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림 밀리언셀러 클럽 - 한국편 27
안치우 지음 / 황금가지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한국의 스릴러창작물도 외국의 창작물 못지않게 잘 쓰여진 것들이 많다.

 

섬세한 필치와 꼼꼼한 주위의 배경설정, 그리고 소재면에서도 외국것과 별로 구분이 안될 정도의 실력을 갗춘 작가들이 나왔다는 데서 우선은 반가움이 들고 이런 장르의 발전을 더욱 기대해보게 되는 것도 책을 읽는 나름대로의 재미가 있지 않나하는 생각이 든다.

 

황금가지에서 나오는 밀리언셀레시리즈는 그래서 이런 장르를 좋아하는 독자들이라면 외국과 국내편으로 구분되어지는 선별된 작품을 읽는 즐거움을 배가 시킨다.

 

재림이란 제목의 이 책으로 다시 한번 독자들을 찾은 저자는 공모전에서 입상한 저력답게 이번에도 무거운 분위기의 소재를 끌어다 글을 이끌고 있다.

 

박진우-

한 때는 신학대학에 다녔지만 존경하는 스승이 자신이 생각하는 종교인으로서의 생각을 밝힌 사건에 연관되어 파문이 되자 이에 학업을 그만두고 은둔형 미술작가로 생활을 이어나간다.

 

그러던 그가 어느 날 감쪽같이 사라졌고 노모와 동생은 형을 찾기 위해 변호사이지만 탐정일을 같이 맡고 있는 독걸잉걸소장, 강승주, 그리고 남자못지 않은 엄청난 체력과 신장, 그리고 도통 모를 감정을 지닌 권민이란 여성을 찾아가면서 사건을 의뢰하게 된다.

 

왜 그는 아무런 말도 없이 사라졌을까?

그의 컴에서 비공개 블러그를 통해  사이비 비문을 발견하면서 수사는 호조를 보이는데, 독특하게 설정된 세 사람의 개성들이 군데군데 튀어나오면서 이야기의 흐름을 이어나간다.

 

변호사란 이력답게 큰 그림을 그릴 수는 없지만 작은 틈 하나를 보더라도 그것을 통해 사건의 해결방향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독거소장, 감정은 여성같고 한 때의 아픈 상처 때문에 학문의 길이 아닌 현장에서 다뤄지는 삶을 체험해보고자 탐정이란 세계에 뛰어든 승주라는 인물은 권민이란 여인과 대립적인 신체사이즈, 그리고 현장에서의 활약에서도 정 반대의 개성을 지닌 모습으로 다가온다.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두 사람의 조합은 물과 불의 성격을 지녔지만 그럼에도 콤비로서의 활약은 무난하게 비쳐지는데, 시리즈로 나온다면 두 사람간의 활약을 기대해도 좋을 듯한 인상을 풍긴다.

 

 사건현장에서 발견한 소포에는 일명 베드로 십자가란 것이 있었고 이는 예수를 세 번 모른다고 부인했던 베드로가 나중에 참회의 뜻으로 예수와 같은 십자가를 질 수없단 의미에서 십자가의 모양이 거꾸로 된 것으로 유명하다.

즉 범인은 박진우가 자신의 스승의 의견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스승의 종교적인 입장을 옹호하면서 이를 비난한 사람들에게 던진 비난문에 대한 종교적인 입장에서 벌한다는, 사이코패스적인 행동으로 나온 결과였다.

 

사실 가장 민감한 부분들 중 하나가 종교를 다룬 문제가 아닌가 싶다.

내 종교가 중요하면 타인이 믿는 종교도 중요함을 인정한다면 평화로운 세상이 되건만 실제 현재의 지구상에서 벌어지는 대부분의 전쟁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헤치고 들어가자면 대부분이 종교와 밀접하게 연관된 부분들이 많음을 알 수가 있다.

 

그런면에서 저자가 승주의 입을 빌어  범인의 행방을 찾기 위해 찾아간 곳에서 나눈 대화들은 성스러운 종교란 이름으로 자신이 믿고 있는 종교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 지적을 외면하고 오로지 그에 반한다는 이유만으로 살인을 저지른다는 설정은 인간이 같은 종교, 다른 종교를 믿는 것을 떠나서 참된 종교인으로서 가져야할 자세는 무엇인지를 깨닫게 해 준다.

 

 총 2편으로 나뉜 책은 1부 재림에 이어서 다음의 사건연결로 이어진 줄 알았는데, 2부인 만남, 그리고 시작편은 세 사람이 어떻게 만나고 의기투합해 탐정으로서의 길을 가게되는지에 대한 , 프리퀄에 해당이 된다.

 

그래서 1편의 재림이 무거운 분위기였다면 2부는 그나마 분위기가 가벼운 편이다.

편집과정에서 차라리 1.2부편을 바꿨더라면 받아들이는 독자입장에선 충분히 상황을 인지하고 읽었겠다 싶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아예 이해를 하지 못하게 그려진 글들은 아니라서 부담은 없다.

 

 재림의 의미를 따라서 생각해본다면 과연 누가 누구를 위한 재림인지, 종교와 인간과의 관계를 살인사건을 통해 재조명해 보려한 작가의 의도가 눈에 띄게 다가오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