사경의 부인인 백주희도 아닌 엄마 손이린이란 사실이 당혹감을 일으키게 한다.

 

엄마와 살게 되면서 자신의 성이 바뀌고 약사였던 엄마의 일본 유학, 그리고 자신 또한 오휘란 남자와의 사랑을 끝내면서 간간이 마주치는 이사경과의 만남은 그녀가 살고 있는 해변빌라 509호를 중심으로 이사경의 집까지 , 끊어질 듯 끊어질 듯 이어지는 행보를 보인다.

 

아침에 일어나면 무수히 발자취를 남기고 가는 바닷가의 쓰레기란 존재를 치우면서 카페를 운영하는 편사장, 해영이란 여인, 알콜중독자센터에서 나온 남자와 유부녀의 사랑, 간조와 만조를 사이에 두고 일어나는 바닷가의 달님은 그런 이들의 삶 모습을 말없이 비쳐만 준다.

 

"사랑을 한 후엔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어. 쓰나미에 휩쓸려 사라진 모터바이크가 알래스카의 해안에서 발견될 수있는 것처럼. 처음 시작한 지점으로 절대 돌아갈 수없는 것이 사랑이야. 어느 물리학자가 그랬지.사랑의 법칙은 푸앵카레의 비가역적 에너지론에 지배를 받는다고. 비가역적이라는 말은, 사랑의 끝은 생각지 않은 곳으로 삶을 옮겨놓을 수 있다는 의미야."-p 89

 

 한 번도 왜 자신의 존재 자체의 확인을 위해 물어볼 필요를 못 느꼈던 유지에 대한 침묵의 말은 인생이란 무수히 많고 많은 말 속에 괄호 안에 쳐진 말들이 더 이상 그 너머를 향해 굳이 표현하지 않아도, 유유히 흘러감을, 그래서 인생은 때로 굳이 말들이 필요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모든 것을 드러내는 상황에 맞춰 살아가게 됨을 작가는 큰 사건의 전개도 없이 고요히 풍경과 피아노의 선율에 맡길 뿐, 더 이상의 그 어떤 기대치를 하지 않게 한다.

 

그럼에도 여전히 글을 통해 생명의 활기를 느낄 수있으며, 그간 자신이 알고 있었던 엄마와 이사경과의 관계를 백주희로 부터 듣게되면서 또 하나의 괄호 안에 묶여졌던 말들 중 하나가 풀어졌음을 느끼게 된다.

 

그렇게 인생은 애쓰면서 안달하지 않아도 자연의 순리대로 흐르며, 과함이 모자람에 비해 더 못하단 사실을, 오휘와의 이별, 연조와 그의 아들 환과의 관계를 넘어 다시 이사경 곁에 있는 손이린의 존재, 그리고 백주희의 삶 방식을 통해 잔잔하게 풀어내는 과정들이 새삼스레 다가오면서도 또 그러한 변화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만드는 작가의 의도가 밀물과 썰물의 조화처럼 잘 맞는단 생각을 하게 한다.

 

 

세상속의 온갖 모든 것에 대한 표현방식을 거부하며 때로는 이런 식의 삶의 방식도 나름대로 인생을 향해가는 한 방법일 수도 있겠단 생각을 해 보게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