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내
마리 다리외세크 지음, 최정수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국내에서 '암퇘지'의 저자로 기억되는 프랑스 문단에서 가장 큰 논쟁적인 작가, 마리 다리외세크의 신간 가시내다.

 

가시내-

그야말로 한국적인, 오랜 만에 들어 보는 말이다.

학창시절 국어선생님께서 친구에게 가시내란 말을 했다가 크게 화를 내는 일을 겪었다고 하는 이 단어는 사실 지극히 여자아이를 나타내는 말임에도 말의 뉘앙스가 변해 점차 사람들 인식 속에 어떤 속된 나쁜 이미지로 변질이 되어 버린 말이기도 하다.

 

 이 책은 좀 특이하게 읽힌다.

 전개과정이 기.승.전.결의 양상이 아닌 두서없이 그냥 나오는 말대로 툭 내뱉듯이 이 말 저 말이 나오고 독자들은 그 때마다 뭐지? 하면서 상황을 그려보면서 읽게 된다.

 

 1970~80년대 프랑스를 배경으로, 가상의 소도시 클레브에 사는 솔랑주라는 소녀의 성장일기라고도 할 수있는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이 되어있다.

1부인  ‘시작하다’에서는 주인공이 첫 여인으로서의 발을 내딛게 되는 초경의 경험을, 엄마와 아빠, 그리고 주위의 친구들의 상황들을 그리는 구성,  2부 ‘사랑하다’에서는 여러 남자들과의 만남과 첫 경험, 그 중에서는 전혀 상상조차 할 수도 없었던 가혹하다고 할 슈있는 여러 형태의 성 체위의 묘사 장면이 '날'것 그대로 표현이 된다.

3부 에서는 성장한 소녀의 복잡해진 내면과 성인 남자와의 관계를 그리고 있는데, 바로 자신의 어린시절 부터 보모 비슷하게 보살펴 온 비오츠란 아저씨와의 일이 그렇다.

 

 주위 사람들부터 소외되고 이상한 사람이란 인식이 있는 비오츠를 유혹하고 그가 마침내 무너졌을 때 솔랑주는 이미 그녀가 상상했던 섹스의 생각이 전혀 다름을, 오히려 비오츠가 모든 것을 버리고 아버지와 엄마와의 이혼으로 더욱 혼란에 빠진 그녀와 함께 살기 위해 자신이 일을 하면서 클레브를 떠날 결심을 하는 것을 보면서도 또 다른 남자 아르노와의 꿈을 꾸는 당찬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한 사람의 인생을 무너지게하고 망가지게 함으로써 그 사람의 나머지 인생 말년을 비참하게 만들면서도 오히려 이제는 귀찮게 느끼는 솔랑주란 인물을 통해 소녀에서 여인으로서의 성적인 감각과 그 뭔가를 막연히 깨달아 가게 되는 이런 성장의 일기는 무척 당황스럽게 다가왔다.

 

 저자 자신의 유년시절에 목소리로 테이프에 담았던 당시의 느낌을 그대로 드러냈다고도 느껴지는 이 소설은 한 인간의 태어남과 성장의 기로에 있어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사춘기에 느껴지는 호기심의 발산을 자연스레 드러내는 작품이다.

 

누가 누군가를 이성으로서 호기심을 가지고 느끼게 된다거나, 성적인 부분에서 나누는 또래의 친구들과의 이야기들은 확실히 아는 것이 없으면서도 확실히 알고나 있다는 듯한 착각, 피임이야기, 비오츠와의 관계를 전혀 생각지도 못하는 엄마로서의 행동들은 자신의 아이라고는 하지만 일개의 독립된 개체로서의 엄연하게 구분되어지는 개인적인 비밀사이기도 하기에 어쩌면 가시내가 의미하는 말 속엔 한 인간의 성장의 기로에서 소녀에서 가시내, 그리고 여인으로 변해가는 중간지점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든다.

 

 솔랑주를 지켜봐왔던 비오츠에 대한 무심한 행동들은 차후 그녀가 살아 갈 앞 날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있을까? 자신이 해 온 행동에 대한 반성을 느끼게는 될까?

도발적이고 섹스에 대한 궁금증과 호기심에 스스로 그 세계에 자신의 몸을 맡김으로서 더 이상의 기대치는 별로 없다는, 이젠 귀찮게만 느껴지게 됨을 알아가는 솔랑주란 주인공의 행동이 책을 덮은 후에 과연 성인이 되었을 때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를  생각해 보게 된다.

 

책 발간 당시에도 많은 이슈를 일으켰다고 하는 작가의 작품은 정말 낯 뜨겁고 어린 소녀라고 하기엔 성숙의 길엔 미치지 못하면서도 그렇게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질 만큼 용기가 앞선 것인지, 아니면 한 때의 치기어린 행동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생각을 던져 주는 작품임엔 틀림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